$\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업가정신, 창업역량이 창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플로우(Flow)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Competency on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low Experience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0 no.5, 2015년, pp.137 - 150  

이상화 (호서대학교) ,  하규수 (호서대학교 벤처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창업자의 창업가정신, 창업역량이 창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플로우(Flow)경험의 조절효과 여부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이는 정부나 지자체, 공공기관 등에서 주관하는 창업지원사업 선정자중 교육 및 자금지원, 멘토링과 컨설텅 등의 수혜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창업후 창업자별 창업만족도에는 차이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정부의 창업지원사업 수혜자중 창업 5년 미만의 기창업자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창업가정신 변수로는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의 세 요인을 검토하였으며 창업역량 변수로는 네트워크 역량, 시장지향성, 마케팅역량의 세 요인을 검토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통제변인으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플로우 경험의 조절효과는 조절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창업가정신의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이 창업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업역량의 네트워크역량, 시장지향성, 마케팅역량이 창업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플로우 경험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 창업가정신, 창업역량과 창업만족도간에 정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업자를 대상으로 한 창업지원사업에서 선정기준인 창업자의 창업가정신, 창업역량 평가항목이 유효하며 창업지원항목인 교육, 자금, 컨설팅도 중요하지만 창업 이후 과정에서는 창업자 스스로가 플로우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창업생태계 조성과 네트워킹 지원 강화 등 변화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hip, Start-up Competency on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low experience. The goal of this investigation is to empirically prove that despite the benefits of educational and financial support, mentoring and consult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지막으로 창업가정신과 창업역량에 대한 창업교육의 중요 성을 강조하고자 하다. 창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 창업가정신을 장사꾼 교육으로 치부해 버리는 현재의 당면 과제는 결국 교육으로 풀어야 한다.
  • 본 논문의 특징은 기존 창업관련 선행연구에서 다룬 적이 없는 몰입(flow)변수를 조절변수로 채택, 창업가정신 · 창업역량과 창업만족도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독립변수인 창업가 정신, 창업역량과 조절변수인 플로우 경험, 종속변수인 창업만족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신뢰성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성은 동일한 개념이 다항목일 때 사용하는 내적 일관 성법(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method)을 사용하였고, 크론 바하 알파(Cronbach's α) 계수를 구한 다음 이 값이 0.
  • 본 연구는 창업자로서 정부의 창업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지원혜택을 받은 사업자를 대상으로 창업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창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창업가정신, 또는 창업역량 변수를 개별적으로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Timmons(1994)가 제시한 기업가정신의 정의에 맞게끔 두 변수를 함께 분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미래의 성장 동력인 아이디어 기반 창업 확산과 관련하여 과연 창업가정신과 창업역량이 창업가의 창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창업가정신과 창업역량이란 평가항목을 패스한 지원사업 선정자가 창업중, 또는 창업후의 창업만족도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그 원인을 무엇일까를 분석하기 위해 플로우 경험의 조절변수를 사용, 조절효과 여부를 연구하였다.
  • 이와 같이 몰입경험은 인간이 경험하는 다차원적인 환경분야에 적용되고 있음에 따라 삶의 질에 중요한 단초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증분석을 통하여 창업 연구분야에서 플로우 경험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분석해 보고자 한다.
  • 특히 심리학, 교육학, 예술분야에서 연구 되어 오다 최근 경영분야의 온라인마케팅 연구에서 일부 도입되기 시작한 플로우(Flow) 경험을 창업분야에 최초로 적용 시켜 창업가정신 · 창업역량과 창업만족도간의 조절효과를 연구함으로써 창업지원기관의 지원방법과 제도운영에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최근 들어 정부의 창업지원사업 선정지표로 창업역량이 부각되고 있는 만큼 본 논문에서는 정부의 창업지원사업 수혜자를 대상으로 창업가정신 및 창업역량이 창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 이 결과가 창업지원사업자의 선정기준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을 기대해 본다. 특히 플로우 경험이 조절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고찰을 통해 기창업자에 대한 창업지원기관의 운영과 지원항목 우선순위에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3. 창업가 정신, 창업역량이 창업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때 플로우 경험이 클수록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몰입이란 무엇인가? 본 논문의 특징은 기존 창업관련 선행연구에서 다룬 적이 없는 몰입(flow)변수를 조절변수로 채택, 창업가정신 · 창업역량과 창업만족도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몰입(flow)은사람들이 다른 어떤 일에도 관심이 없을 정도로 지금 하고 있는 일에 푹 빠져 있는 상태를 말하며(Ko, Park & Lee, 2013; Choi & Kim, 2013; Nakamura & Csikszentmihalyi, 2002), 이때의 경험 자체가 매우 즐겁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고생도 감내하면서 그 행위를 하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Csikszentmihalyi, 1997). 즉, 몰입이란 일상생활에서 개개인이 주어진 환경과 행위 사이에 최적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때 나타나는 최고의 감정, 최상의 즐거운 경험, 행복한 심리상태를 의미한다(Han & Um., 2005; Csikszentmihalyi & Csikszentmihalyi, 1992).
최근 들어 창업가의 개인 특성으로서 기존 연구에서 잘 다루지 않았던 창업가의 역량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들어 창업가의 개인특성으로서 기존 연구에서 잘다루지 않았던 창업가의 역량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이는 역량적 접근법이 기존 개인특성 연구에서 보여 왔던 한계점 들을 보완하고 창업기업의 경영성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 할 수 있는 요인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Yun & Kim, 2009).
창업가정신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는 무엇인가? 창업가정신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는 매우 다양하다. Stevenson(1983)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원에 구애 받지 않고 기회를 추구하는 것’으로 보았고, Timmons(1994)는 ‘기회에 초점을 두고 총체적 접근방법과 균형 잡힌 리더십을 바탕으로 하는 사고·추론·행동방식’으로 정의함으로써 창업가정신이 접근법이나 ‘사고’방식일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행동’을 수반하는 방식임을 강조하였다. 최근 학계에서는 Stevenson(1983) 과 Timmons(1994)가 제시한 정의를 가장 널리 받아들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Brazeal, D. 8 1 75 10.1016/0883-9026(93)90012-T 

  2.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Chandler, & Hanks. 9 4 331 10.1016/0883-9026(94)90011-6 

  3. 관광학연구 최종률 37 1 11 

  4. Entrepreneurship : Theory & Practice Chrisman, J. J. 23 5 

  5. American Journal of Society Coleman, J. S. 94 95 10.1086/228943 

  6.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Cooper, A. C. 8 3 241 10.1016/0883-9026(93)90030-9 

  7.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Cornelius, B. 30 3 375 10.1111/j.1540-6520.2006.00125.x 

  8.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tice Covin, J. G. 16 1 7 10.1177/104225879101600102 

  9.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Csikszentmihalyi, M. 56 5 815 10.1037/0022-3514.56.5.815 

  10. journal of Marketing Day, G. S. 58 Oct 37 

  11. 경영학연구 두정완 32 1 87 

  12.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Gartner, W. B. 10 4 696 10.5465/amr.1985.4279094 

  13. Korea Marketing Review Han, S. L. 20 2 55 

  14. 관광연구 한숙영 20 2 55 

  15. Journal of Marketing Hoffman, D. L. 60 50 10.2307/1251841 

  16. Entrepreneurship : theory and Pratice Hornsby, J. S. 17 2 29 

  17. Journal of Applied Sport Psychology Jackson, S. A. 4 2 161 10.1080/10413209208406459 

  18.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Jackson, S. A. 18 17 10.1123/jsep.18.1.17 

  19.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Jarillo, J. C. 9 1 31 10.1002/smj.4250090104 

  20.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Kim, M. S. 12 1 197 

  21. 중소기업연구 김영환 35 3 347 

  22. 관광연구 고동완 28 4 137 

  23. journal of marketing Kohli, A. K. 54 2 1 10.2307/1251866 

  24.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Koufaris, M. 13 2 205 10.1287/isre.13.2.205.83 

  25.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Lee, M. S. 6 1 61 

  26. Distance Education Li-Fen Liao. 27 1 45 10.1080/01587910600653215 

  27.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Lumpkin, G. T. 21 1 135 10.5465/amr.1996.9602161568 

  28. Journal of Management Lyon, D. W. 26 5 1055 10.1177/014920630002600503 

  29.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Moneta, G. B. 5 2 115 10.1023/B:JOHS.0000035913.65762.b5 

  30.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Morris, Michael H. 29 7 31 10.1108/03090569510094991 

  31.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Namin Shin 37 5 705 10.1111/j.1467-8535.2006.00641.x 

  32. Journal of Marketing Narver, J. C. 54 4 20 10.2307/1251757 

  33. Marketing Science Novak, Thomas P. 19 1 143 

  34. European Economic Review Oosterbeek, H. 53 3 442 10.1016/j.euroecorev.2009.08.002 

  35. 관광레저연구 박상현 14 3 229 

  36.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Rea, D. 23 2 187 10.4219/jeg-2000-574 

  37.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Stevenson, H. H. 11 4 17 

  38.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Tsai, M. T. 21 4 524 

  39. The Sciences & Engineering Weinberg, G. 60 1-B 204 

  40.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Wiklund, J 20 1 71 10.1016/j.jbusvent.2004.01.001 

  41. 생산성논집 윤종록 23 4 401 

  42.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Zahra, S. A. 6 4 259 10.1016/0883-9026(91)90019-A 

  43.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Zahra, S. A. 8 4 319 10.1016/0883-9026(93)90003-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