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창업역량과 창업의도의 관계: IT 역량, 창의성 역량, 사회적 역량, 시장인지 역량
Effec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 IT Competency, Creativity Competency, Social Competency, Market Perception Competency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2 no.1, 2017년, pp.101 - 109  

최대수 (중부대학교 정보통신학과) ,  성창수 (동국대학교 기술창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 세계적으로 창업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국내 대학에서도 각 대학별 특성을 반영한 창업교육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의 논거는 창업교육을 통해 개인의 역량을 개선할 수 있고, 창업의도와 창업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과 관련된 개인적 역량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구성에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수도권 2개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IT역량 중 기획역량은 창업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창의성 역량과, 시장인지 역량도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IT역량 중 개발역량과, 사회적 역량은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T기획과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은 비단 IT를 활용한 기술기반의 창업교육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창업을 위한 프로그램에서도 유효하다는 것이다. 또한 창의성과 시장인지와 관련된 역량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이와 관련된 창업교육 콘텐츠의 지속적인 개발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eeds for economic growth and employment creation has led to develop many policies for entrepreneurship in Korea, Which focused on entrepreneurial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So we investigated the degree of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jzen(1991)의 계획된 행동이론과 Krueger(1993)의 연구에 따라 창업의도는 창업행동의 선행요인이라는 논거를 토대로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조사대상인 학부생 수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창업행동에 대한 예측값을 창업의도를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과 관련된 개인적 역량이 창업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선행연구의 결과에 따라, 창업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영향에 대한 경로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주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창업에 필요할 것으로 예상 되는 역량들을 기술적 역량 (IT역량)과 비기술적 역량 (창의성 역량, 사회적 역량, 시장인지 역량)으로 구분하여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창업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구성한 연구모형은 <그림 1>과 같다.
  • 첫째, 창업과 관련된 개인적 역량이 높은 사람이 창업의도가 높은가? 둘째, 개인적 역량 중에 어떠한 역량이 창업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창업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역량에 대하여 실증하고, 이를 활용하여 창업교육의 개선 방안과 교육 프로그램의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비 기술적 창업역량으로 창의성, 사회적 역량, 시장인지 역량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환경을 구축하고, 프로그램 구현 및 테스트를 수행하는 능력을 확인하여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논의로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IT역량에 대하여 IT를 획득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그 의미를 한정하였다. 또한 조직적 관점이 아닌 개인적 관점의 IT역량을 측정하고자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1))의 직무별 역량 개념을 분석하고 IT기획역량과 IT개발역량으로 구분하여 가설을 수립하였다.
  • (1998)은 창업자의 성공적인 역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조직 역량, 전략 역랑, 기술 역량, 창의성 역량으로 구분하였으며, Chandler & Jasen(1992)는 기업 가의 기회 인지능력, 사업추진 능력, 개념적, 대인적, 정치적 능력과 함께 전문적 기술능력으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창업역량을 구성하는 유의미한 요소들을 선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앞서 살펴본 선행연구의 창업역량 구분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공통적으로 검토 대상이 되는 역량은 기술적 역량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과 관련된 개인적 역량이 창업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선행연구의 결과에 따라, 창업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영향에 대한 경로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 또한 실제 기업의 실무 역량교육에서도 IT 서비스 개발 및 IT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개인적 역량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IT 역량을 비롯한 창업역량과 창업의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실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H2. IT개발역량은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면, 매개효과,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AMOS에서는 반드시 Bootstrapping 수행 후, 실제 유의성 검정은 Two-tailed significance를 이용하여 파악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매개효과검증에서 매개효과는 없다는 영가설(ab=0)을 Bootstrapping 수행하여 매개효과에 대한 분포를 형성시켜 신뢰구간을 설정하였다. 영가 설을 검증한 결과는 <표 6>에서 제시하였다.
  • 첫째, 창업과 관련된 개인적 역량이 높은 사람이 창업의도가 높은가? 둘째, 개인적 역량 중에 어떠한 역량이 창업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창업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역량에 대하여 실증하고, 이를 활용하여 창업교육의 개선 방안과 교육 프로그램의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H5. 시장인지 역량은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136으로 확인되었다. 신뢰구간 안에 0이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영가설을 기각하고, 매개효과가 있다는 연구가설을 채택하였다. 경로계수 값은 창의성 역량, IT기획 역량, 시장인지 역량 순 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량이란 무엇인가? 역량이라는 개념은 개인의 성과를 측정하거나 예측하기 위하여 도입되어 다양한 직업이나 역할에서 공통으로 활용할수 있는 개인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구병모 외, 2010).
창업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무엇인가? 창업에 대한 자기효능감 (Self efficacy)은 사업을 시작하려는행동을 실제 실행하는 것에 대한 자신감의 정도를 말한다(Bandura, 1977). 사람들이 새로운 진로를 찾을 때,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일수록 도전적인 선택을 하게 된다는 가정으로인간 행동의 변화는 행위자 자신이 해낼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 때문으로 자기효능감을 설명하였다.
IT역량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기술기반 창업과 함께 최근 일반 창업의 형태에서도 IT역량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다양한 창업분야에 공통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기술적 역량이기 때문이다. 기술역량은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역량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획득 및활용 전반에 필요한 역량을 총괄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jzen, I.(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79-211. 

  2. Bagozzi, P. P. & Yi, Y.(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3. Branch, B.(1974),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y and Profitability: A Distributed Lag Analysi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2(5), 999-1011. 

  4.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5. Baron, R. A. & Markman, G. D.(2003), Beyond social capital: the role of entrepreneurs' social competence in their financial succes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8(1), 41-60. 

  6. Baum, J. R., Loche, E. A. & Smith, K. G.(2001), A multidimensional model of venture growth,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2), 292-303. 

  7. Boyatzis, R. E.(1982),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8. Chandler, G. N. & Jansen, E.(1992), The founder's self-assessed competence and venture performance,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7(3), 223-236. 

  9. Chrisman, J. J., Chua, J. H. & Sharma, P.(1998), Important attributes of successors in family businesses: An exploratory study, Family Business Review, 11(1), 19-34. 

  10. Chung, D. Y., Yang, J. H. & Kim. C. K.(2013),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Particip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ed on Chinese Students, Management Education Review, 28(5), 143-176. 

  11. Cooper, A. C.(2013), Spin-offs and technical entrepreneurship,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18(1), 2-6. 

  12. Day, G. S.(1994), The Capabilities of Market-Driven Organations, Journal of Marketing, 58(4), 37-52. 

  13. Goo, B. M., Kim, K. H. & Kim, J. K.(2010), Study on competency and competency model: Current state of competency model,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13(1), 131-154. 

  14. Ha, H. H. & Byun, C. G.(2014), The Effects of Creativity on Attitude towards Business Startup and Entrepreneurial Intent, Journal of the Korean Entrepreneurship Society, 9(4), 1-22. 

  15. Human Resuo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2015),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Retrieved(2016.4.1.) from http://www.ncs.go.kr. 

  16. Jeon, I. O.(2012), The Effect of technical competence according to commercialize the company's technology incubator support and management performance stag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9), 325-339. 

  17. Joseph, D. D. & Park, J. H.(2015),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the Performance of Manufacturing SMEs in Nigeria, 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 18(4), 21-49. 

  18. Joun, H. S. & Shim, S. O.(2014), An Analysis of Factors on College Students' IT Technology Startups wil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9), 1-7. 

  19. Kim, H. C., Lim, A. R. & Kim, K. P.(2015), The Effect of Youth Entrepreneurs Competence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18(2), 27-58. 

  20. Kim, K. S.(2005), A Study on the Effect of Venture Entrepreneurs' Competence in Their Business Performances,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21. Krueger, N.(1993), The impact of prior entrepreneurial exposure on perceptions of new venture feasibility, Entrepreneurship Theory & Practice, 18(1), 5-21. 

  22. Lee, I. S., Kim, O. S. & Rha, Y. A.(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Young Entrepreneurs' Growth Factors on Entrepreneurial Capabi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9(4), 25-39. 

  23. Lee, J. S. & Lee, S. M.(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0(3), 61-74. 

  24. Lee, W. J. & Hwangbo, Y.(2015), The Chronology of Korea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feature analysis and futur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0(3), 171-183. 

  25. Lim, A. R., Kim, H. C. & Kim, K. P(2015), The Effect of Youth Entrepreneurs' Competence on Entrepreneurial Behavior and Entrepreneurial Performance, Korean Management Consulting Review, 15(3), 143-154. 

  26. Linan, F. & Chen, Y.(2009), Development and Cross-Cultural Application of a Specific Instrument to Measure Entrepreneurial Intention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3(3), 593-617. 

  27. Ngugi, J. K., Gakure, R. W., Waithaka, S. M. & Kiwara, A. N.(2012), Application of Shapero's Model In Explaining Entrepreneurial Intention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Kenya,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Social Research, 2(4), 125-148. 

  28. Nunnally, J. C.(1978),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29. Oh, J. W. & Yang D. W.(2014), The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s and Young generation Start-up Competence, Asia Pacific Journal of Venture and Entrepreneurship, 9(5), 115-127. 

  30. Schumpeter, J. A.(1934), (trans. R. Opie)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1. Shane, S. & Venkataraman, S.(2000), The promise of entrepreneurship as a field of research,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5(1), 217-226. 

  32. Shapero, A. & Sokol, L.(1982), The social dimensions of entrepreneurship. The Encyclopedia of entrepreneurship, 72-90. 

  33. Spencer, L. M. & Spencer, S. M.(1993), Competency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34. Timmons, J. A.(1994), New Venture Creation: Entrepreneurship for the 21st Century, Boston: Irwin/McGraw-Hill. 

  35. Wilson, F., Kickul, J. & Marlino, D.(2007), Gender,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career intentions: Implications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1(3), 387-406. 

  36. Wiklund, J. & Shepherd, D.(2005),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small business performance: a configurational approach,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20(1), 71-91. 

  37. Yang, J. H.(2014), Effect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motiva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9(6), 65-77. 

  38. Yang, S. H., Kim, M. S. & Jung, H. Y.(2011), The Effects of Entrepreneur's Competence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on Business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Start-ups, Asia Pacific Journal of Venture and Entrepreneurship, 6(4), 195-2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