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의 청각장애 유무에 따른 3, 4세 건청 자녀의 모음 및 파열음 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비교: 예비연구
Comparison of Acoustic Characteristics of Vowel and Stops in 3, 4 year-old Normal Hearing Children According to Parents' Deafness: Preliminary Study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7 no.1, 2015년, pp.67 - 77  

홍지숙 (아이원언어발달센터) ,  강영애 (충남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  김재옥 (강남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deaf parents influence the speech sounds of their normal-hearing children. Twenty four normal hearing children of deaf adults (CODA) and normal hearing parents (NORMAL) aged 3 to 4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F1, F2, and the vowel triangle area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청각장애 부모의 3~4세 건청 자녀(CODA)가 부모의 조음 특성의 영향을 받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어 7 모음과 파열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을 건청 부모의 건청 자녀(NORMAL)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는 영유아기 CODA 집단의 모음과 파열음의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현재 청각장애인에서 보이는 왜곡되는 마찰음이나 파찰음(김윤하 외, 2014)의 특성에 관한 연구도 진행 중에 있어 추후 이를 본 연구결과와 비교해 보는 것도 의미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파열음과 마찰음이 모두 숙달연령 단계 이상에 도달하는 3~4세 아동(김영태 외, 2007)을 대상으로 청각 장애 부모의 건청 자녀 집단(children of deaf adults, 이하 CODA) 과 건청 부모의 건청 자녀 집단(이하 NORMAL) 간의 한국어7 모음과 단어 수준에서 파열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청각장애 부모에 의한 언어적 환경이 자녀의 말소리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A. 두 집단 간 CV 및 VCV 파열음의 음소별 발성시작 시간(Voice onset time; VOT) 및 폐쇄구간의 차이가 있는가?
  • A. 두 집단 간 단모음 /ㅣ/, /ᅮ/, ㅏ/, /ᅳ/, /ㅔ/, /ᅩ/, /ㅓ/ 의 각 포먼트(F1, F2) 값의 차이가 있는가?
  • B. 두 집단 간 모음삼각도 면적의 차이가 있는가?
  • C. CV 및 VCV 파열음의 조음위치(양순·치조·연구개음) 와 집단에 따른 VOT 및 폐쇄구간의 차이가 있는가?
  • 모든 연구대상자의 부모는 20~40대로 고졸 이상이며, 청각 장애 한 가정은 편부 가정이다. 청각장애 부모는 양쪽 부모 모두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순음청력검사 상 90 dB 이상의 청력을 가졌으며, 청각장애 부모의 정보는 <표 2>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청각장애인의 수는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청각장애인은 278,300명으로 전체 장애 인구 중 지체장애와 뇌병변 장애에 이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청각장애인과 결혼하여 청각장애 부부 가정을 이루고(70.
청각장애 부모가 제공하는 제한된 의사소통 환경은 일반적인 의사소통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청각장애인은 청각적 피드백이 불충분하고 왜곡되는 등 타인과 자신의 말소리 지각이 제한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시각 적인 단서를 통해 말소리를 지각하려는 경향이 있어 청각장애인의 말소리는 건청인의 말소리와 다른 특성을 갖게 된다. 모음의 경우 구강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여 각 모음 간의 구분이 어렵고,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청각장애 부모는 자녀에게 어떤 의사소통 환경을 제공하는가? 5%는 비장애인이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이처럼 청각장애 부모과정이 복잡하기는 대부분 건청 자녀를 두고 있고, 그들이 가진 청각 및 언어장애로 인해 건청 자녀에게 제한된 의사소통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gelocci, A. B., Kopp, G., & Holbrook, A. (1964). The vowel formants of deaf and normal-hearing eleven-to fourteen year old boy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9, 156-170. 

  2. Choi, E. A. & Seong, C. J. (2010). The articu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rofound hearing-impaired adult's Korean monophthongs: with reference to the F1, F2 of acoustic vowel space. Phonetics and Speech Science, 2(4), 229-238. (최은아.성철제 (2010). 심도 청각장애 성인의 한국어 단모음 조음 특성: 모음 음향 공간의 F1, F2 값을 중심으로. 말소리와 음성과학. 2(4), 229-238.) 

  3. Fischer-Jorgensen, E. (1954). Acoustic analysis of stop consonants, Misc. Phonetica, 2, 42-59. 

  4. Kim, C. W. (1965). On the autonomy of the tensity feature in stop classific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n stop. Word, 21, 339-359. 

  5. Kim, M. J. (2010).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speech in the normal hearing children of deaf parents. M.A. Thesis, Kangnam University. (김미정 (2010). 부모의 청각장애 유무에 따른 건청 유아 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Kim, S. J. & Shin, J. Y. (2008).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Disorders. Seoul: Sigma press. (김수진.신지영 (2008). 조음음운장애. 시그마프레스.) 

  7. Kim, Y. H., Kim, E. Y., Jang, S. J., & Choi, Y. L. (2014). comparison of acoustic phon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fricative sounds pronounced by hearing-impair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Phonetics and Speech Science, 6(2), 73-79. (김윤하, 김은연, 장승진, 최예린 (2014). 청각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마찰음에 나타난 음향음성학적 특성 비교. 말소리와 음성과학, 6(2), 73-79.) 

  8. Kim, Y. T. (2007).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Speech Sound Disorders in Children. Seoul: Pakhaksa. (김영태 (2007). 조음음운장애. 박학사: 서울.) 

  9. Kim, Y. T., Hong, K. H., Kim, K. H., Jang, H. S., & Lee, J. Y. (2009).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김영태.홍경훈.김경희.장혜성.이주연 (2009). 수용 및 표현 어휘력 검사.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10. Lee, E. J. (2011). Development and Developing Organization of Mental Verbs in Children of Deaf Parents. Ph.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이은주 (2011).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 자녀의 심성동사 발달 및 의미 구조화 : 수화사용부모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박사학위논문.) 

  11. Lee, H. H. (2009). Production ability for Korean stops at different speaking rates in cochlear implant children. M.A.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이현화 (2009).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발화속도에 따른 파열음 산출의 음향학적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 협동과정 석사학위논문.) 

  12. Lee, K. (2000). Korean-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DDST-II. Seoul: Korean 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 (FSPT). (이근 (2000).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 II(DDST-2). 창의력한국 FPSP.) 

  13. Lee, K. H. (2004). The Acoustic Comparisons of the Plosive Productions in Carrier Sentence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Hearing Impairment. M.A. Thesis, Hallym University. (이경희 (2004). 청각장애아동과 건청 아동의 문장 내 파열음산출의 음향음성학적 비교.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청각학과 언어학전공 석사학위논문.) 

  14. Lee, K. H. & Jung, M. S. (2000).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perceptual cues for Korean Stops.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7(2), 139-155. (이경희.정명숙 (2000). 한국어 파열음의 음향적 특성과 지각 단서. 음성과학, 7(2), 139-155.) 

  15. Lee, M. S. (2010). Experiences of raising children without hearing impairments among hearing-impaired parents. M.A. Thesis, Chonbuk University. (이미선 (2010). 청각장애 어머니의 건청 자녀 양육 경험.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2011 The Census for the Disabled in Korea.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2011년 장애인 실태조사. 서울:보건복지부.) 

  17. Moon, B. O. (2000). Communication and social-emotional satisfaction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according to hearing impairment of parents. M.A. Thesis, Dankook University. (문봉오 (2000). 부모의 청각장애 유무에 따른 청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특성 및 사회 정서적 만족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Oh, Y. J. (1999). Acoustic Comparisons of Vowel and Plosive Productions between the Normal and the Hearing-impaired Children. M.A.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오영자 (1999). 청각장애아동과 건청 아동의 모음 및 파열음산출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 협동과정 석사학위논문.) 

  19. Osberger, M. (1987). Phonological space in the speech of the hearing impaired.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2(5), 317-325. 

  20. Pae, J. Y., Shin, J. Y., & Ko, D. H. (1999). Some acoustical aspects of Korean stops in various utterance positions: focusing on their temporal characteristics.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5(2), 139-159. (배재연.신지영.고도흥 (1999). 음성 환경에 따른 한국어폐쇄음의 음향적 특성 : 시간적 특성을 중심으로. 음성과학, 5(2), 139-159.) 

  21. Park, B. E. (2002). A study on parenting desire and service of deaf parents with hearing preschoolers. M.A. Thesis, Chung-Ang University. (박병은(2002). 학령 전 건청자녀를 둔 청각장애부모의 양육욕구와 서비스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Schiff-Myers, N. B. & Klein, H. B. (1985). Som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eech of normal-hearing children of deaf parents. Journal of Speech & Hearing Research, 28, 466-474. 

  23. Seo, M. K. (2002). An Experimental Study of Voice Onset Time of Korean Stops-Correlation with Context. Linguistic Studies, 22, 27-45. (서민경 (2002). 한국어 파열음의 VOT에 관한 실험음성학적연구: 환경에 따른 VOT 변이를 중심으로. 언어연구, 22, 27-45.) 

  24. Shin, H. J. (2007). A Comparisons Study of Alveolar Stop-Consonant Perception and Production by Hearing-impaired Children. Study of Deafness and Language Disorders, 30,(2), 27-36. (신혜정 (2007). 청각장애아의 어두 치조 파열음 지각과 산출의 음향학적 연구. 난청과 언어장애 연구, 30(2), 27-36.) 

  25. Shin, J. Y. (1997). Consonantal Production and V-to-V Coarticulation in Korean VCV Sequences.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1, 55-81. (신지영 (1997). 모음-자음-모음 연결에서 자음의 조음특성과 모음-모음 동시조음. 음성과학, 1, 55-81.) 

  26. Toohey, E. N. (2010). Phonological Development in Hearing Children of Deaf Parents. Honor Scholar Theses, University of Connecticut. 

  27. Woo, A. M. (2004). Acoustic Comparisons of Vowel Production between the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nd the Normal Hearing children. M.A. Thesis, Hallym University. (우아미 (2004). 청각장애 아동과 건청아동의 모음 산출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비교.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청각학과 언어학전공 석사학위논문.) 

  28. Yeum, D. M., Hea, M.. J. & Lee, H. W. (2004). A study on parenting burden of par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5(2), 357-380. (염동문.허명자.이한우 (2004). 청각장애인 부모의 건청자녀에 대한 양육부담.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5(2), 357-380.) 

  29. Yoon, M. S., Choi, E. A., & Sung, Y. J. (2013). Comparison of nasalance score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and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2(1), 299-310. (윤미선.최은아.성영주 (2013). 인공와우이식 아동과 건청 아동의 비음치 비교. 언어치료연구, 22(1), 299-3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