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교육홍보사업이 지역주민의 뇌졸중 경고증상 및 골든타임 인지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mmunity-based education and advocacy intervention on public awareness about the warning signs of stroke and the golden window of time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2 no.1, 2015년, pp.1 - 10  

이영훈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원광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김영택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관리과) ,  오경재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원광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김남호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순환기내과학교실) ,  조광호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박현영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이학승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하연수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정진성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박진규 (원광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이건세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희숙 (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관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and relevant factors of community-based education and advocacy intervention on stroke awareness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Methods: The study enrolled 505 community-dwelling adults aged 19 years or older who completed a survey before and after a comm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일반인구를 대상으로 특정기간 동안 수행된 뇌졸중 교육홍보사업이 지역주민의 뇌졸중 경고증상 및 골든타임 인지도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한 국내 첫 연구이다. 짧은 기간이었지만 지역사회 교육홍보사업을 통해 뇌졸중 경고증상의 인지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뇌졸중 발생 후 응급대처방법 및 골든타임에 대한 지식이 지역사회 일반인들에게서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증상발생 후 병원 도착시간의 지연이 환자 예후에 매우 중요한 장애요인이며, 뇌졸중의 경고증상 및 골든타임에 대한 인식도가 치료시작까지의 시간을 단축시켜서 뇌졸중 예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일반인의 뇌졸중 인식도를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기관들이 연계하여 다양한 방법의 뇌졸중 교육홍보사업을 시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뇌졸중 인지도를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특정 기관, 특정 방법 보다는 지역사회 차원의 포괄적 종합적인 교육홍보사업이보다 효과적일 수 있을 것이다.
  • 하지만 이러한 지역사회 교육홍보전략의 뇌졸중 인지도 개선 효과는 외국의 연구들에서만 확인되었을 뿐, 그동안 국내에서는 지역사회 차원의 개선 효과에 대한 연구가 전혀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 대상의 교육홍보사업이 지역주민의 뇌졸중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이를 통해 향후 지역사회 차원의 교육홍보사업의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고자 시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전북 익산시에 거주하는 시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보건의료기관이 연계하여 8개월간 건강교육, 홍보, 캠페인, 전문인력교육 등 다양한 뇌졸중 교육홍보사업을 전개한 후 시민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암에 이어 두 번째 사망원인인 질병은 무엇인가? 뇌졸중은 우리나라에서 암에 이어 두 번째 사망원인이며, 단일질환으로는 가장 흔한 사망원인이다. 뇌졸중은 사망 또는 심각한 장애를 남기는 경우가 많은 심각한 질환이므로 발병 후 빠른 대처와 빠른 치료가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Gumbinger et al.
뇌졸중 증상발생 후 병원도착시간을 줄이기 위한 방법은? 뇌졸중 증상발생 후 병원도착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일반인들의 뇌졸중 경고증상 및 골든타임 인지도의 향상이 필요하다(Brice, Griswell, Delbridge, & Key, 2002). 기존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차원의 다양한 교육홍보 전략이 뇌졸중 인지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Lecouturier et al.
뇌졸중 증상발생 후 병원도착시간이 단축되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14). 뇌졸중이 발생했을 때 경고증상을 재빨리 인지하고 응급대처를 잘 해서 골든타임 이내에 병원에 도착하는 환자가 많아지면 뇌졸중의 예후는 지금보다 훨씬 개선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ray, J. E., Johnson, R., Trobbiani, K., Mosley, I., Lalor, E., & Cadilhac, D. (2013). Australian public's awareness of stroke warning signs improves after national multimedia campaigns. Stroke, 44(12), 3540-3543. 

  2. Brice, J. H., Griswell, J. K., Delbridge, T. R., & Key, C. B. (2002). Stroke: from recognition by the public to management by emergency medical services. Prehospital Emergency Care, 6(1), 99-106. 

  3. Derex, L., Adeleine, P., Nighoghossian, N., Honnorat, J., & Trouillas, P. (2002). Factors influencing early admission in a French stroke unit. Stroke, 33(1), 153-159. 

  4. Evenson, K. R., Rosamond, W. D., & Morris, D. L. (2001). Prehospital and in-hospital delays in acute stroke care. Neuroepidemiology, 20(2), 65-76. 

  5. Falavigna, A., Teles, A. R., Vedana, V. M., Kleber, F. D., Mosena, G., Velho, M. C., . . . & Roth, F. (2009). Awareness of stroke risk factors and warning signs in southern Brazil. Arquivos de Neuro-psiquiatria, 67(4), 1076-1081. 

  6. Fogle, C. C., Oser, C. S., McNamara, M. J., Helgerson, S. D., Gohdes, D., & Harwell, T. S. (2010). Impact of media on community awareness of stroke warning signs: a comparison study.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19(5), 370-375. 

  7. Fussman, C., Rafferty, A. P., Lyon-Callo, S., Morgenstern, L. B., & Reeves, M. J. (2010). Lack of association between stroke symptom knowledge and intent to call 911: a population-based survey. Stroke, 41(7), 1501-1507. 

  8. Gongora-Rivera, F., Gutierrez-Jimenez, E., & Zenteno, M. A. (2009). Knowledge of ischemic stroke among a Mexico City population.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18(3), 208-213. 

  9. Gumbinger, C., Reuter, B., Stock, C., Sauer, T., Wietholter, H., Bruder, I., . . . & Hacke, W. (2014). Time to treatment with recombinant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and outcome of strokein clinical practice: retrospective analysis of hospital quality assurance data with comparison with results from randomised clinical trials. British Medical Journal, 348, g3429. 

  10. Hartigan, I., O'Connell, E., O'Brien, S., Weathers, E., Cornally, N., Kilonzo, B., & McCarthy, G. (2014). The Irish national stroke awareness campaign: a stroke of success? Applied Nursing Research, 27(4), e13-e19. 

  11. Hickey, A., O'Hanlon, A., McGee, H., Donnellan, C., Shelley, E., Horgan, F., & O'Neill, D. (2009). Stroke awareness in the general population: knowledge of stroke risk factors and warning signs in older adults. BioMed Central Geriatrics, 9, 35. 

  12. Hodgson, C., Lindsay, P., & Rubini, F. (2007). Can mass media influence emergency department visits for stroke? Stroke, 38(7), 2115-2122. 

  13. Kim, J., Hwang, Y. H., Kim, J. T., Choi, N. C., Kang, S. Y., Cha, J. K., . . . & Lim, B. H. (2014). Establishment of government-initiated comprehensive stroke centers for acute ischemic stroke management in South Korea. Stroke, 45(8), 2391-2396. 

  14. Kim, Y. S., Park, S. S., Bae, H. J., Cho, A. H., Cho, Y. J., Han, M. K., . . . & Yoon, B. W. (2011). Stroke awareness decreases prehospital delay after acute ischemic stroke in Korea. BioMed Central Neurology, 11, 2. 

  15. Kim, W. J., Ko, Y., Park, J. H., Ban, B., Han, M. K., Cho, Y. J., & Bae, H. J. (2013). Validation of five cardinal symptoms used for stroke awareness campaign.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31(1), 15-20. [Korean] 

  16. Kimura, K., Iguchi, Y., Shibazaki, K., Aoki, J., Watanabe, M., Matsumoto, N., & Yamashita, S. (2010). Early stroke treatment with IV t-PA associated with early recanalization.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295(1-2), 53-57. 

  17. Lecouturier, J., Rodgers, H., Murtagh, M. J., White, M., Ford, G. A., & Thomson, R. G. (2010). Systematic review of mass media interventions designed to improve public recognition of stroke symptoms, emergency response and early treatment. BioMed Central Public Health, 10, 784. 

  18. Lee, Y. H., Shin, M. H., Kweon, S. S., Choi, J. S., Park, M. S., Cho, K. H., & Lim, Y. S. (2012). Awareness of stroke warning signs and risk factors: result of a 2010 community surve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30(1), 26-32. [Korean] 

  19. Lundelin, K., Graciani, A., Garcia-Puig, J., Guallar-Castillon, P., Taboada, J. M., Rodriguez-Artalejo, F., & Banegas, J. R. (2012). Knowledge of stroke warning symptoms and intended action in response to stroke in Spain: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Cerebrovascular Diseases, 34(2), 161-168. 

  20. Marx, J. J., Klawitter, B., Faldum, A., Eicke, B. M., Haertle, B., Dieterich, M., & Nedelmann, M. (2010). Gender-specific differences in stroke knowledge, stroke risk perception and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multimedia campaign. Journal of Neurology, 257(3), 367-374. 

  21. Mikulik, R., Goldemund, D., Rief, M., Brichta, J., Neumann, J., Jarkovsky, J., & Kryza, J. (2011). Calling 911 in response to stroke: no change following a four-year educational campaign. Cerebrovascular Diseases, 32(4), 342-348. 

  22. Miyamatsu, N., Kimura, K., Okamura, T., Iguchi, Y., Nakayama, H., Toyota, A., . . . & Yamaguchi, T. (2012). Effects of public education by television on knowledge of early stroke symptoms among a Japanese population aged 40 to 74 years: a controlled study. Stroke, 43(2), 545-549. 

  23. Mochari-Greenberger, H., Towfighi, A., & Mosca, L. (2014) National women's knowledge of stroke warning signs, overall and by race/ethnic group. Stroke, 45(4), 1180-1182. 

  24. Muller-Nordhorn J., Wegscheider K., Nolte C. H., Jungehulsing G. J., Rossnagel K., Reich A., . . . & Willich S. N. (2009). Population-based intervention to reduce prehospital delays in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event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9(16), 1484-1490. 

  25. Oser, C. S., Gohdes, D., Fogle, C. C., Tadios, F., Doore, V., Bell, D. S., . . . & Helgerson, S. D. (2013). Cooperative strategies to develop effective stroke and heart attack awareness messages in rural american Indian communities, 2009-2010. Preventing Chronic Disease, 10, E80. 

  26. Pandian, J. D., Kalra, G., Jaison, A., Deepak, S. S ., Shamsher, S., Singh, Y., & Abraham, G. (2006). Knowledge of stroke among stroke patients and their relatives in Northwest India. Neurology India, 54(2), 152-156. 

  27. Park, M. H., Jo, S. A., Jo, I., Kim, E., Eun, S. Y., Han, C., & Park, M. K. (2006). No difference in stroke knowledge between Korean adherents to traditional and western medicine - the AGE study: an epidemiological study. BioMed Central Public Health, 6, 153. 

  28. Rasura, M., Baldereschi, M., Di, Carlo. A., Di, Lisi. F., Patella, R., Piccardi, B., . . . & Inzitari, D. (2014). Promotion and Implementation of Stroke Care in Italy Project Working. Effectiveness of public stroke educational interventions: a review. European Journal of Neurology, 21(1), 11-20. 

  29. Schneider, A. T., Pancioli, A. M., Khoury, J. C., Rademacher, E., Tuchfarber, A., Miller, R., . . . & Broderick, J. P. (2003). Trends in community knowledge of the warning signs and risk factors for strok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9(3), 343-346. 

  30. Silver, F. L., Rubini, F., Black, D., & Hodgson, C. S. (2003). Advertising strategies to increase public knowledge of the warning signs of stroke. Stroke, 34(8), 1965-1968. 

  31. Sug Yoon. S., Heller, R. F., Levi, C., Wiggers, J., & Fitzgerald, P. E. (2001). Knowledge of stroke risk factors, warning symptoms, and treatment among an Australian urban population. Stroke, 32(8), 1926-1930. 

  32. Wahab, K. W., Okokhere, P. O., Ugheoke, A. J., Oziegbe, O., Asalu, A. F., & Salami, T. A. (2008). Awareness of warning signs among suburban Nigerians at high risk for stroke is poor: a cross-sectional study. BioMed Central Neurology, 8, 18. 

  33. Williams, L. S., Bruno, A., Rouch, D., & Marriott, D. J. (1997). Stroke patients' knowledge of stroke. Influence on time to presentation. Stroke, 28(5), 912-915. 

  34. Worthmann, H., Schwartz, A., Heidenreich, F., Sindern, E., Lorenz, R., Adams, H. A., . . . & Dengler, R. (2013). Educational campaign on stroke in an urban population in Northern Germany: influence on public stroke awareness and knowledge. International Journal of Stroke, 8(5), 286-292. 

  35. Zangerle, A., Kiechl, S., Spiegel, M., Furtner, M., Knoflach, M., Werner, P., . . . & Willeit, J. (2007). Recanalization after thrombolysis in stroke patients: predictors and prognostic implications. Neurology, 68(1), 39-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