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통계분석기법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유력지역 탐색기법 연구
A Study on Detection Methodology for Influential Areas in Social Network using Spatial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2 no.4, 2014년, pp.21 - 30  

이영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부) ,  박우진 (서울대학교 환경정화기술 및 위해성평가 연구센터) ,  유기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소셜 미디어의 활성화로 인해 소셜 네트워크상에서 수많은 자발적 추종자들을 확보한 새로운 형태의 유력자가 대두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상에서의 유력자를 탐색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고, 관련 서비스가 제공 중에 있으나 이들은 유력자 규명에 있어 위치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LBSNS)가 가지고 있는 위치 정보에 대한 반영이 부족하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간통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LBSNS 데이터를 대상으로 다양한 사회문화적 이슈에 대한 발언에 영향력을 가지는 유력자를 공간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트위터의 지오태깅된 메시지를 분석 데이터로 사용하였으며, 서울시를 공간적 범위로 하여 한 달 동안 총 168,040건의 메시지를 수집하였다. 또한 '정치', '경제', 'IT'를 연구 대상 범주로 설정하고, 데이터 수집 기간 동안 이슈가 되었던 키워드들을 주어진 범주별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키워드에 대한 유력자를 파악하기 위한 노출도를 도출하고, 이에 대해 서울시의 행정동을 기준으로 공간결합연산을 실시함으로써 각 키워드에 대한 행정동별 노출도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행정동별로 산출된 노출도의 공간적 의존성을 고려하여 유력지수를 도출하였으며, 키워드별로 상위의 유력지수를 보이는 지역을 유력지역으로 추출하여 이들의 공간적인 분포 특성과 키워드들 간의 공간적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동일 범주 내에서 키워드 간의 공간적 상관계수는 0.3 이상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정치범주와 경제범주의 키워드 간 상관계수 역시 평균 0.3으로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인 반면, 정치범주와 IT범주, 경제범주와 IT범주 키워드 간의 상관계수는 각각 0.18, 0.15로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유력자에 대한 연구를 공간 정보의 관점에서 구체화시켰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향후에 gCRM(geographic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등의 분야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tely, new influentials have secured a large number of volunteers on social networks due to vitalization of various social media. There has been considerable research on these influential people in social networks but the research has limitations on location information of Location Based Social N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위에서 지적한 연구 및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간통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LBSNS 데이터를 대상으로 정치, 경제, IT 분야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안에 대한 발언에 영향력을 가지는 유력자를 공간적으로 탐색,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LBSNS를 포함하는 다양한 소셜 미디어의 사회문화적 영향력에 대한 막연하고 추상적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나날이 발전하는 소셜 미디어 환경 하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등장한 유력자에 대한 연구를 공간 정보의 관점에서 구체화시켰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본 연구에서는 공간통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LBSNS 데이터를 대상으로 사회문화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키워드에 대한 발언에 영향력을 가지는 유력자를 공간적으로 탐색,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 달 간 168,040건의 LBSNS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기존의 뉴스 분류 체계를 차용하여 ‘정치’, ‘경제’, ‘IT’를 연구 대상 범주로 설정하고, 데이터 수집 기간 동안 이슈가 되었던 키워 드들을 범주별로 분류하였다.
  • Yoo and Kim(2013)의 트위터 검색 네트워크 분석에 대한 연구에서는 트윗 작성자의 팔로어 수와 그 트윗이 리트윗될 때 리트윗하는 사용자들의 팔로어 수의 합을 이용하여 노출도를 산정하고 있으며, 이는 팔로어 유력자의 개념과 리트윗 유력자의 개념을 모두 고려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노출 도에 해당 트윗이 즐겨찾기로 지정된 횟수를 추가적으로 더해줌으로써 영향력 있는 트윗의 노출도를 가중하는 효과와 함께 노출도의 장기적인 영향까지 고려하고자 하였다. 노출도는 식 (1)과 같이 계산할 수 있으며, 0 이상의 정숫값을 가진다.
  • 본 장에서는 범주별 키워드에 대한 행정 동별 유력지수를 산출하고, 이들 중 상위 5%에 해당하는 지역들의 공간적인 분포 특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서울시의 423개 행정동 중에서 정치범주에서 총 50개, 경제범주에서 총 46개, IT범주에서는 총 54개의 행정 동이 각각 유력지역으로 추출되었다.
  • 따라서 유력자의 공간적 탐색에 있어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유력지수(Influential Index, II)라는 개념을 제안하였다. 유력지수란 각 키워드에 대해 행정동별로 산출된 노출도와 해당 노출도의 공간적 의존성의 정도를 가중치로 하여 나타낸 값을 곱하여 구해지는 수치로, 키워드가 2개 이상일 경우 이들의 가중 합이 유력 지수가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rendsmap 서비스는 어떤 단점을 지녔는가? LBSNS 관련 서비스 중 Trendsmap3)은 구글맵과 연동하여 지역별로 이용자들 사이에서 많이 언급되고 있는 키워드를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어느 지역에 어떤 키워드와 사용자가 이슈가 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Trendsmap 서비스는 소축척 레벨에서 넓은 지역에 대해서는 파악할 수 있지만 대축척 레벨에서 세부적인 지역에 대해서는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지도상에서 키워드에 대한 검색은 가능하지만 이에 대한 결과로서 지도를 기반으로한 키워드 시각화 화면만을 제공할 뿐 정량적이고 수치 적인 분석 기능을 제공하지는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유력지수란 무엇인가? 이에 본연구에서는 유력지수(Influential Index, II)라는 개념을 제안하였다. 유력지수란 각 키워드에 대해 행정동별로 산출된 노출도와 해당 노출도의 공간적 의존성의 정도를 가중치로 하여 나타낸 값을 곱하여 구해지는 수치로, 키워드가 2개 이상일 경우 이들의 가중 합이 유력 지수가 된다. 이때 노출도의 공간적 의존성을 고려하기 위해 국지적 공간 의존성 지수 중 하나인 Local Moran’s I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유력자 정보의 공간적 탐색과정은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유력자 정보의 공간적 탐색 과정은 크게 4단계로 구성되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 키워드에 대한 유력자를 파악하기 위한 노출도(exposure index)를 도출하고, 이에 대해 서울시 행정동을 기준으로 공간결합(spatial join)연산을 실시함으로써 각 키워드에 대한 행정동별 노출도를 산출하였다. 둘째, 유력자 파악에 있어 행정동별로 산출된 노출도의 공간적 의존성(spatial dependence)을 가중치로 고려하기 위해 Local Moran’s I를 이용하여 유력지수(influential index)를 도출하였다. 셋째, 상위의 유력지수를 보이는 지역을 유력지역(influential area)으로 추출하여 이들의 공간적인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넷째, Spatial Lag Pearson’s r을 이용하여 키워드별로 다양하게 추출된 유력지역들의 공간적인 분포 패턴 간의 상관성(correlation)을 분석하였다(Fig.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ha, M. Y., Haddadi, H., Benevenuto, F. and Gummadi, P. K., 2010, Measuring user influence in Twitter: The million follower fallacy,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AAAI Conference on Weblogs and Social Media, pp. 10-17. 

  2. Java, A., Song, X., Finin, T. and Tseng, B., 2007, Why we twitter: understanding microblogging usage and communities, Proceedings of the 9th WebKDD and 1st SNA-KDD 2007 Workshop on Web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pp. 56-65. 

  3. Kim, H. T., Kim, S. S. and An, S. H., 2009, The pattern of urban growth and measurement of spatial structural change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17, No. 3. pp. 41-48. 

  4. Korea Internet and Security Agency, Internet & Security Issue, Vol. 2010, No. 3, p. 39. 

  5. Lee, S. I., 2001, Developing a bivariate spatial association measure: an integration of Pearson's r and Moran's I, Journal of Geographical Systems, Vol. 3, No. 4, pp. 369-385. 

  6. Lee, W. T., Cha, M. Y. and Park, H. Y., 2010, Influentials' role in mobile social media, Digital Convergence- based Prospective Study(II),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Vol. 2010, No. 27, pp. 1-123. 

  7. Park, H. S., Cha, M. Y. and Moon, S. B., 2010, Influentials ranking in social network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Vol. 28, No. 3, pp. 24-30. 

  8. Taylor, R., 1990, Interpretation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 basic review, Journal of Diagnostic Medical Sonography, Vol. 6, No. 1, pp. 35-39. 

  9. Weng, J., Lim, E. P., Jiang, J. and He, Q., 2010, Twitterrank: finding topic-sensitive influential twitterers, In Proceedings of the third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b Search and Data Mining, pp. 261-270. 

  10. Yoo, B. K. and Kim S. H., 2013, Marketing strategie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 Twitter's search network,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3, No. 5, pp. 396-4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