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시간 정량 PCR을 통한 김치 유래 Weissella spp.에 의한 Listeria monocytogenes 생육 억제
Growth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Weissella spp. from Kimchi Through Real-time PCR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0 no.1, 2015년, pp.103 - 108  

이영덕 (서원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대용 (서원대학교 제약공학과) ,  박종현 (가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김치로부터 W. cibaria 0D17와 W. confusa 0D23를 생화학적 특성 분석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분리, 동정하였으며, W. cibaria 0D17와 W. confusa 0D23 배양 상등액이 L.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간 정량 PCR을 통해 W. cibaria 0D17 및 W. confusa 0D23가 L. monocytogenes를 공동 배양했을 때의 생육억제 효과를 분석한 결과, $37^{\circ}C$에서는 생육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김치 유래 Weissella spp.가 갖는 L.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 활성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며, W. cibaria 0D17 및 W. confusa 0D23가 생산하는 bacteriocin 등의 항균 물질 특성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issella spp. from traditional Korean foods of Kimchi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against food-borne pathogenic Listeria monocytogens.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W. cibaria 0D17 and W. confusa 0D23 from Kimchi by the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16S DNA sequencing. The culture solu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치로부터 Weissella spp.를 분리 및 동정하고 정량 PCR을 통해 L. monocytogenes의 생육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해 분리된 김치 유래 W. cibaria 0D17와 W. confusa 0D23이 식중독 세균인 L.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 활성 유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W.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 monocytogene에 감염된 음식을 먹으면 어떤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가? L. monocytogene는 식중독 세균으로 우유, 쇠고기, 돼지 고기, 닭고기 같은 다양한 식품으로부터 분리되었으며 이에 감염된 식품 또는 식품 원료 물질을 섭취하면 수막염, 심내막염 및 파종성육아종을 유발하고 임산부의 경우 유산, 사산, 조산 등을 일으킬 수 있는 리스테리아증(listeriosis) 이 유발될 수 있다10,11). 특히, 저온에서도 생육이 가능하여 미국과 유럽 등의 식품 제조업체에서 매우 중요한 식중독 세균으로 인식되고 있다.
pH 조정 여부에 상관없이 Weissella spp. 두 종이 L. monocytogenes에 항균효과를 보인 것에 대한 이유로 추정하는 것은? monocytogenes에 대해 억제환을 나타내어 항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data not shown). 이러한 결과는 pH를 조정하지 않았을 경우는 Weissella spp.가 생성하는 다양한 유기산과 항균물질 등에 의한 것으로 보이며, pH를 중성으로 조정하였을 때는 Weissella spp.가 형성하는 bacteriocin 등의 항균물질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L.
Weissella spp.는 어떤 균이며 무슨 일을 하는가? 이러한 Weissella spp.는 catalase 음성으로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 Gram 양성 세균으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유산을 생성하고, 포도당을 발효하여 젖산과 이산화탄소를 생성 하는 이상발효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Weissella sp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eroy, F. and De Vuyst, L.: Lactic acid bacteria as functional starter cultures for the food fermentation industry. Trends Food Sci. Technol. 15, 67-78 (2004). 

  2. Vyas, U. and Ranganathan, N.: Probiotics, prebiotics, and synbiotics: Gut and beyond. Gastroenterol. Res. Pract. 2012, 1-16 (2012). 

  3. Jeppsson, B., Mangell, P., and Thorlacius, H.: Use of probiotics as prophylaxis for postoperative infections. Nutri. 3, 604-612 (2011). 

  4. Wallace, T.C., Guarner, F., Madsen, K., Cabana, M.D., Gibson, G., Hentges, E., and Sanders, M.E.: Human gut microbiota and its relationship to health and disease. Nutr. Rev. 69, 392-403 (2011). 

  5. De Bruyne, K., Camu, N., De Vuyst, L., and Vandamme, P.: Weissella fabaria sp. nov., from a Ghanaian cocoa fermentation. Int. J. Syst. Evol. Microbiol. 60,1999-2005 (2010). 

  6. Collins, M.D., Samelis, J., Metaxopoulos, J., and Wallbanks, S.: Taxonomic studies on some leuconostoc-like organisms from fermented sausages: description of a new genus Weissella for the 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group of species. J. Appl. Bacteriol. 75, 595-603 (1993). 

  7. Kim, J.H., Lee, K.W., Han, N.S., Park, J.Y., and Chun, J.Y.: Importance of Weissella Species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Future Works. J. Microbiol. Biotechnol. 38, 341-348 (2010). 

  8. Srionnual, S., Yanagida, F., Lin, L.H., Hsiao, K.N., and Chen, Y.S.: Weissellicin 110, a newly discovered bacteriocin from Weissella cibaria 110, isolated from plaa-som, a fermented fish product from Thailand. Appl. Environ. Microbiol. 73, 2247-50 (2007). 

  9. Leong, K.H., Chen, Y.S., Lin, Y.H., Pan, S.F., Yu, B., and Wu, H.C., Yanagida, F.: Weissellicin L, a novel bacteriocin from sian-sianzih-isolated Weissella hellenica 4-7. J. Appl. Microbiol. 115, 70-76 (2013). 

  10. Dieterich, G., Karst, U., Fischer, E. Wehland, J. and Jansch, L.: LEGER: knowledge database and visualization tool for comparative genomics of pathogenic and non-pathogenic Listeria species. Nucleic Acids Res. 34, D402-D406 (2006). 

  11. Farber, J.M. and Peterkin, P.I.: Listeria monocytogenes, a food-borne pathogen. Microbiol. Rev. 55, 476-511 (1991). 

  12. Gravesen, A., Z. Diao, J. Voss, B.B. Budde, and S. Knochel.: Differential inactiv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Dand L lactic acid. Lett. Appl. Microbiol. 39, 528-532 (2004). 

  13. Lu, Z., Sebranek, J.G., Dickson, J.S., Mendonca, A.F. and Bailey, T.B.: Application of predictive models to estimate Listeria monocytogenes growth on frankfurters treated with organic acid salts. J. Food Prot. 68, 2326-2332 (2005). 

  14. Bae, J.W., Rhee, S.K., Park, J.R., Chung, W.H., Nam, Y.D., Lee, I., Kim, H. and Park, Y.H.: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genome-probing microarray for monitoring lactic acid bacteria. Appl. Environ. Microbiol. 71, 8825-8835 (2005). 

  15. Kim, M.J., and Chun, J.S.: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kimchi, a Korean fermented vegetable food, as revealed by 16S rRNA gene analysis. Int. J. Food Microbiol. 103, 91-96 (2005). 

  16. Lee, J.S., Heo, G.Y., Lee, J.W., Oh, Y.J., Park, J.A., Park, Y.H., Pyun,Y.R., and Ahn, J.S.: Analysis of kimchi microflora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Int. J. Food Microbiol. 102, 143-150 (2005). 

  17. Ahn, S.B., Park, H.E., Lee, S.M., Kim, S.Y., Shon, M.Y., and Lee, W.K.: Characteristics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of Weissella cibaria JW15 isolated from Kimchi, Korea traditional fermented food, for probiotic use. J. Biomed. Res. 14, 206-211 (2013). 

  18. Maurer, J.: The methodology of PCR. pp 27-40: In: PCR methods in foods. Maurer J (ed.), Springer, Inc., New York, NY, USA (2006). 

  19. Heo, S., Lee, S.K., Lee, C.H., Min, S.G., Park, J.S., and Kim. H.Y.: Morphological changes induced in Listeria monocytogenes V7 by a bacteriocin produced by Pediococcus acidilactici. J. Microbiol. Biotechnol. 17, 663-667 (2007). 

  20. Iseppi, R., Pilati, F., Marini, M., Toselli, M., Niederhausern, D.S., Guerrieri, F., Messi, P., Sabia, C., Manicardi, G., Anacarso, I., and Bondi, M.: Anti-listerial activity of a polymeric film coated with hybrid coatings doped with Enterocin 416K1 for use as bioactive food packaging. Int. J. Food Microbiol. 30, 281-287 (2008). 

  21. Shin, M.S., Han, S.K., Ryu, J.S., Kim, K.S., and Lee, W.K.: Isol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a bacteriocin produced by Pediococcus pentosaceus K23-2 isolated from Kimchi. J. Appl. Microbiol. 105, 331-339 (2008). 

  22. Trias, R., Badosa, E., Montesinos, E., and Baneras, L.: Bioprotective Leuconostoc strains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in fresh fruits and vegetables. Int. J. Food Microbiol. 127, 91-98 (2008). 

  23. Boyer, R.R., Matak, K., Sumner, S.S., Meadows, B., Williams, R.C., Eifert, J.D., Birbari, W.: Survival of Listeria monocytogenes, Listeria innocua, and lactic acid bacteria in chill brines. J. Food Sci. 74, M219-M23 (2009). 

  24. Aguilar, C., and KLOTZ, B.: Effect of the temperature on the antagonistic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against Escherichia coli and Listeria monocytogenes. J. Food Safety. 30, 996-1015 (2010). 

  25. de Carvalho, A.A., de Paula, R.A., Mantovani, H.C., and de Moraes, C.A.: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a lactic acid bacterium isolated from Italian salami. Food Microbiol. 23, 213-219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