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뇌졸중 환자들의 이차 예방을 위한 치료 지속률과 약물 순응도 관련 요인
Predictors of Persistence and Adherence with Secondary Preventive Medication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0 no.1, 2015년, pp.9 - 20  

김영택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관리과) ,  박기수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건강과학연구원) ,  배상근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역사회 뇌졸중환자들의 치료 지속률과 약물 순응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실시되지 않았다. 그러나 치료 지속률과 약물 순응도가 뇌졸중의 재발 및 사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은 많이 알려진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뇌졸중환자들을 임의 추출하여 이들의 치료 지속률과 약물 순응도를 평가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429명으로 이들의 뇌졸중 치료율과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의 순응률을 파악하였으며 약물 순응도는 의도적 비순응군과 비의도적 비순응군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치료 지속률은 86.5%였으며 이들 중 약물 순응도는 41.2%였다. 치료 지속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보건교육 경험뿐이었으며, 비의도적 약물 비순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mRS와 보건교육 경험 그리고 의도적 약물 비순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mRS와 우울감 정도 그리고 약물에 대한 신념(필요성, 염려)이었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 뇌졸중환자의 재발방지와 사망률감소를 위하여 약물복용을 중요하게 교육하여야 할 것이며 순응도 향상을 위해서는 약물에 대한 필요성은 올리고 염려 수준을 낮추도록 교육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ersistence and adherence to secondary preventive medication of stroke patients after discharge and to assess the reasons for persistence and nonadherence. Methods: Four hundred twenty-nine patients with stroke were surveyed to determine their behaviors 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뇌졸중 환자들 중 보건소에 등록되어 있는 환자들의 치료여부와 약물 순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기 위하여 실시된 단면연구이다. 연구 결과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뇌졸중 환자들 중 86.
  • 이번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재발 방지를 위한 약물 순응률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특히 의도적 약물 비순응군과 비의도적 약물 비순응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 지역사회 뇌졸중 환자들을 위한 약물 순응도 개선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그러나 치료 지속률과 약물 순응도가 뇌졸중의 재발 및 사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은 많이 알려진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뇌졸중환자들을 임의 추출하여 이들의 치료 지속률과 약물 순응도를 평가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429명으로 이들의 뇌졸중 치료율과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의 순응률을 파악하였으며 약물 순응도는 의도적 비순응군과 비의도적 비순응군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률은 어느정도인가? 국내의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률은 2013년 현재 인구 10만명당 33.8명으로 지난 10년간 지속적인 감소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단일 질환으로는 수위를 차지하고 있다[1]. 더욱이, 뇌졸중은 재발이 흔한 병으로 발병 후 5년간 약 25%정도의 환자에게서 재발이 나타나며 뇌경색이 재발한 경우 처음 발생했을 때보다 심한 후유증이 남을 뿐만 아니라 치명률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뇌졸중환자의 치료순응도 중 의도적인 비순응은 무엇인가? 뇌졸중환자의 치료순응도에서도 특히 항혈소판제를 비롯한 선행질환들에 대한 약물 순응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이러한 약물 비순응도를 환자의 관점에서는 의도적인 비순응과 비의도적인 비순응으로 구분할 수 있다[9-13]. 의도적인 비순응은 환자가 처방된 대로 약을 복용하지 않겠다는 능동적인 의사결정의 결과로, 치료의 이해득실을 고려한 환자의 의사결정을 나타내며 반면, 비의도적인 비순응은 계획하지 않은 행동으로 사람들이 자신의 통제를 벗어난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은 수동적인 과정이며, 환자가 약물 복용하는 것을 잊어버리거나 복용방법을 정확히 몰라서 생긴다.
뇌졸중의 재발과 관련된 특징은 어떠한가? 8명으로 지난 10년간 지속적인 감소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단일 질환으로는 수위를 차지하고 있다[1]. 더욱이, 뇌졸중은 재발이 흔한 병으로 발병 후 5년간 약 25%정도의 환자에게서 재발이 나타나며 뇌경색이 재발한 경우 처음 발생했을 때보다 심한 후유증이 남을 뿐만 아니라 치명률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tatistics Korea. Annual Report on The Causes of Death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board (Korean) 

  2. Mohan KM, Wolfe CD, Rudd AG, Heuschmann PU, Kolominsky-Rabas PL, Grieve AP. Risk and cumulative risk of stroke recurrenc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troke 2011;42(5):1489-1494 

  3. Antiplatelet Trialist's Collaboration. Secondary prevention of vascular disease by prolonged antiplatelet treatment. BMJ 1988;296(6618):320-331 

  4. Antiplatelet Trialist's Collaboration. Collaborative overview of randomized trials of antiplatelet therapy-I: Prevention of death,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by prolonged antiplatelet therapy in various categories of patients. BMJ 1994;308(6921):81-106 

  5. Ovbiagele B, Saver JL, Fredieu A, Suzuki S, Selco S, Rajajee V, McNair N, Razinia T, Kidwell CS. In-hospital initiation of secondary stroke prevention therapies yields high rates of adherence at follow-up. Stroke 2004;35(12):2879-2883 

  6. Rahiman A, Saver JL, Porter V, Buxton W, McNair N, Razinia T, Ovbiagele B. In-hospital initiation of secondary prevention is associated with improved vascular outcomes at 3 months. J Stroke Cerebrovasc Dis 2008;17(1):5-8 

  7. Bushnell C, Zimmer L, Schwamm L, Goldstein LB, Clapp-Channing N, Harding T, Drew L, Zhao X, Peterson E; AVAIL registry. The Adherence eValuation After Ischemic Stroke Longitudinal (AVAIL) registry: design, rationale, and baseline patient characteristics. Am Heart J 2009;157(3):428-435 

  8. Bushnell CD1, Olson DM, Zhao X, Pan W, Zimmer LO, Goldstein LB, Alberts MJ, Fagan SC, Fonarow GC, Johnston SC, Kidwell C, Labresh KA, Ovbiagele B, Schwamm L, Peterson ED; AVAIL Investigators. Secondary preventive medication persistence and adherence 1 year after stroke. Neurology 2011;77(12):1182-905. 

  9. Lehane E, McCarthy G.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medication non-adherence: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clinical research and practice? A discussion paper. Int J Nurs Stud 2007;44(8):1468-77 

  10. Hugtenburg JG, Timmers L, Elders PJ, Vervloet M, van Dijk L. Definitions, variants, and causes of nonadherence with medication: A challenge for tailored interventions. Patient Prefer Adherence 2013;7:675 

  11. Wroe AL.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nonadherence: A study of decision making. J Behav Med 2002;25(4):355-372 

  12. Lowry KP, Dudley TK, Oddone EZ, Bosworth HB.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nonadherence to antihypertensive medication. Ann Pharmacother 2005;39(7-8):1198-1203 

  13. Lehane E, McCarthy G. An examination of the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aspects of medication non-adherence in patients diagnosed with hypertension. J Clin Nurs 2007; 16(4):698-706 

  14. Horne R, Chapman SC, Parham R, Freemantle N, Forbes A, Cooper V. Understanding patients' adherence-related beliefs about medicines prescribed for long-term conditions: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Necessity-Concerns Framework. PLoS One 2013;8(12):e80633 

  15. Horne R, Weinman J. Patients' beliefs about prescribed medicines and their role in adherence to treatment in chronic physical illness. J Psychosom Res 1999;47(6):555-567. 

  16. Jung JH, Kim YH, Han DJ, Kim KS, Chu SH.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Taking Immunosuppressants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J Korean Soc Transplant 2010;24(4):289-297 (Korean) 

  17. Lee JK. Factors associated with drug misuse behaviors among polypharmacy elderly. Korean J Adult Nurs 2011;23(6):554-563 (Korean) 

  18. Hong KS. Measuring and analysis of outcome in stroke trials. Korean J Stroke 2011;13(1):1-10 (Korean) 

  19. Kang H. A guide on the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J Korean Acad Nurs 2013;43(5):587-594 (Korean) 

  20. Lubben J1, Blozik E, Gillmann G, Iliffe S, von Renteln Kruse W, Beck JC, Stuck AE. Performance of an abbreviated version of the Lubben Social Network Scale among three Europea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 populations. Gerontologist 2006;46(4):503-513. 

  21. Hong M, Casado BL, Harrington D. Validation of Korean versions of the Lubben social network scales in Korean Americans. Clinical gerontologist 2011;34(4):319-334 

  22. Ki B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 Korean Neuropsychatr Assoc 1996;35(2):298-307 (Korean) 

  23. Osterberg L, Blaschke T. Adherence to medication. N Engl J Med 2005;353(5):487-497 

  24. Koh IS, Kim HC, Kwon SB, Hwang SH, Kwon KH, Kim SM, Song HK, Lee BC. The compliance of stroke patients for secondary prevention : In Seoul & Kyunggi Province J Kor Neurol Ass 1999;17(4):472-477 (Korean) 

  25. Lummis HL1, Sketris IS, Gubitz GJ, Joffres MR, Flowerdew GJ. Medication persistence rate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persistence in patients following stroke: a cohort study. BMC Neurol 2008;8:25 

  26. Jang SH, Kang PS, Lee KS, Kim SB, Yun SH. Change in health behaviors of patients before and after stroke. Korean J of Rural Med 2002;27(1):9-19 (Korean) 

  27. Kim SO. Medication adherence of elderly with hypertension and/or diabetes-mellitu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Kor J Clin Pharm 2011;21(2):81-89 (Korean) 

  28. Kirkpatrick AC, Vincent AS, Guthery L, Prodan CI. Cognitive impairment is associated with medication nonadherence in asymptomatic carotid stenosis. Am J Med 2014;127(12):1243-1246 

  29. Ji R, Liu G, Shen H, Wang Y, Li H, Peterson E, Wang Y. Persistence of secondary prevention medications after acute ischemic stroke or transient ischemic attack in Chinese population: data from China National Stroke Registry. Neurol Res 2013;35(1):29-36 

  30. DiMatteo MR, Lepper HS, Croghan TW. Depression is a risk factor for noncompliance with medical treatment: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anxiety and depression on patient adherence. Arch Intern Med 2000; 160(14):2101-2107 

  31. Leventhal H, Weinman J, Leventhal EA, Phillips LA. Health psychology: The search for pathways between behavior and health. Annu Rev Psychol 2008;59:477-5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