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당뇨병 환자와의 비교를 통한 우리나라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2)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compared with non-diabetic subjects in Korea: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0 no.1, 2015년, pp.21 - 31  

신환호 (조선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한미아 (조선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박종 (조선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류소연 (조선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최성우 (조선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박선미 (조선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김효주 (조선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 당뇨병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고, 당뇨병이 다른 만성질환이나 정상 건강인에 비해 삶의 질이 얼마나 다른지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제5기(2010-2012)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건강 설문조사와 검진조사에 모두 응답한 자로서 분석 변수에 결측치가 없는 만 19세 이상 성인 17,655명으로 하였다. 만성질환군 및 정상 건강군에 비해 당뇨병환자에서 삶의 질의 모든 하부영역에 '문제 있다'라고 응답한 분율이 더 높았다. 당뇨병환자에서 삶의 질의 하부 영역 중 운동능력(36.4%)에 문제가 있다고 한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통증/불편감(35.4%)이었다. 당뇨병환자와 만성질환군 및 정상 건강군간 삶의 질의 5가지 하부 영역을 비교하기 위해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당뇨병환자를 기준으로 '문제 있음'에 대한 교차비와 신뢰구간을 계산한 결과 운동능력은 당뇨병 환자에 비해 만성질환군의 OR(95%CI)값이 0.77(0.66-0.91), 정상 건강군이 0.61(0.50-0.75)이었고, 자기관리는 0.68(0.55-0.83), 0.69(0.51-0.94)이었고, 일상활동은 0.85(0.72-0.99), 0.79(0.62-0.98)로 당뇨병환자에 비해 만성질환군과 정상 건강군이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활동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낮았다. 당뇨병환자의 질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삶의 질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 연구들이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인구학적, 건강관련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건강프로그램이나 복지정책을 개발, 발전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mong patients with diabetes in Korea and to compare them with the HRQoL of individuals without diabetes history.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7,655 adults aged over 19 who participated in the 5th Korea National 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성인 당뇨병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고, 당뇨병 이외의 만성질환이 있는 군과 당뇨병 및 만성질환이 모두 없는 군과 비교하여 삶의 질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당뇨병 환자만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또한 국민건강영양조사는 일반 가정에 거주하는 지역사회 주민들만을 대상으로 조사하기 때문에 당뇨병이나 다른 만성질환이 심각하게 진행되어 병원이나 시설에 입소된 환자가 제외되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전체 당뇨병 환자나 만성질환자를 대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의 특성상 당뇨병 의사진단자만을 대상으로 당뇨병 교육, 당뇨병 치료 여부 등을 조사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의사진단자만을 당뇨병환자로 정의하여, 당뇨병이 이미 발병하였으나, 본인이 인지하지 못한 사람은 제외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삶의 질은 객관적인 임상 상태 뿐 아니라 본인이 질병을 가지고 있다는 인지적인 측면에 의해서 영향을 받기 때문에 향후 인지적인 측면과 임상 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 당뇨병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고, 당뇨병이 다른 만성질환이나 정상 건강인에 비해 삶의 질이 얼마나 다른지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제5기(2010-2012)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 중 건강 설문조사와 검진조사에 모두 응답한 자로서 분석 변수에 결측치가 없는 만 19세 이상 성인 17,655명으로 하였다.
  • 당뇨병환자는 최근 10년간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높은 유병률과 다양한 합병증을 초래해 신체적, 정신적 건강이 악화되고, 이로 인해 삶의 질이 저하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당뇨병 환자와 다른 만성질환, 정상 건강군과의 삶의 질을 비교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또한 만성질환의 경우 삶의 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는데[10-12], 당뇨병과 다른 만성질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었는지 비교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성인 당뇨병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고, 당뇨병 이외의 만성질환이 있는 군과 당뇨병 및 만성질환이 모두 없는 군과 비교하여 삶의 질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당뇨병 환자만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의 결과로 나타나는 질환은 무엇인가? 당뇨병은 췌장의 인슐린 분비장애와 인슐린 작용의 결함으로 인해 혈당의 지속적인 상승이 일어나면서, 탄수화물 대사 장애와 단백질 및 지질 대사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이 결과로 지속적인 고혈당과 다갈, 다뇨, 다식, 체중감소, 의식장애, 혼수 등과 눈, 신장, 심혈관 및 신경장애 등의 급성 혹은 만성 합병증이 동반되는 만성대사성질환이다[3].
당뇨병의 유병률이 증가하는 이유는? 당뇨병은 서구화된 식습관,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질병관리 본부에 따르면 2013년 당뇨병 유병률은 전체 국민의 약 11%라고 밝혔고, 당뇨병 전체 환자의 50% 이상이 당뇨합병증으로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률이 2013년 인구10만 명당 21.
당뇨병의 치료를 위해 요구되는 관리는? 당뇨병은 평생 지속되는 질병으로 당뇨병 환자 들이 자가관리와 생활습관 개선을 하는 주된 목표는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며, 의료진 역시 질병의 완치보다는 정상 범위의 혈당유지와 합병증을 예방하여 삶의 질을 높여주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4]. 당뇨병의 치료를 위해서는 식이조절, 규칙적인 운동,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등의 일상생활에서 요구되는 관리 및 꾸준한 약물요법으로 혈당을 조절하고, 자가관리를 잘 수행함으로써 합병증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켜야 하지만, 만성적으로 오랜 시간 증상을 경험하기 때문에 자가관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소홀해짐으로서 혈당 조절이 되지 않아 증상이 악화되거나 합병증을 동반되게 되어 삶의 질에 심각한 악영향을 초래하게 된다[5]. 또한 삶의 질은 이러한 신체적 기능의 역할 뿐 아니라 정신적, 사회적 건강에 대한 개념을 포괄하는 것으로 당뇨병 환자는 신체적인 불건강 뿐만 아니라 당뇨병으로 인한 스트레스, 우울, 불안, 무력감 등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로 인해 삶의 질이 저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tatistics Korea. Cause of death statistics in 2013. [cited 2014 Oct 23].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Korean)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pp.56-57 (Korean) 

  3. Kim DJ. Summary of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 2012. J Korean Diabetes 2012;13(1):7-14 (Korean) 

  4. Shin JW, Park YK, Suh SR, Kim J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elderly diabetic patients of Korea: Analysi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08. J Korean Gerontol Soc 2011;31(3):479-487 (Korean) 

  5. Kim YJ, Seo NS, Kim SH, Park IS, Gang SJ. Quality of life and its correlated factors among elderly people with diabetes in a community. Korean J Health Ser Manage 2014;8(1):75-86 (Korean) 

  6. Park BS, Jin KN, Choi YJ, Jeong JH, Kim KH, Lee MY, Ko JH, Jeong CH. Selfmanagemen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 and adulthood diabetic patients. J Korean Diabetes Assoc 2005;29(3):254-261 (Korean) 

  7. Ryu JS. The association of self care behavior and their quality of life in diabetes outpatients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2 (Korean) 

  8. Kim JH.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of employees with diabetes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8 (Korean) 

  9. Im JH, Oh CS. Medical care utilization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diabetes mellitus patients. J Digit Policy Manage 2013;11(10):609-618 (Korean) 

  10. Saarni SI, Harkanen T, Sintonen H, Suvisaari J, Koskinen S, Aromaa A, Lonnqvist J. The impact of 29 chronic condition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 general population survey in Finland using 15D and EQ-5D. Qual Life Res 2006;15(8);1403-1414 

  11. Oh KA, Park J, Jeon DJ, Han MA, Choi SW. Relationship between low back pai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some elderly.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2;37(3):156-166 (Korean) 

  12. Han MA, Ryu SY, Park J, Kang MG, Park JK, Kim K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sessment by the EuroQol-5D in some rural adults. J Prev Med Public Health 2008;41(3):173-180 (Korean) 

  13. Kim TS, Kim SW, Lee SD, Choi HJ, Kang BS, Bae SC, Park JS, Im TH. Follow up study abou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injury patients. Korean Soc Emerg Med 2006;17(6):637-645 (Korean) 

  14. Nam HS. Kim KY, Kwon SS, Koh KW, Poul Kind. EQ-5D Korean valuation study using time trade of method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Korean) 

  15. Oh MG, Han MA, Park CY, Park SG, Chung C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survivors in Korea: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pn J Clin Oncol 2014;44(2):153-158 

  16. Ko Y, Coons SJ. Self-reported chronic conditions and EQ-5D index scores in the US adult population. Curr Med Res Opin 2006;22(10);2065-2071 

  17. Hong SY, Lee JH, Cho YW.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restless legs syndrome in Korea: comparison with other chronic diseases. Korean Neurol Assoc 2010;28(4):257-262 (Korean) 

  18. Lee JJ, Lee HJ, Park EJ. Effect of staged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on, diabetes patients in a community (Assessment of quality of life using EQ-5D).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4;39(1):37-45 (Korean) 

  19. Park YR, Kim TS, Park YG, Lee SS, Kim SR, Son HS, Yoon KH, Kang MI, Cha BY, Lee KW, Son HY, Kang SG, Yu SJ. Influence of multiple insulin injections on quality of life, anxiety levels, and depression in type 2 diabetics. Korean J Med 2009;77(1):60-67 (Korean) 

  20. Park YS, Ryu SH.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registered at public health center.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02;13(4):679-688 (Korean) 

  21. Lee HJ.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ith diabetes in Korea: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2007-2010 [dissertation]. Gwangju, Chosun University, 2013 (Korean) 

  22. Choe JS, Kwon SO, Paik HY.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socioeconomic factor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04;39(1):29-41 (Korean) 

  23. Burstrom K, Johannesson M, Diderichsen F. Swedish populati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s using the EQ-5D. Qual Life Res 2001;10(7):621-635 

  24. Ingerski LM, Laffel L, Drotar D, Repaske D, Hood KK. Correlates of glycemic control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in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Pediatr Diabetes 2010;11(8):563-571 

  25. Clar C, Barnard K, Cummins E, Royle P, Waugh N; Aberdeen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Group.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in type 2 diabetes: systematic review. Health Technol Assess 2010;14(12):1-140 

  26. Farmer AJ, Wade AN, French DP, Simon J, Yudkin P, Gray A, Craven A, Goyder L, Holman RR, Mant D, Kinmonth AL, Neil HA; DiGEM Trial Group. Blood glucose self-monitoring in type 2 diabete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Health Technol Assess 2009;13(15):1-50 

  27. Kim JH, Oh MG, Han MA, Han ST, Lee MS, Kim YI, Go IW, Lee JY, Heo GS. Evaluation of HbA1c as a screening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 2012;38(2):41-47 (Korean) 

  28. Jeong YM, Kim MY. Comparative study on HbA1C, self-car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by depression status in type II diabetic patient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2;19(3):353-362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