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손바닥 선인장 엽상경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효과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rickly Pear Cactus Cladod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3, 2015년, pp.356 - 362  

황준호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  이미란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  김재원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부희정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  강창희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  임상빈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산 손바닥 선인장의 엽상경을 열수와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분획하여 총 페놀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이 784 mg GAE/g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부탄올 분획물(452), 헥산 분획물(220) 순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214 mg GE/g으로 가장 높았고 헥산 분획물(113), 부탄올 분획물(76) 순이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헥산 분획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IC_{50}$)은 각각 103, 359, $469{\mu}g/mL$였고, ABTS 라디칼 소거능($IC_{50}$)도 각각 105, 379, $605{\mu}g/mL$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았다. 유해산소 억제 능력(ORAC)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391{\mu}M$ TE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부탄올 분획물(117), 헥산 분획물(64) 순이었지만, superoxide anion 소거 활성($IC_{50}$, ${\mu}g/mL$)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40), 부탄올 분획물(69), 70% 에탄올(98) 순이었다. RAW264.7 세포에 의한 NO 생성 저해능($IC_{50}$, ${\mu}g/mL$)은 헥산 분획물(62),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104), 부탄올 분획물(465)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세포독성 대비 NO 생성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SI 지수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4.63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헥산 분획물(3.37), 부탄올 분획물(2.14), 증류수 추출물(1.66) 순으로,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quercetin(6.25)보다는 낮았다. 결론적으로 제주산 손바닥 선인장 엽상경의 추출물과 분획물 중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항산화 활성과 항염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ickly pear cactus cladodes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and 70% ethanol, followed by fractionation with n-hexane (HF), ethyl acetate (EF), n-butanol (BF), and distilled water. Total phenolics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as well as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ere then measur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ok-Go 등(14)의 연구에 따르면 손바닥 선인장 열매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페놀성 화합물로 (+)-dihydroquercetin, quercetin, quercetin 3-methyl ether 등을 분리하였으며, 이들 물질은 쥐의 대뇌 피질 세포에서 H2O2와 xanthine/xanthine oxidase 산화적 자극에 의한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헥산 분획물이 기능성을 가질 것으로 추정되어 기능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2)The concentration needed to reduce nitric oxide production by 50%.
  • 3)The concentration needed to reduce cell viability by 5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손바닥 선인장의 특징은 무엇인가? 제주도의 특산식물인 손바닥 선인장은 멕시코가 원산지인 열대성 다년생 초본으로 다량의 점질물과 함께 열매에는 betanin이라는 항암 활성을 갖는 붉은 천연색소를 함유하고 있다(1,2). 열매는 국내에서 각종 식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고 외국에서는 주로 열매와 엽상경 부분을 주스나 분말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뇨효과, 고혈압, 당뇨, 비만 예방 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3).
손바닥 선인장 열매의 효능은 무엇인가? 제주도의 특산식물인 손바닥 선인장은 멕시코가 원산지인 열대성 다년생 초본으로 다량의 점질물과 함께 열매에는 betanin이라는 항암 활성을 갖는 붉은 천연색소를 함유하고 있다(1,2). 열매는 국내에서 각종 식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고 외국에서는 주로 열매와 엽상경 부분을 주스나 분말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뇨효과, 고혈압, 당뇨, 비만 예방 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3).
선인장 엽상경에 포함된 페놀계 화합물의 특징은? 선인장 엽상경에는 페놀계 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식물에 분포되어 있는 2차 대사산물 중 하나로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phenolic hydroxyl기가 효소 등의 단백질 그리고 Fe2+, Cu2+ 등의 2가 금속이온과 거대 분자를 이루어 항산화 활성과 같은 생리활성을 나타낸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Park SS, Kim JJ, Yoon JA, Lee JH, Jung BO, Chung SJ. 2011.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rice wine) with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and chitooligosaccharide. J Chitin Chitosan 16: 164-169. 

  2. Sreekanth D, Arunasree MK, Roy KR, Chandramohan Reddy T, Reddy GV, Reddanna P. 2007. Betanin a betacyanin pigment purified from fruits of Opuntia ficus-indica induces apoptosis in human chronic myeloid leukemia cell line-K562. Phytomedicine 14: 739-746. 

  3. Galati EM, Monforte MT, Tripodo MM, d'Aquino A, Mondello MR. 2001. Antiulcer activity of Opuntia ficus indica (L.) Mill. (Cactaceae): ultrastructural study. J Ethnopharmacol 76: 1-9. 

  4. Rice-Evans C, Miller N,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Plant Sci 2: 152-159. 

  5. Madamanchi NR, Hakim ZS, Runge MS. 2005. Oxidative stress in atherogenesis and arterial thrombosis: the disconnect between cellular studies and clinical outcomes. J Thromb Haemost 3: 254-267. 

  6. Allen RG, Tresini M. 2000. Oxidative stress and gene regulation. Free Radic Biol Med 28: 463-499. 

  7. Nathan C. 1992. Nitric oxide as a secretory product of mammalian cells. FASEB J 6: 3051-3064. 

  8. McDaniel ML, Kwon G, Hill JR, Marshall CA, Corbett JA. 1996. Cytokines and nitric oxide in islet inflammation and diabetes. Proc Soc Exp Biol Med 211: 24-32. 

  9. Radi R, Beckman JS, Bush KM, Freeman BA. 1991. Peroxynitrite oxidation of sulfhydryls: The cytotoxic potential of superoxide and nitric oxide. J Biol Chem 266: 4244-4250. 

  10. Seo KI, Yang KH, Shim KH. 1999.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6: 345-349. 

  11. Lee YS, Shon HS, Rho JO. 2011.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Backryeoncho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extracts as applied to kimchi fermentation with lactic acid bacteria and food poisoning bacteria. Korean J Hum Ecol 20: 1-10. 

  12. Yoon MS, Yoo JS, Lee KK, Kim MK. 2012. A study on biological activities of Opuntia humifusa cladode extracts. J Appl Biol Chem 55: 117-121. 

  13. Fernandez ML, Trejo A, McNamara DJ. 1990. Pectin isolated from prickly pear (Opuntia sp.) modifies low density lipoprotein metabolism in cholesterol-fed guinea pigs. J Nutr 120: 1283-1290. 

  14. Dok-Go H, Lee KH, Kim HJ, Lee EH, Lee J, Song YS, Lee YH, Jin C, Lee YS, Cho J. 2003. Neuroprotective effects of antioxidative flavonoids, quercetin, (+)-dihydroquercetin and quercetin 3-methyl ether, isolated from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Brain Res 965: 130-136. 

  15. Avila-Nava A, Calderon-Oliver M, Medina-Campos ON, Zou T, Gu L, Torres N, Tovar AR, Pedraza-Chaverri J. 2014. Extract of cactus (Opuntia ficus indica) cladodes scavenges reactive oxygen species in vitro and enhances plasma antioxidant capacity in humans. J Funct Foods 10: 13-24. 

  16. Butera D, Tesoriere L, Di Gaudio F, Bongiorno A, Allegra M, Pintaudi AM, Kohen R, Livrea MA. 2002. Antioxidant activities of sicilian prickly pear (Opuntia ficus indica) fruit extracts and reducing properties of its betalains: betanin and indicaxanthin. J Agric Food Chem 50: 6895-6901. 

  17. KFDA. 2010.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ssociation, Seoul, Korea. 

  18. Oh HJ, Jeon SB, Kang HY, Yang YJ, Kim SC, Lim SB. 2011.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kiwifruit in different cultivars and maturity. Korean J Food & Nutr 40: 343-349. 

  19. Zhang Q, Zhang J, Shen J, Silva A, Dennis D, Barrow C. 2006. A simple 96-well microplate method for estimation of total polyphenol content in seaweeds. J Appl Phycol 18: 445-450. 

  20. Chang CC, Yang MH, Wen HM, Chern JC. 2002. Estimation of total flavonoid content in propolis by two complementary colorimetric methods. J Food Drug Anal 10: 178-182. 

  21. Blois S. 1955. A note on free radical formation in biologically occurring quinones. Biochim Biophys Acta 18: 165. 

  22.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3. Huang D, Ou B, Hampsch-Woodill M, Flanagan JA, Prior RL. 2002. High-throughput assay of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using a multichannel liquid handling system coupled with a microplate fluorescence reader in 96-well format. J Agric Food Chem 50: 4437-4444. 

  24. Ou B, Hampsch-Woodill M, Prior RL. 200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mprove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using fluorescein as the fluorescent probe. J Agric Food Chem 49: 4619-4626. 

  25. Liu F, Ooi VE, Chang ST. 1997.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mushroom polysaccharide extracts. Life Sci 60: 763-771. 

  26. Feugang JM, Konarski P, Zou D, Stintzing FC, Zou C. 2006. Nutritional and medicinal use of cactus pear (Opuntia spp.) cladodes and fruits. Front Biosci 11: 2574-2589. 

  27. Shin EH, Park SJ, Choi SK. 2011.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691-697. 

  28. Wang M, Li J, Rangarajan M, Shao Y, LaVoie EJ, Huang TC, Ho CT. 1998.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s from sage (Salvia officinalis). J Agric Food Chem 46: 4869-4873. 

  29. Cai Y, Luo Q, Sun M, Corke H. 2004.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of 112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plants associated with anticancer. Life Sci 74: 2157-2184. 

  30. Lee EH, Kim HJ, Song YS, Jin C, Lee KT, Cho J, Lee YS. 2003. Constituents of the stems and frui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Arch Pharm Res 26: 1018-1023. 

  31. Safayhi H, Sabieraj J, Sailer ER, Ammon HP. 1994. Chamazulene: an antioxidant-type inhibitor of leukotriene B4 formation. Planta Med 60: 410-4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