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 콜라겐의 동결건조 혼합분말 첨가에 따른 칼국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Added with Freeze-Dried Fish Scale Collagen Mixture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3, 2015년, pp.449 - 454  

정유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  방은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  강성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어린 콜라겐 500 g, 액상의 식용식물 추출물 375 g, 덱스트린 125 g을 물 1,000 mL에 녹여 1:0.75:0.25:2의 비율로 제조한 후 동결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제조한 어린 콜라겐 동결건조 혼합분말(freeze-dried collagen mixture powder, FDCMP)을 0.5, 1.0, 1.5 및 2.0% 비율로 칼국수 반죽에 첨가하여 제조한 칼국수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여 FDCMP의 첨가가 칼국수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조리 후 칼국수의 중량과 부피는 FDCMP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게 나타났고, 칼국수 삶은 물의 탁도는 유의적인 수준으로 FDCMP 첨가구가 높게 나타났다. 수분 결합 능력은 밀가루와 물보다 FDCMP와 물의 수분 결합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조리 전후의 칼국수에서 FDCMP 첨가량이 많을수록 명도 L값은 감소하고 적색도 a값과 황색도 b값은 증가하였다. 기계적 조직감 측정은 조리한 칼국수의 경도와 씹힘성는 FDCMP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점착성, 응집성검성은 FDCMP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탄력성과 복원성은 FDCMP 첨가 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대조구보다 FDCMP 0.5% 첨가구가 조직감, 입 안에서의 느낌, 종합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칼국수 개발 및 품질 향상을 위한 어린 콜라겐 동결건조 혼합분말의 첨가는 0.5%가 가장 적당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of noodles added with different amounts of freeze-dried fish scale collagen mixture powder (FDCMP). Freeze-dried fish scale collagen mixture was prepared by mixing ingredients (fish scale collagen : herb extracts : dextrin : distilled water=1:0.75:0.25:2), which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어류 콜라겐의 수요 증가와 그 응용 분야의 확대에 따른 어류 콜라겐의 활용성 증진을 목적으로 식용식물 추출물과 어린 콜라겐을 포함한 동결건조 혼합물을 제조하고 어린 콜라겐 동결건조 혼합물을 첨가한 밀가루로부터 면을 제조하여 제조된 면의 특성(색, 관능, 물성 등)을 평가하고 기능성 식품으로서 칼국수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콜라겐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는? 콜라겐은 동물성 기원의 풍부한 섬유상 구조 단백질로 척추 및 무척추 동물 유래 총 단백질의 30%를 차지하고 3중 나선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주로 피부, 뼈, 치아 유기 물질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고, 특히 뼈, 피부(진피)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12). 콜라겐을 이루는 기본 단위는 tropocollagen으로 분자 내 또는 분자 간 공유결합성 가교 결합을 이룸으로써 물리적 또는 생물학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13). 콜라겐을 이루는 아미노산의 조성은 그 type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보통 glycine이 전체의 1/3 정도이며, proline이 1/4, hydroxyproline이 1/7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14).
콜라겐이란 무엇인가? 콜라겐은 동물성 기원의 풍부한 섬유상 구조 단백질로 척추 및 무척추 동물 유래 총 단백질의 30%를 차지하고 3중 나선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주로 피부, 뼈, 치아 유기 물질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고, 특히 뼈, 피부(진피)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12). 콜라겐을 이루는 기본 단위는 tropocollagen으로 분자 내 또는 분자 간 공유결합성 가교 결합을 이룸으로써 물리적 또는 생물학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13).
어린(魚鱗) 콜라겐의 추출 과정에서 장점은? 소, 돼지 등에서 유래한 동물성 콜라겐의 경우 소나 돼지의 질병 발생률의 증가로 인해 제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곤란하고, 어피 콜라겐은 어류의 껍질이 쉽게 부패되어 악취가 발생함에 따라 콜라겐을 제조하는 공정에서의 작업환경이 매우 열악할 뿐만 아니라 부패에 의한 안전성이 문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콜라겐을 추출하기 위한 원료로서 어류의 비늘을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어류의 비늘을 사용하는 경우 세척 및 건조 처리가 양호하여 악취 발생과 부패에 의한 안전성의 문제가 해소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현재 유통되고 있는 콜라겐은 주로 소, 돼지 등 육상동물에서 유래한 것으로 최근 광우병 및 구제역으로 인해 안전성 확보가 어려워 해양생물 자원으로부터 제조된 콜라겐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Oh BY, Lee YS, Kim YO, Kang JH, Jung KJ, Park J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s prepared by adding Hericium erinaceum powder and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714-720. 

  2. Hyun YH, Hwang YK, Lee YS. 2001. A study of cooking properties of the noodle made of composite flour with green tea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 295-304. 

  3. Kim HR, Hong JS, Choi JS, Han GJ, Kim TY, Kim SB, Chun HK. 2005. Properties of wet noodle changed by the addition of Sanghwang mushroom (Phellinus linteus) powder and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79-583. 

  4. Kwak DY, Kim JH, Choi MS, Shin SR, Moon KD. 2002. Effect of hot water extract powder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on quality of nood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460-464. 

  5. Kim ML.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Gardenia jaminoid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Gardenia jasminoides pow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237-243. 

  6. Park GS, Kim J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noodles with added Allium victoriali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772-780. 

  7. Kim HR, Lee JH, Kim YS, Kim KM. 2007.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prepared by adding Ge-Geol radish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283-288. 

  8. Hong SP, Jun HI, Song GS, Kwon KS, Kwon YJ, Kim YS. 2004. Characteristics of wax gourd juice-added dry nood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795-799. 

  9. Ahn JW, Yoon JY.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added with Dioscorea japonica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528-533. 

  10. Jeon JR, Kim HH, Park G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prepared with pine needle powder and extrac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685-692. 

  11. Sung SY, Kim MH, Kang MY.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containing Pleurotus eryngii.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405-411. 

  12. Perlish JS, Lemlich G, Fleischmajer R. 1998. Identification of collagen fibrils in scleroderma skin. J Invest Dermatol 90: 48-54. 

  13. Kim SK, Kwak DC. 1991. The enzymatic modification and functionalities of filefish skin collagen. J Korean Agric Chem Soc 34: 265-272. 

  14. Kim JW, Kim DK, Kim MJ, Kim SD. 2010. Extraction and bleaching of acid- and pepsin-soluble collagens from shark skin and muscle. Korean J Food Preserv 17: 91-99. 

  15. Kim JS. 2008. Isolation an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ollagen from skin of Bigeye tuna. MS Thesis.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Korea. p 1-2. 

  16. Lee CH, Singla A, Lee Y. 2001. Biomedical applications of collagen. Int J Pharm 221: 1-22. 

  17. Hong YS, Kim WU, Lee SS, Zoo YS, Min JK, Park SH, Lee SH, Cho CS, Kim HY. 1999.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with oral type II collagen. J Korean Rheum Assoc 6: 149-156. 

  18. Lee ET, Park HS, Hyun WS, Han SB, Kim SW, Park KC, Seo H. 1997. The effects of a thin sheet of type I collagen on wound healing of full thickness skin defects. Korean Soc Plast Reconstr Surg 24: 1245-1252. 

  19. Kwon MC, Kim CH, Kim HS, Syed AQ, Hwang BY, Lee HY. 2007. Anti-wrinkle activity of low molecular weight peptides derived from the collagen isolated from Asterias amuren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625-629. 

  20. Kwon MC, Qadir SA, Kim HS, Ahn JH, Cho NH, Lee HY. 2008. UV protection and whitening effects of collagen isolated from outer layer of the squid Todarodes pacificus. J Kor Fish Soc 41: 7-12. 

  21. Lee MJ, Jeong NH. 2009. Preparation and availability analysis of collagen peptides obtained in fish scale. J Korean Oil Chemists' Soc 26: 457-466. 

  22. Han B. 2011. Effect of hydrolyzed collagen from Tilapia scale on bread quality. Adv Mater Res 183-185: 500-504. 

  23. Park KD. 1997.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chestnut flour. Korean J Food & Nutr 10: 339-343. 

  24. Kim KS, Joo SJ, Yoon HS, Hong JS, Kim ES, Park SG, Kim TS.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n noodle added with Pholiota adiposa mushroom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0: 187-191. 

  25. Park SI, Cho EJ.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chlorella extract. Korean J Food & Nutr 17: 120-127. 

  26. Kim YS. 1998. Effects of Poria cocos powder on wet noodle qualities. Agric Chem Biotechnol 41: 539-544. 

  27. Kim YA. 2002. Effects of mulberry leaves powder on the cooking characteristics of noodl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632-636. 

  28. Song SH, Jung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Garakguksu) with Curcuma longa L.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199-205. 

  29. Lee YS, Lim NY, Lee KH. 2000.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dried noodle products made from composite flours utilizing arrowroot starch. Korean J Soc Food Sci 16: 681-688. 

  30. Yang SJ, Hong JH. 2012. Extrac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llagen from squid (Todarodes pacificus) skin and Alaska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skin.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711-719. 

  31. Nam KA. 2007. Characterization of (Todarodes pacificus) skin collagens and functionality of their enzymatic hydrolysates. MS Thesis.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Korea. p 24. 

  32. Chong HS, Park CS. 2003. Quality of noodle added powder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Korean J Food Preserv 10: 200-2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