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속도로 선형 동질구간 기반의 안전성능함수 개발
Development of Safety Performance Function Based on Expressway Alignment Homogeneous Section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5 no.2, 2015년, pp.397 - 405  

서임기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강동윤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기술연구센터 컨설팅팀) ,  박제진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박신형 (계명대학교 교통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거 고속도로는 이동성 중심의 기능을 주로 담당하였으나, 삶의 질 향상과 의식 수준의 향상에 따라 '빠른 고속도로'에서 '안전한 고속도로'로 고속도로 기능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고속도로 교통사고는 2012년 기준 3,550건이 발생하였으며, 371명이 교통사고로 사망한 것으로 집계되었고, 치사율은 일반국도의 약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주요 6개 노선을 대상으로 교통사고건수와 교통량 기반의 사고예측모형(안전성능함수)을 개발하였다. 안전성능함수는 각 노선별로 도로의 선형 및 규모 등이 달라 정확하게 각 노선을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6개 노선의 통합 안전성능함수를 구축하고, 각 노선별로 교통사고를 보정할 수 있는 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노선별 교통안전 전략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고속도로 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에는 각 노선별 특성에 따른 그룹별 통합모형을 통한 노선별 보정계수를 산출하여 신뢰성 있는 사고 예측값을 제시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ast, expressways focused on mobility. However, the paradigm of expressways fuction today has been changed from fast expressways to safe expressways as people's quality of living and consciousness level heightened. In 2012, 3,550 traffic accidents occurred on expressways and 371 people di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안전성능함수는 각 노선별로 도로의 선형 및 규모 등이 달라 정확하게 사고를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6개 노선을 통합한 안전성능함수를 구축하고, 각 노선별로 교통사고를 보정할 수 있는 계수를 산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안전성능함수 개발을 통해 향후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노선별 교통안전 전략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고속도로 관리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우리나라의 고속도로는 매년 교통량이 증가하는 반면, 교통사고는 감소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지만, 통합노선의 안전성능함수는 개별노선의 사고 예측 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6개 노선을 대상으로 통합된 안전성능함수를 구축하고, 각 노선별 보정계수를 산정하여 교통사고 예측값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매년 각 노선의 안전성능함수를 개별적으로 구축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기존 연구와 차별되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IC 및 JCT 구간에서만 차량이 유출입되는 고속도로의 운영특성을 고려하여 구간길이를 설명변수로 활용하고자 한다. 각 노선별 구간길이의 평균 및 표준편차는 Table 3과 같이 평균 구간길이 9.
  •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구간길이의 타당성을 제시하기 위해 기하구조 설계요소인 종단경사와 평면곡선반경을 기준으로 한 동질구간과 교통량 기반의 IC 및 JCT 구간을 분할하는 방안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고속도로 안전성능함수의 종속변수가 되는 교통사고자료(교통사고 건수)를 이용하여 최적의 분포를 결정하는 과정이 수반되고, 기하구조의 구간 분할이 적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통계적 검정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의 각 노선별 대표성을 가진 교통량과 구간길이를 설명변수로 선정하여 주요 6개 노선을 대상으로 통합노선 안전성능함수를 구축하고, 노선별 보정계수를 산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6개 노선(경부, 호남, 영동, 서해안, 중부내륙, 중앙고속도로)을 대상으로 교통사고의 특성을 분석하고, 교통사고건수와 교통량을 기반으로 사고예측모형(안전성능함수)을 개발하고자 한다. 하지만, 안전성능함수는 각 노선별로 도로의 선형 및 규모 등이 달라 정확하게 사고를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6개 노선을 통합한 안전성능함수를 구축하고, 각 노선별로 교통사고를 보정할 수 있는 계수를 산출하고자 한다.
  • 따라서 IC와 IC, 또는 IC와 JCT 사이 구간에서는 교통량의 변화가 없고, 구간의 길이만 달라지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의 기하구조 설계요소를 반영한 동질구간과 IC 및 JCT 기준으로 나눈 구간을 기반으로 하는 구간길이의 분포 적합성을 검증하여 구간길이 및 모형 분포를 결정하였다. 안전성능함수 구축에 필요한 교통량 정보는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 노선별 안전성능함수를 개발하여 교통사고를 예측하는 경우가 가장 합리적이고 적합한 방법이지만, 많은 노선을 년단위로 개발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합된 안전성능함수를 구축하고, 각 노선을 보정할 수 있는 계수를 개발하여 시계열적 추세를 반영함과 더불어 사고예측력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연도별 사고보정계수는 Eq.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ZAM모형의 특징은? (2011)은 사고자료와 기하구조 자료를 바탕으로 구간 분할을 하면 “0”값이 많은 것을 해결하기 위해 ZAM모형(zero-altered model)을 사용하였다. 위험에 대한 노출을 고려하여 사고심각도를 설명할 수 있는 대물피해환산계수(EPDO)를 함께 종속변수로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안전성능함수란 무엇인가? 안전성능함수(SPF, Safety Performance Function)는 교통량, 기하설계요소와 같은 설명변수를 사용하여 사고건수를 예측하는 수학적 모형으로 교통사고 예측모형이라고도 한다. 안전성능함수 는 일반적으로 일정기간 동안 발생한 교통사고 자료를 이용하여 현재 도로에서의 잠재적 안전성이나 개선사업이 수행되기 전, 안전효과를 예측하는 모형으로 사고수정계수와 함께 사용된다(AASHTO, 2010).
안전성능함수는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안전성능함수는 설명변수에 따라 단순 안전성능함수(Simple SPF)와 복합적 안전성능함수(Inclusive SPF)로 구분된다. Simple SPF는 모형의 설명변수로 AADT 또는 구간 길이를 적용하지만, Inclusive SPF의 경우에는 AADT와 구간 길이 외 기하구조 정보, 도로운영 정보, 교통량 정보 등의 다양한 변수들이 적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s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AASHTO) (2010). Highway safety manual. 

  2. Cafiso, S., D'Agostino, C. and Persaud, B. (2013).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segmentation in estimating safety performance functions for roadway sections." Presented at 92nd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3. Kang, J. and Lee, S. (2002).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by freeway geometric types."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0, No. 4, pp. 163-175. 

  4. Kim, J. S., Kim, T. Y., Kim, K. H. and Park, B. H. (2011). "Developing the traffic accident models by the function of arterial link sections in the case of Cheongju."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Vol. 13, No. 1, pp. 49-57. 

  5. Lee, K. (1999).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accident model on freeways." Proceeding of 36th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pp. 117-122. 

  6. Lord, D. and Mannering, F. (2010). "The statistical analysis of crash-frequency data: A Review and Assessment of Methodological Alternatives." Transportation Part A: Policy and Practice, Vol. 44, No. 5, pp. 291-305. 

  7. Lu, J., Gan, A., Haleem, K., Alluri, P. and Liu, K. (2012). "Comparing locally-calibrated and safety analyst-default safety performance functions for florida's urban freeways." Presented at 91st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8. Mehta, G. and Lou, Y. (2013). "Safety performance function calibration and development for the state of alabama: Two-lane Two-way Rural Roads and Four-lane Divided Highways." Presented at 92nd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9. Tu, Y., Zhang, J., Yang, C. and CHEN, X. (2012). "Crash frequency analysis for urban expressways by considering segment type." Presented at 91st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10. Xie, F., Gladhill, K., Dixon, K. K. and Monsere, C. M. (2011). "Calibration of highway safety manual prediction models for oregon state highway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 2241, Washington, D.C.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