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절기 새만금호 유입유사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ediments Flowing into the Saemangeum Reservoir in the Summer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7 no.2, 2015년, pp.99 - 106  

오경희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정세웅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조영철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만경강과 동진강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사가 새만금호의 오염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만경강과 동진강의 상류부터 새만금호 유입지점까지 각 4개의 유사 트랩을 설치하고 2009년 6월부터 9월까지 유사를 채집하여 유사의 침강률과 이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만경강과 동진강에서 실험 기간 동안 단위 면적당 유입 유사의 침강률은 각각 $0.01{\sim}5.06kg/m^2/day$$0.01{\sim}8.75kg/m^2/day$ 범위였다. 침강률은 하류에서 상류로 갈수록 높았으며, 강우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 중 유기물의 농도는 하상 퇴적물에 비해 3.3~9.6배 높았으며, 홍수기 이후에 높은 경향을 나타내어 유역 내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유입량이 많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질소와 총인의 오염도도 유기물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만경강과 동진강으로 유입되는 유사에서 유기물, 총질소, 및 총인의 오염도가 높았으며, 새만금호의 수질 관리를 위하여 유역 오염원에 대한 집중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stimate the effects of suspended sediments flowing into the Saemangeum Reservoir on the extent of contamination of the reservoir, the suspended sediments were collected with sediment traps, which were installed from the upstream of the Mankyung and Dongjin Rivers to estuary of the reservoir, 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 이와 같이 새만금호로 유입되는 유사의 양을 추정하는 연구는 일부 진행되었으나, 이의 오염도를 분석하는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과 동진강에 유사를 포집할 수 있는 유사 트랩을 설치하고 포집된 유사의 오염도를 분석함으로써 만경강과 동진강의 유사가 새만금호 퇴적물의 오염도에 미칠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으로 유입된 입자상 물질의 퇴적으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점은? 하천으로 유입된 입자상 물질은 유속이 느린 하구부에 도달하면 바닥에 가라앉아 퇴적층을 형성한다.1) 입자상 물질에 포함된 유․무기 오염물질 및 중금속은 퇴적된 후 일 정기간 축적되어 있다가, 분해, 확산, 재부유, 생물교란 등의 과정에 의해 수층으로 재용출되어 수질 및 수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내부오염원으로 작용한다.1,2) 유역의 점오염원 또는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오염물질의 유입을 제어한다 하더라도 내부오염 부하를 줄이기 위한 대책이 수립되지 않는다면 효과적인 수질 관리는 어렵다.
새만금 사업이란 무엇인가? 새만금 사업은 1991년에 공사를 착공하여 군산, 김제, 부안을 연결하는 총길이 33 km의 방조제를 축조해 2020년까지 총면적 40,100 ha의 토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새만금 방조제로 인하여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유사의 많은 부분이 새만금호 내부에 가라앉을 것으로 예상되며, 하상에 축적된 오염물질은 새만금호의 수질오염을 가중시키는 내부 오염원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새만금 사업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문제는? 새만금 사업은 1991년에 공사를 착공하여 군산, 김제, 부안을 연결하는 총길이 33 km의 방조제를 축조해 2020년까지 총면적 40,100 ha의 토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새만금 방조제로 인하여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유사의 많은 부분이 새만금호 내부에 가라앉을 것으로 예상되며, 하상에 축적된 오염물질은 새만금호의 수질오염을 가중시키는 내부 오염원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3) 따라서 새만금 사업의 지속가능한 개발과 새만금호의 정상적인 기능 유지 및 효과적인 수질관리를 위하여 새만금으로 유입되는 유사의 퇴적문제와 이로 인한 장기적인 수질 오염 가능성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필요하며,4) 이를 위하여 새만금호로 유입되는 유사의 양과 이의 오염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on, Y. G., Kim, W. J., Lim, M. H., Kim, L. H. and Khim, J. H., "Characterization of sediment and correlations of pollutants in Dongkin River," Proceeding of the 2006 Autumn Conference of KSEE, Gangneung, pp. 1116-1118(2006). 

  2. Kang, P. G., Lee, S. W., Park, H. K., Byeon, M. S. and Kong, D. S., "Study on the release of phosphorus and nitrogen from sediment in Lake Chungju," Proceeding of the 2006 Spring Joint Conference of KSWE and KSWW, Incheon, pp. 1231-1232(2006). 

  3. Son, Y. G., Kim, W. J., Kim, L. H., Ahn, J. H. and Khim, J. H., "Determination of sediment loading in Saemangeum Lake," Proceeding of the 2007 Autumn Joint Conference of KSWW and KSWE, Ilsan, pp. 629-633(2007). 

  4. Jeong, H. Y., Chung, S. W., Lee, H. S., Ryu, I. G. and Maeng, S. J., "Estimation of sediment load in Saemangeum Reservoir using modified Einstein procedure," Proceeding of the 2009 Spring Joint Conference of KSWE and KSWW, Suwon, pp. 627-628(2009). 

  5. Lee, H. W. and Park, S. S., "Long-term trend analyses of water qualities in Saemangeum watershed based on statistical methods," Proceeding of the 2006 Spring Conference of KSEE, Ilsan, pp. 361-368(2006). 

  6. Oh, K. H., Yu, M. N. and Cho, Y. C.,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pollution potential in the sediments of the rivers flowing into the Saemangeum Reservoir," J. Korean Soc. Environ. Eng., 33(12), 861-867(2011). 

  7. Choi, S., Ahn, J. and Kim, H., "Pollutants discharge estimation in inflow streams of the ManKyeong River watershed," Proceeding of the 2009 Spring Joint Conference of KSWE and KSWW, Suwon, pp. 635-636(2009). 

  8. Lee, H. W. and Park, S. S., "Long-term trend analyses of water qualities in Mangyung watershed," J. Korean Soc. Water Qual., 24(4), 480-487(2008). 

  9. Lee, H. W. and Park, S. S., "Trend analysis of water quality in Dongjin River watershed," Korean J. Limnol., 42(1), 39-47(2009). 

  10. Bender, M. R. and Wood, C. W., "Total phosphorous in soil," Methods of Phosphorus Analysis for Soils, Sediments, Residuals, and Waters, Pierzynski, G. M.(ed),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North Carolina, pp. 45-49(2000). 

  11. Ministry of Environment,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Soil Pollution (Notification No. 2002-122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2002). 

  12. Yoon, J. Y., Lee, H. M., Jeong, S. H. and Jeong, B. G., "A study for management of water quality of Saemangeum basin," Proceeding of the 1999 Autumn Conference of Korea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pp. 200-201(1999). 

  13. Han, K. W., Son, J. K., Cho, J. Y., Kim, H. K. and Hwang, S. A., "Phosphorus fractionations in sediment of Mankyung and Dongjin River," Korean J. Environ. Agric., 24(4), 319-325(2005). 

  14. Lee, S. E., Choi, I. S., Lee, S. K., Lee, I. H. and Oh, J. M., "The evalulation of pollution level and release characteristics by inner productivity in the sediment of lake," J. Environ. Impact Assessment, 21(1), 81-91(2012). 

  15. K-water,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organic sediment in dam reservoir and its treatment," (1997). 

  16.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A study on the deriving of sediments quality guideline for reservoir dredging and the use of dredged soil," (2005). 

  17. Cho, Y. G., "Heavy metals in fine-grained bed sediments of the Mangyeong River, Korea," J. Environ. Sci., 16(5), 657-664(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