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철 실내 소음 하에서 음향기기 사용에 따른 음향반사역치와 소음 속 어음인지 변화
Changes of Acoustic Reflex Thresholds and Speech-In-Noise Perception Using Personal Listening Device Under Subway Interior Noise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34 no.2, 2015년, pp.138 - 145  

한우재 (한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언어청각학부, 청각언어연구소) ,  전현지 (한림대학교 일반대학원 언어병리청각학과) ,  마선미 (한림대학교 일반대학원 언어병리청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환경 소음의 무절제한 노출이 청력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보고는 익히 알려져 있지만, 지하철 실내 소음과 휴대용 음향기기 음량에 따른 이중 소음 노출에 대한 탑승객들의 청력 손실 여부는 많은 연구들에서 여전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지하철 실내 소음 하에서 탑승객들이 이어폰을 이용하여 개인음향기기 사용 시 음향 반사 역치와 소음속 어음인지도가 어떻게 변화하는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20대의 젊은 건청 성인 40명을 대상으로 실험 그룹과 대조그룹으로 각각 20명씩 구분하였다. 실험 전 모든 대상자에게 5개의 주파수에서 음향반사역치검사와 0, -5 dB SNR에서 문장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그룹은 60분간 73.45 dBA의 실제 서울도심지하철의 평균 실내 소음 강도를 들으며 개인별 선호 음량으로 이어폰을 통해 좋아하는 음악을 들었고, 대조그룹은 동일강도의 지하철 소음에만 노출된 채 신문 혹은 잡지를 읽었다. 60분간의 지하철 소음 노출 후 음향반사역치검사와 소음 속 문장검사를 재실시하여 기준선과 비교하였다. 소음 노출 전 후 비교 시, 두 그룹 간 음향반사역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소음 속 문장 검사결과에서는 실험 그룹의 어음인지도가 소음 노출 후 유의하게 하락하였다. 본 결과를 근거로 지하철 탑승객이 일정기간 동안 지하철 실내 소음에 노출된 채 반복적으로 음악을 듣는 습관이 지속될 시 일시적인 어음인지력 저하의 위험이 예상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it is well-known that environmental noise can lead to hearing loss in individuals, the true extent of subway noise effects in the general population remains poorly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ee changes of acoustic reflex thresholds and speech perception scores whe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불어 흔히 85 ~ 100 dB HL의 음향반사역치(acoustic reflex threshold)1)를 갖는 건청인들은 중이의 이내근의 활동으로 어느 정도의 소음성난청을 예방할 수 있다고 이론적으로 주장하지만, 음향반사와 일시적 역치변동과의 관계를 실험한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짧은 지속 시간을 갖는 100 dB SPL 이상의 고강도의 소음을 노출시켜 청력역치2) 변화를 분석하였으며,[9] 실제 환경음 강도 수준에서 역치 손실에 대하여서는 충분히 설명되지 않았다. 그리고 음향반사역치의 손실 여부와 그로 인한 소음 속에서의 어음인지도의 변화 정도를 연결하여 설명한 논문은 국내·외 연구에서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10]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지하철 이용 실정에 맞춰 지속적인 지하철 소음 하에서 개인용 음향기기 사용 볼륨에 따른 음향반사역치 변화 및 소음 속 어음인지도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가설은 1) 60분간의 1차적 지하철 소음에 노출될 시, 노출되기 이전과 비교하여 음향반사역치 및 소음 속 어음인지도에 변화를 보일 것이며, 2) 1차 지하철 소음 노출과 2차 개인용 음향기기 및 이어폰을 통한 이중 소음 노출시, 노출되기 이전과 비교하여 음향반사역치 및 소음 속 어음인지도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일 것이다. 또한 3) 1차 소음만 노출된 그룹과 비교하여, 1차와 2차 소음에 동시에 노출된 그룹은 소음 노출 이전과 비교하여 더 큰 폭의 역치 상승 및 어음인지도의 변화를 보일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비자발적 1차 소음과 자발적 2차 소음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온 지하철 탑승객들에게 보다 과학적인 경고 지침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 본 연구의 가설은 1) 60분간의 1차적 지하철 소음에 노출될 시, 노출되기 이전과 비교하여 음향반사역치 및 소음 속 어음인지도에 변화를 보일 것이며, 2) 1차 지하철 소음 노출과 2차 개인용 음향기기 및 이어폰을 통한 이중 소음 노출시, 노출되기 이전과 비교하여 음향반사역치 및 소음 속 어음인지도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일 것이다. 또한 3) 1차 소음만 노출된 그룹과 비교하여, 1차와 2차 소음에 동시에 노출된 그룹은 소음 노출 이전과 비교하여 더 큰 폭의 역치 상승 및 어음인지도의 변화를 보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R. A. Dobie, "Prevention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21, 385-391 (1995). 

  2. M. W. Skinner, "Speech intelligibility in noise-induced hearing loss: effects of high-frequency compensation," J. Acoust. Soc. Am. 67, 306-317 (1980). 

  3. J. H. Chung, C. M. Des Roches, J. Meunier, and R. D. Eavey, "Evaluation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in young people using a web-based survey technique," Pediatr. 115, 861-867 (2005). 

  4. P. E. Brookhouser, D. W. Worthington, and W. J. Kelly, "Noise-induced hearing loss in children," Laryngoscope, 102, 645-655 (1992). 

  5. C. G. Le Prell, S. Dell, B. Hensley, J. W. Hall III, K. C. M. Campbell, P. J. Antonelli, G. E. Green, J. M. Miller, and K. Guire, "Digital musci exposure reliably induces temporary threshold shift (TTS) in normal hearing human subjects," Ear Hear. 33, e44-58 (2012). 

  6. Official Website of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Guideline of evaluation scope for environment influence (air quality, stench, noise, vibration)," http://me.go.kr/home/web/policy_data/read.do?pagerOffset470&maxPageItems10&maxIndexPages10&searchKey&searchValue&menuId92&orgCd&seq4964 (in Korean), (2013). 

  7. E. Kim, "Problems of Usage of Earphones, PCPs on Hearing in Adolescents" (in Korean), J. of Kr. Soc. of School Health, 22, 107-118 (2009). 

  8.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Management of noise and vibration (No. 45-3): Maximum volume limit of portable listening device" (in Korean), (2014). 

  9. R. S. Karlovich, H. A. Osier, H. N. Gutnick, R. G. Ivey, and K. Worf, "The acoustic reflex and temporary threshold shift: temporal characteristics," J. Speech Lang. Hear. Res. 20, 565-573 (1977). 

  10. K. J. Gerhardt, W. Melnick, and J. A. Ferraro, "Reflex threshold shift in chinchillas following a prolonged exposure to noise," J. Speech Lang. Hear. Res. 22, 63-72 (1979). 

  11. J. Kim, S. Pae, and J. Lee. "Development of a test of Korean Speech Intelligibility in Noise (KSPIN) using sentence materials with controlled word predictability" (in Korean), Korean J. Speech Sci. 7, 37-50 (2000). 

  12. W. Han, J. Kim, J. Lee, and H. Kim. "Effects of age on speech perception ability in everyday life" (in Korean), Korean J. Audiol. 7, 63-69 (2003). 

  13. J. Yu, D. Lee, and W. Han, "Preferred listening levels of mobile device programs in subway noise," in Proc. Audiology Now 2014, Orlando, FL. (2014). 

  14. B. Trzaskowski, W. W. Jedrzejczak, E. Pilka, M. Cieslicka, and H. Skarzynski, "Otoacoustic emiisions before and after listening to music on a personal player," Med. Sci. Monit. 20, 1426-1431 (2014). 

  15. C. G. Le Pell, C. Spankovich, E. Lobarinas, and S. K. Griffiths, "Extended high-frequency thresholds in college students: effects of music player use and other recreational noise" J. Am. Acad. Audiol. 24, 725-739 (2013). 

  16. S. Hygge, G. W. Evans, and M. Bullinger, "A prospective study of some effects of aircraft noise on cognitive performance in schoolchildren" Psychol. Sci. 13, 469-474 (2002). 

  17. S. Kim, "A study on the volume of portable sound systems and background noise for the prevention of hearing loss: focusing on the subway interior noise" (in Korean), (Master thesis, University of Seoul,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