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서수준과 학습만화 이용행태가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
The Impact of Educational Comic Book Reading Behavior and Reading Levels on the Students' Learning Competencies: For Higher Grades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6 no.1, 2015년, pp.233 - 257  

이은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  김기영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독서수준에 따른 단계별 학습만화 이용행태가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독서수준이 다양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조사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학습만화 반복읽기 과정에서 독서수준에 따라 동일주제의 단계별 학습만화를 이용하는 행태를 보였다. 이러한 학습만화 이용행태는 관련 주제의 일반도서 읽기로의 전이를 돕고, 학습만화가 교과단원의 이해를 위한 참고서 역할을 함으로써 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만화를 이용한 자기주도적 학습법과 학습만화 읽기 개선을 통한 효율적인 독서지도안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step-by-step educational comic book behavior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reading levels on their learning competencies. To this end, qualitative research with focus group and deep interviews was conducted with students on different 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의 독서에서 가장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고 선호도 또한 높은 유형은? 3권을 읽는 것으로 조사되었다(문화체육관광부 2011, 2013). 그러나 만화는 학생의 독서에서 가장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을 뿐 아니라, 선호도가 높은 유형이기도 하다(강현주, 정현선 2009). 이에 만화에 학습과 재미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학습만화 또한 출판계의 불황에도 불구하고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교육적 측면에서도 다각적인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2013년 국민독서 실태조사에서 조사된 학생의 독서 현황은? 문화관광부는 ‘2013년 국민독서 실태조사'에서 학생의 독서율이 지난 2011년 83.3%에 비해 12.2% 오른 96.0%를 기록했으며, 독서량 역시 2011년보다 8권 증가해 연평균 32.3권을 읽는 것으로 조사되었다(문화체육관광부 2011, 2013). 그러나 만화는 학생의 독서에서 가장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을 뿐 아니라, 선호도가 높은 유형이기도 하다(강현주, 정현선 2009).
학습만화는 여러 연구자에 의해 정의 되었는데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학습만화는 여러 연구자에 의해 정의되었다. 최열(1995)은 “교과서의 정보나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학습에 효과적인 만화”라고 하였고, 김승민(1989)은 “학습만화는 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있어 학습에 유용한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대중적인 형태로 제작되어 하나의 학습뿐만 아니라 다른 학습에도 흥미를 갖도록 동기유발의 능력을 길러줌으로써 학습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가는데 도움을 주는 만화”라고 하였다. 또한, 하지영(2011)은 “지식과 정보를 쉽고 재미있게 학습하기 위해 글과 그림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만화”라고 정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강현주, 정현선. 2009. 학습만화 초등과학 학습만화 WHY? 시리즈와 살아남기 시리즈의 스토리텔링 방식과 독자인식에 관한 연구. 독서연구, 21: 163-200.(Gang, Hyeon-ju and Hyeon-Seon Jeong. 2009. "The storytelling of educational cartoons and the readers' perceptions: Focusing on the WHY series and Survival series." Journal of the Korean Reading Studies, 21: 163-200.) 

  2. 권성호. 1998. 교육공학의 탐구. 서울: 양서원.(Kwon, Seong-Ho. 1998. Exploring the Educational Technology. Seoul: Yangseowon.) 

  3. 김경란. 1989. 만화가 아동의 이야기 이해와 기억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과.(Kim, Gyeong-Ran. 1989. Impact on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and memory of cartoon. Korea University, Counseling Psychology.) 

  4. 김미림. 1997. 전달매체로서의 만화와 그의 교육적 효과.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교육과.(Kim, Mi-Rim. 1997. Comic Book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as a medium. M.A.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Fine Arts Education.) 

  5. 김승민. 1989. 학습만화의 교육적 기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Kim, Seung-Min. 1989. A Study on Educational Graphic Novel's Educational Function. M.A. thesis. Chung-Ang University.) 

  6. 김영석. 1999. 사회조사방법론: spss win 통계분석. 서울: 나남출판.(Kim, Yeong-Seok. 1999. Social Research Method: spss win statistical analysis. Seoul: Na Nim.) 

  7. 김영천. 2012. 질적연구방법론I. 파주: 아카데미프레스.(Kim, Yeong-Cheon. 2012.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Paju: Academies Press.) 

  8. 문화체육관광부. 2011. 2011 국민독서실태조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1. 2011 National Reading Survey. Seoul: 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9. 문화체육관광부. 2013. 2013 국민독서실태조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3. 2013 National Reading Survey. Seoul: 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0. 박선형. 2004. 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이론적모델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22(1): 157-177.(Park, Seon-Hyeong. 2004. "A theoretical model for the learning community building navigation." Journal of the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search, 22(1): 157-177.) 

  11. 박세형. 1985. 만화의 교육적 기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Park, Se-hyeong. 1985. Study the cartoon's educational function. M.A.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2. 박형진. 2002. 역사학습만화의 사회과 교수-학습 자료로서의 내용적합성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사회과.(Park, Hyeong-jin. 2002. The Analysis of content appropriateness of history learning cartoons as a teaching-learning material in social studies. M.A.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ocial studies education.) 

  13. 백은지. 2011. 성공한 학습만화 사례분석.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학술대회자료집, 4-11.(Back, Eun-Jee. 2011. "successful learning cartoon case analysis." Cartoon and Animation Society of Korea, 4-11.) 

  14. 백진환, 한윤옥. 2011. 학습만화 독서지도 및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4): 213-229.(Paek, Jin-Hwan and Yoon-Ok Han. 2011. "An action research of reading instruction on edutainment comics and its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213-229.) 

  15. 송경민. 2014. 판타지 알파벳 콜렉터. 서울: 겜툰 

  16.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2004.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Shin, Gyeong-Rim, Myeong-ok Cho, and Jin-hyang Yang. 2004.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17. 유기영, 류수형, 최익규, 김현민. 2014. 스토리버스 융합과학. 서울: 스토리버스.(Yoo, Gi-Yeong. Suh-Yeong Ryu, Ikg-Yu Choi, and Hyeon-min Kim. 2014. Story Bus Convergence Science. Seoul: Storybus.) 

  18. 윤준채, 서혁. 2010. 표준화 독서 능력 검사도구 개발 연구 2. 독서연구, 24: 289-312.(Yoon, Jun-Chae and Hyeok Seo. 2010.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reading comprehension tests." Journal of the Korean Reading Research, 24: 289-312.) 

  19. 이광웅, 김강호. 2010. Why? 바다. 서울: 예림당.(Lee, Kwang-Ung and Gang-Ho Kim. 2010. Why? Sea. Seoul: Yerimdang.) 

  20. 이명희. 2005. 문헌정보학 분야의 질적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4(2): 177-201.(Lee, Myeong-Hui. 2005. "Trends and Issue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4(2): 177-201.) 

  21. 이성진. 1985. 교육심리학서설. 서울: 교육과학사.(Lee, Seong-jin. 1985. Educational psychology theories. Seoul: Education History of Science.) 

  22. 이용숙, 김영천, 김영미, 조덕주, 조재식. 2005. 실행연구방법. 서울: 학지사.(Lee, YongSsuk, Yeong-Cheon Kim, Yeong-Mi Kim, Deok-ju Cho, and Jae-sik Cho. 2005. Action research method. Seoul: Hakjisa.) 

  23. 이종문. 2012. 학습만화에 대한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인식분석비교.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227-246.(Lee, Jong-Moon. 2012. "An analysis on the perception of students & parents to comics for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2): 227-246.) 

  24. 임유림. 2012. 과학학습만화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및 과학교과서와의 내용연관성분석: 초등과학학습만화 'Why?'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초등교육과.(Lim, Yu-rim. 2012. Recognition and science textbooks for elementary and analysis of relevant information about the Science Cartoon: The Case of Elementary Science Cartoon 'Why?'. M.A.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Elementary Education.) 

  25. 임헌태. 2000. 만화의 교육적활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과.(Lim, Heon-Tae. 2000. A Study About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cartoons On the centered acquisition of concepts of words. M.A. thesis. Yonsei University.) 

  26. 장진영, 박혜리. 2014. 만화읽기가 창의력향상에 미치는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437-467.(Jang, Jin-yeong and Hye-ri Park. 2014. "A Study on How Reading Comic Books Affects Creativity." Cartoon & Animation Studies, 437-467.) 

  27. 정준규. 2003. 바다에서 살아남기. 서울: 대한교과서.(Jung, Jun-Gyu. 2003. Survive in the sea. Seoul: Dae Han Textbook.) 

  28. 천경록. 1999. 독서교육과 독서평가. 독서연구, 4: 7-43.(Chun, Gyeong-Rok. 1999. "Reading education and reading assessment." Reading Research, 4: 7-43.) 

  29. 천경록. 2006. 독서능력 표준화 검사도구의 연구개발. 독서연구, 15: 407-436. 

  30. 최열. 1995. 한국만화의 역사. 서울: 열화당.(Choi Yeol. 1995. History of Korea cartoon. Seoul: Yeolhwadang.) 

  31. 최영임, 한복희. 2009. 학습만화를 활용한 효율적인 독서지도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251-270.(Choi, Young-Im and Bock-Hee Hahn. 2009. "A study on the plans of efficient reading guidance through a studying carto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1): 251-270.) 

  32. 최재영. 2007. 지리교육에서 만화의 도입과 만화의 유형에 따른 학습자선호도 및 학습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사회)교육과.(Choi, Jae-yeong. 2007. The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cartoons and their types in geography education on learners preference and learning efficiency. Ph. D. diss., Seoul National University, Geographic Education.) 

  33. 하지영. 2011. 학습만화 읽기활동이 학업성취도와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등국어교육과.(Ha, Ji-Yeong. 2011. A Study on the Effect of Educational Cartoon Read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ading Skills. M.A.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34. 한철우, 천경록, 이경화, 백영균, 홍인선. 2007. 표준화 독서 능력 및 독서 태도. 도서능력진단검사개발위원회. 

  35. 道田泰司. 1998. マンガを用いた授業實踐の試みとその評價. 琉球大學敎育學部紀要 第一部, 53: 317-326. 

  36. 向後千春. 2005. "個別化敎授システムの開發と실實踐-敎材設計の認知的硏究を基礎として-." 博士學位論文. 早稻田大學, 人間科學部. 

  37. Naylor, S. and S. Keogh. 1999. "Concept cartoons, teaching and learning in science: An evalu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4): 431-446. 

  38. Smith, K. 1990. "Diversity and Direction: The Role of Qualitative Research in Information Centers."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1: 91-96. 

  39. Tyler, R. W. 1949. The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