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간호사의 업무환경,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rk Environment, E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 by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v.3 no.1, 2015년, pp.256 - 267  

남문희 (대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index of work environment, emotional labor by hospital nurse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90 nurses who were working hospital.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병원간호사의 간호업무 환경과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영향 요인을 질을 향상시켜 간호조직원의 효율적 관리를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가 감정적 소진의 가능성이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사는 다양한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접촉과 실천을 전제로 환자에게 간호를 제공함과 동시에 여러 직종 간에 조정역할을 하며, 업무를 수행하는 동안 대상자에게 신뢰를 주고, 안정감을 갖도록 함으로써 빈번한 감정적 교류를 해야 하는 전문직종이다. 간호사는 환자와 직접 대면으로 상호작용을 해야 하는 직업의 특성과 함께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감정을 표현하게 되므로 감정적 소진의 가능성이 많아진다9).
간호업무환경이란 무엇인가? 간호사의 업무환경은 간호사가 병원에 재직 혹은 이직하도록 만드는 주요한 요소로 병원에서는 의료진간의 관계, 환자집단, 환자 대 간호사 비율, 병동배치 등과 같은 많은 요소들이 업무환경에 영향을 미친다4). 현대 의료사회가 대형화, 전문화, 세분화 되면서 다양한 질병을 가진 환자와 세분화된 검사를 요구하는 등 근무환경과 근무형태가 매우 복잡, 다양해지는 상황 하에 급격한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능력이 요구되고 업무환경이나 직무수행 과정에서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간에 여러 가지 신체적, 정신적 건강문제가 발생되고 있으며5), 간호업무환경은 간호사의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 관련된다6).
간호사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6%로 높은 추세이다2). 간호사 이직은 임금이나 승진제도, 근무조건이나 직무환경과 같은 조직차원의 요인들과 직무 불만족이나 부적응과 같은 개인 차원의 요인들이 함께 작용하므로 그 원인과 기전이 매우 복잡하다3). 간호관리자는 간호사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rden, J. B. Surviving job stress: How to overcome workday pressures. New Jersey, NJ: The Career Press. 2002. 

  2. Hospital Nurses Association, Hospital nurse staffing Tracking Survey. 2012 Report. 2013. 

  3. Kim, MA, Park, KO, You SJ, et al. A survey of nursing activities in small and medium-size hospitals: Reasons for turnover.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149-165. 

  4. Cristmas, K. How work environment impacts retention. Nursing. 2008. 

  5. Kim, SH. Study on Life event stress influencing on physical mental state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of Korea, 1999. 

  6. Kang, GN.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medium sized hospitals. Korean Acad Nurs Admin, 2012;18(2):155-165. 

  7. Kim, JK. Kim, MJ, Kim, SY, et al. Effects of general hospital nurses' work environment on job embeddedness and burnout. Korean Acad Nurs Admin, 2014;20:69-81. 

  8. Park, DE. Nursing work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military nursing officers in armed forces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of Korea, 2014. 

  9. Shin, HS.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12(7):415-424. 

  10. Jung, MS, Kim, KJ.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nurse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06.;11(4):1-8. 

  11. Shin, MK, Kang, HL.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on somatization in nurses. Korean Acad Nurs Admin, 2011;17(2):158-167.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2.158. 

  12. Lee, KJ, Lee, E.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labor, empowerment,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1;20(2):130-142. 

  13. Wi, SM, Yi, YJ.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intent to leave, and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Korean Acad Nurs Admin, 2012;18(3): 310-319.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3.310 

  14. Wharton, AS, Erickson, RJ. The consequences of caring: Exploring the links between women's job and family emotion work. Work and Occupations, 1995;20:205-232. 

  15. Lake, E., Development of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2;25:176-188. 

  16. Morris, JA, Feldman, DC. The dimens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1996. 

  17. Yun-Jung Song,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hardship on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1. 

  18. Mobley, WH. Employee Turnover :Cause, Consequences and Control. Addision-Wesley Publishing Co., Reading. 1982. 

  19. Kim, MR. Influential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e affect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to turnover intention. Korean Acad Nurs Admin, 2007;13(3):335-334. 

  20. Myeong-Suk An, The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rate of nurses at medium-sized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of Korea, 2012. 

  21. Nora E. Warshawsky, Donna S. Havens, Global use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Nursing Research January/February, 2011;60:17-31. 

  22. Kim, SH, Lee, MA.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2014;20:332-341. 

  23. Lee, KJ. Lee, E.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labor, empowerment,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1;20(2):130-142. 

  24. Cha, SK. Shin, YS. Kim, KY. et al. The degrees of emotional labor and the its related factors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2);23-35. 

  25. Kim, JS. Jeong, SY. Kim, SH. et al. predictors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burnout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 Korean Gerontol Nurs, 2014;16(2):130-140. 

  26. Sung, KW. Comparison between nursing home nurses and hospital nurses for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J Korean Gerontol Nurs, 2012;14;0-49. 

  27. Kim, MR. Influential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e affect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to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7;13(3):335-344. 

  28. Gardner, JK, Thomas-Hawkins, C, Fogg, L, Latham, CE. The relationships between nurses' perceptions of the hemodialysis unit work environment and nurse turnover, patient satisfaction, and hospitalizations. Nephrology Nursing Journal, 2007;34(3):271-281. 

  29. Song, MS.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Job Involve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6):3741-3750. http://dx.doi.org/10.5762/ KAIS.2014.15.6.374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