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문헌정보학의 이론 활용 연구 동향 분석 - 2010년-2014년 『한국문헌정보학회지』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ory Use i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cusing 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rom 2010 through 2014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6 no.4, 2015년, pp.179 - 200  

김성진 (인하공업전문대학 비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이론활용 관점에서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의 특성을 조사함으로써 문헌정보학의 학문적 성장과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에서 2014년까지 최근 5년 동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논문 344편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1984년부터 2003년까지 조사된 과거 연구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종단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13.7%의 논문에서 평균 2.02회 이론을 활용하였다. 단순언급 수준으로 이론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고, 그 다음 이론응용 수준으로 활용되었다. 교육과 정보이용/탐색 주제 영역에서의 이론 활용이 가장 활발하였다. 문헌정보학의 고유 이론은 31.9%, 사회과학 이론은 58.3% 활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과거와 비교하면, 이론활용 연구가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지는 않았지만 최근 연구일수록 이론을 깊이 있게 활용하는 양상이 두드러졌기 때문에 이론활용 연구가 질적으로 성장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문헌정보학의 고유 이론을 활용하는 비중은 줄고 사회과학 분야, 특히 교육학과 심리학과의 연관성이 강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on theory use in Korean LIS, and ultimately to identify its academic growth and change. This study conducted content analysis, with a sample of 344 articles 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uring the past 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론 활용 양상에 대한 동향 및 시대별 추이 파악이 가능하도록 양적 분석을 기본으로 하되, Kumasi, Charbonneau 와 Walster(2013)처럼 이론이 활용되는 양상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는 질적 접근을 포함시킴으로써 이론활용 연구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그리고 Tuomaala, Järvelin과 Vakkari(2014)의 최근 연구에서 2005년도 논문을 추가 분석함으로써 총 40년간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이론활용 관점에서 국내 문헌정보학 이론 연구의 특성을 조사함으로써 문헌정보학의 학문적 성장과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에서 2014년까지 최근 5년 동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논문 344편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에서의 이론활용 측면에 초점을 맞춰 이론활용 연구의 양적·질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문헌정보학의 학문적 성장과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자는 박사논문에서 1984년부터 2003년 상반기까지 20년 동안의 국내외 문헌정보학 연구의 이론활용과 이론개발 측면을 분석함으로써 문헌정보학 연구의 학문적 본질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김성진 2004). 이론활용 연구는 25.
  • 이론 연구의 최소(Minimal) 수준으로 참고문헌없이 이론명만 간단히 위치시키는 Theory Positioning, 이론을 잠시 언급하는 Theory Dropping 단계를 설정하고, 중간(moderate) 수준에는 다양한 이론을 언급하여 설명하는 Theory Diversification, 이론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는 Theory Conversation 단계를, 최대(major) 수준에는 이론을 적용시키는 Theory Application, 이론을 평가하는 Theory Testing, 이론 개발을 시도하는 Theory Generation 단계를 포함시켰다. 이 연구는 각 단계에 속하는 이론 활용 연구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문헌정보학 연구에서 이론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해주었다. 그러나 이론 활용 수준에 대한 양적 분석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이론 활용 양상에 대한 동향 파악이 불가능하였다.
  • 타 연구자들에 의해 이론으로 인정된 경우는 ‘OO의 OO이론’ (예: Belkin의 ASK이론)과 같은 고유명사 형태로 불리거나 인용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자신의 연구결과를 자기인용하며 이론(혹은 모형, 법칙)이라 칭한 경우는 제외함으로써 타 연구자의 인정에 도달한 공식이론 수준의 이론을 채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론(혹은 모형, 법칙)을 일반명사처럼 사용한 경우도 제외하였다.
  • 첫째, 이론 여부 판단은 논문 저자들의 관점을 철저히 따르고자 하였다. 즉, 저자가 이론 (theory), 모형(혹은 모델, model), 법칙(law)등으로 언급한 것을 중심으로 이론 여부 판단의 시작점으로 삼았다.
  • 이를 위해 연구주제, 연구방법론, 이론 활용 여부, 활용된 이론을 파악하기 위해 최근 5년 동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에 수록된 344편의 연구논문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과거 연구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여 최근 5년간의 분석 데이터와 『한국문헌정보학회지』를 중심으로 재추출한 과거 20년의 데이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문헌정보학 이론 연구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론이란? 이론에 대한 개념 정의는 학자들마다 다르지만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통합하면, 이론이란 “의미 있는 현상 간의 관계에 대한 설명과 예측을 위해 검증 가능하도록 단일화된 진술”을 의미한다(김성진 2004). 학자들은 아직 다른 연구 자들에 의해 발견되지 않은 의미있는 사실을 찾기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학문의 진보를 꾀하고 있다.
Connaway와 Powell은 이론을 활용하는 것과 이론을 개발하는 것은 무엇이라고 하였나? 학자들은 아직 다른 연구 자들에 의해 발견되지 않은 의미있는 사실을 찾기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학문의 진보를 꾀하고 있다. Connaway와 Powell (2010)은 이론을 활용하는 것과 이론을 개발하는 것 모두 학문의 성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라고 일컬었으며, Pettigrew와 McKechnie (2001)는 이론을 다루는 연구는 연구의 진지함과 존경받을만함을 내포하고 있다고 하였다.
Pettigrew와 Mckechnie의 이론활용 측면을 분석한 연구에서 포함시킨 키워드들은? 1%가 이론 활용 연구 임을 밝혔다. 이들은 이론(theory)으로 언급된것 이외에 개념(conceptual), 체계(framework), 기반(grounded), 토대(underpinning) 등의 단어가 사용된 접근을 모두 포함하였다. McGrath (2002)는 현상 간의 의미 있는 관계를 밝힘으 로써 이론 정립을 시도하는 연구들을 찾아 주제 영역별로 종속변인, 독립변인, 분석단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주제 영역 내에서 하나의 포괄적인 통합이론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파악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강미희, 김정현. 201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4): 457-482.(Kang, Mi-Hee and Jeong-Hyen Kim. 2014. "A Study on Research Trends of Journal of Korean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 Society, 45(4): 457-482.) 

  2. 김성진. 2004. 문헌정보학 이론의 효율성과 활용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Kim, Sung-Jin. 2004. A Study on Efficiency and Use of Theory in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 Ph.D. diss., Ewha Womens University.) 

  3. 김현희. 2012. 이용자 태그를 활용한 비디오 스피치 요약의 자동 생성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1): 163-181.(Kim, Hyun-Hee. 2012. "Investigating an Automatic Method in Summarizing a Video SpeechUsing User-Assigned Tag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46(1): 163-181.) 

  4. 박희진. 2011. 폭소노미에 따른 웹 분류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189-210.(Park, Hee-Jin. 2011.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Folksonomy Users' Tagging Behaviors."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1): 189-210.) 

  5. 손정표. 2003. 한국의 문헌정보학분야 석.박사 학위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1959-200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4): 21-42.(Sohn, Jung-Pyo. 2003.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the Master's & Doctor'sDissertations in the Field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1959-2002." Journal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4(4): 21-42.) 

  6. 송정숙. 2010. 한국 문헌정보학의 연구현황 분석: 2001년-2010년 발행 석.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4): 333-353.(Song, Jung-Sook. 2010. "Tren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in Korea: Focusedon Mast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from 2001 to 2010." Journal of Korean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4): 333-353.) 

  7. 오세훈, 이두영. 2005. 우리나라의 정보학 연구 동향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2(1): 167-189.(Oh, Se-Hoon and Too-Young Lee. 2005. "Research Trends of Information Science in Kor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2(1): 167-189.) 

  8. 이지수. 2013. 그룹 연구 과제에서의 협동적 정보행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3): 97-117.(Lee, Jisu. 2013. "Exploring Collaborative Information Behavior in the Group-Based ResearchProject: Content Analysis of Online Discussion Foru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3): 97-117.) 

  9. 임여주. 2012. 학습만화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사서교사의 인식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4): 341-360.(Lim, Yeojoo. 2012.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choolLibrarians on Educational Graphic Novel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 Society, 46(4): 341-360.) 

  10. 정동열, 김성진. 2003. 문헌정보연구의 이론 활용성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0(1): 165-198.(Jeong, Dong-Youl and Sung-Jin Kim. 2003. "An Analysis of Theory Use in the Library andInformation Science Researc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20(1): 165-198.) 

  11. Babu, B. R. 2011. "Relevance of Five Laws of Library Science in the Contemporary Library Worl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4): 253-269. 

  12. Connaway, L. and R. Powell. 2010. Basic Research Methods for Librarians (5th ed.). Santa Barbara, CA: Libraries Unlimited. 

  13. Grover, R. and J. Glazier. 1986.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ory Building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8(3): 227-242. 

  14. Jarvelin, K. and P. Vakkari. 1990.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Articl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12(4): 395-421. 

  15. Jarvelin, K. and P. Vakkari. 1993. "The Evolu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965-1985: A Content Analysis of Journal Articles."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29(1): 129-144. 

  16. Julien, H. 1997. "A Content Analysis of the Recent Information Needs and Uses Literature."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18(1): 53-65. 

  17. Julien, H. and L. J. Duggan. 2000.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Information Needs and Uses Literature."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2(3): 291-309. 

  18. Julien, H., J. Pecoskie, and K. Reed. 2011. "Trends in Information Behavior Research, 1999-2008: A Content Analysi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3(1): 19-24. 

  19. Kumar, S. K. A., B. R. Babu, and P. N. Rao. 2011. "Implications of Five Laws of Library Science on Dr. S. R. Ranganathan's Colon Classification: an Explorative Stu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4): 309-326. 

  20. Kumasi, K. D., D. H. Charbonneau, and D. Walster. 2013. "Theory Talk in the Library Science Scholarly Literature: An Exploratory Analysi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5: 175-180. 

  21. McGrath, W. E. 2002. "Explanation and Prediction: Building a Unified Theory of Librarianship, Concept and Review." Library Trends, 50(3): 350-370. 

  22. Na, Kyoungsik. 2014. "Exploring the Effect of Mental Demand in Web Searches: A Pilot Stu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2): 379-398. 

  23. Pettigrew, K. E. and L. McKechnie. 2001. "The Use of Theory in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2(1): 62-73. 

  24. Takeuchi, S. 2011. "The Five Laws of Library Science from a Japanese Ang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4): 287-295. 

  25. Todd, R. J. 2010. "From Information to Knowledge: the Information Literacy Conundru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4): 131-153. 

  26. Tuomaala, O., K. Jarvelin, and P. Vakkari. 2014. "Evolu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965-2005: Content Analysis of Journal Article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5(7): 1446-1462. 

  27. Yoon, Cheong-Ok. 2011. "Five Laws and Libraries in Korea: Are We in the Right Dire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4): 297-3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