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적장애 청소년의 집행기능 향상을 위한 태블릿 PC 기반 음악 만들기 활동
A Tablet PC-Based Music-Making Program for Improving Executive Functio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2 no.1, 2015년, pp.1 - 21  

지경미 (연현중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태블릿 PC를 활용한 음악 만들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집행기능 향상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지적장애 청소년 남학생 4명으로 세션은 주 2회씩 회기별 45분으로 진행하여 총 16회기 동안 개별 중재하였다. 음악 만들기 프로그램은 노래 구상 및 태블릿 PC 조작법 습득, 음악 요소 탐색, 리듬 멜로디 가사 반주 리듬 만들기, 루프 구간 설정 및 생성, 발표하기로 구성되었고 각각의 창작 과정은 난이도에 따라 단계별로 반복 진행되었다. 집행 기능 측정을 위해서 스트룹(Stroop)검사, 아동 색 선로 검사(CCTT), 작업기억지표의 하위검사인 숫자따라 외우기(DST)와 순차연결하기(LN) 검사를 사전 중간 사후에 실시한 결과 연구 결과 참여자들 모두 세 가지 검사에서 점수가 향상되었다. 비디오 촬영을 통한 행동 분석 결과, 주의 지속 시간이 증가하고 리듬과 멜로디 수행 시 나타나는 오류를 자발적으로 개선해 나갔으며 정보 범주화를 통해 정보의 활용과 응용이 가능해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태블릿 PC를 활용한 음악 만들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집행 기능을 향상시키는 중재도구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더 나아가 기존에 지적장애 아동기에 집중되어있던 연구를 청소년기로 확장시켜, 인지기능 저하 및 인지적 과제 참여에 대한 동기가 낮은 다른 대상군에게도 확장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tablet PC-based music-making program on the executive functio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ur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Each participant received 45-minute individual sessions twice a week for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순차연결(LN) 검사는 숫자와 한글을 함께 사용하며 순서에 따라 조작하여 암기하는 것으로 작업기억, 정보 범주화, 주의력, 조작력이 동시에 요구된다(Oh, 20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행기능 중 작업기억 측정을 위해 사용되었다.
  • 또한 지적장애 청소년의 음악치료 중재의 효과적인 도구로서 태블릿 PC가 사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에서 활용 가능한 중재도구로 고려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태블릿 PC를 기반으로 한 음악 만들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인지영역에 해당되는 집행기능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1. 지적장애 청소년은 태블릿 PC를 활용한 음악 만들기 활동 후 주의 제어와 관련된 스트룹(Stroop) 검사에서 향상된 결과를 나타낼 것인가?
  • 2. 지적장애 청소년은 태블릿 PC를 활용한 음악 만들기 활동 후 정보 처리 기능과 관련된 아동 색-선로 검사(CCTT)에서 향상된 결과를 나타낼 것인가?
  • 4. 지적장애 청소년은 태블릿 PC를 활용한 음악 만들기 활동 후 음악적 내용 분석에서 집행기 능과 관련하여 향상된 변화를 나타낼 것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집행기능 중 학업 성취를 위해 필요한 능력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집행기능은 목표 설계, 탐색, 통제, 관리, 수정, 융통성과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인지 전략으로(Carlson, 2003) 불필요한 주의 전환 감소 능력, 행동 지속 능력, 목표 계획 능력,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 능력, 행동 평가 능력 등을 포함한다(Gioia, Isquith, Kenworthy, & Barton, 2002). 집행기능 하위 영역 중 우세한 반응을 억제하고 주의를 집중 할 수 있는 주의제어 능력, 정보처리 능력, 전략적 대안 계획과 동시 다발적 정보 처리 및 저장하는 작업기억 능력, 전략과 목표를 세우는 능력은 성공적인 학업 성취를 위해 필요하다(Anderson, 2002). 연구자에 따라 집행기능을 구성하는 하위 요인에는 차이가 있지만 학습을 위한 중요한 상위 인지 기능이라는 점에는 대부분 동의하고 있으며(Bailey et al.
청소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청소년기는 아동기와는 달리 지적 발달을 통한 합리적인 판단과 결정력 형성, 정서적 발달을 통한 자율성과 자립성의 확립 등 사회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갖추는 시기이므로(Choi, 2000) 발달 단계상의 특수성을 고려한 치료 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지적장애 청소년은 정상적 발달 과정의 지체로 인해(Benson, Abbeduto, Short, Nuccio, & Maas, 1993) 제한된 인지기능과 이에 따른 적응행동 문제도 가지고 있다.
작업기억 소검사 중 DSF에서 요구하는 능력은 무엇인가? 작업기억 소검사(working memory index, WMI)인 DSF(digit span forward), DSB(digit span backward), LN(letter-number sequencing)을 실시하였다. 숫자 바로 따라 외우기(DSF)에서는 제공된 정보를 지속을 위해 단기기억, 주의력, 정보 부호화 능력이 필요하며 숫자 거꾸로 외우기 (DSB)로 정보를 지속 할 뿐 아니라 활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기억, 조작력, 변환 능력이 요구된다(Kim & Park, 2003). 또한 순차연결(LN) 검사는 숫자와 한글을 함께 사용하며 순서에 따라 조작하여 암기하는 것으로 작업기억, 정보 범주화, 주의력, 조작력이 동시에 요구된다(Oh,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n, S. H. (2014). A systematic review of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using music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943 

  2. Anderson, P. (2002). Assessment and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EF) during childhood. Child Neuropsychology, 8(2), 71-82. 

  3. Bailey, R., Willner, P., & Dymond, S. (2011). A visual aid to decision-making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2(1), 37-46. 

  4. Baker, F., & Wigram, T. (2008). Songwriting: Methods, techniques and clinical applications for music (M. H. Choi, Trans.). Seoul: Hakjisa. (Original work published 2005). 

  5. Benson, G., Abbeduto, L., Short, K., Nuccio, J. B., & Maas, F. (1993). Development of theory of mind in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98(3), 427-433. 

  6. Carlson, S. M. (2003). Executive function in context: Development, measurement, theory, and experience.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8(3), 138-151. 

  7. Choi, J. S., & Shin, J. S. (2011). The relationship, cognitive processing style and an analysis of error on the process of word problem solving in mathematics by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13(2), 201-220. 

  8. Choi, Y. J. (2000). Children's rights and youth righ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7(2), 277-300. 

  9. Chong, H. J. (2005). Music therapy: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0. Chu, Y. G., & Kim, E. Y. (2014). Trend to enhance working memory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16(1), 85-104. 

  11. Conners, F. A. (1990). Aptitude by treatment interaction in computer assisted word learning by mentally retarded students.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94(4), 387-397. 

  12. Davies, D. K., Stock, S. E., & Wehmeyer, M. L. (2002). Enhancing independent time management skills of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using a palmtop personal computer. Mental Retardation, 40(5), 358-365. 

  13. Dege, F., Kubicek, C., & Schwarzer, G. (2011). Music lessons and intelligence: A relation mediated by executive functions. Music Perception, 29(2), 195-201. 

  14. Dempster, F. N. (1992). The rise and fall of the inhibitory mechanism: Toward a unified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and aging. Developmental Review, 12(1), 45-75. 

  15. Drake, C., Jones, M. R., & Baruch, C. (2000). The development of rhythmic attending in auditory sequences: Attunement, referent, period, focal attending. Cognition, 77(3), 251-288. 

  16. Edelson, R. J., & Johnson, G. (2003). Music makes math meaningful. Childhood Education, 80(2), 65-70. 

  17. Gioia, G. A., Isquith, P. K., Kenworthy, L., & Barton, R. M. (2002). Profiles of everyday executive function in acquired and developmental disorders. Child Neuropsychology, 8(2), 121-137. 

  18. Henry, L., & Winfield, J. (2010). Working memory and educational achievement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54(4), 354-365. 

  19. Kang, H. J., & Kim, Y. I. (2006). The effects of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on improving the attention behavior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8(3), 213-232. 

  20. Kang, H. S. (2014). Performance patterns in percussion improvisation of adolescents with behavior problems.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1(2), 1-17. 

  21. Kilgour, A. R., Jakobson, L. S., & Cuddy, L. L. (2000). Music training and rate of presentation as mediators of text and song recall. Memory & Cognition, 28(5), 700-710. 

  22. Kim. H. G., & Park, T. J. (2003). Korean norm for the difference between digits forward and digits backward.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3), 599-613. 

  23. Kim, H. J. (2007). Effects of 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on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articipating act in solving the problem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14(1), 143-165. 

  24. Koo, H. J., & Shin, M. S. (2008). A standardization study of children's color trails test (CCTT).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19(1), 28-37. 

  25. McFerran, K. (2012). Adolescents, music and music therapy: Methods and techniques for clinicians, educators and students (M. H. Choi, I. S. Hong, & E. A. Jang Trans.). Seoul: KMTACA. (Original work published 2008). 

  26. Min, C. S. (2002). The study on strategy of teaching-learning for curriculum Instruction and learning characteristic of mentally retarded child based on Gagne's information treatment process theory.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4, 119-136. 

  27. Oh, S. W. (2012). K-WISC-VI. The Korean Association Rehabilitation Psychology, 20, 109-150. 

  28. Park, H. O., & Kim, J. H. (2011).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training using visual aid on the executive functioning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13(4), 163-178. 

  29. Park, S. Y. (2012). The trends of music therapy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Using journals in Korea from 2002 to 2011.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19(1), 97-117. 

  30. Patterson, A. (2003). Music teachers and music therapists: Helping children together. Music Educators Journal, 89(4), 35-38. 

  31. Seok, M. J. (2001). The effects of composing in a music class setting.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20(1), 233-255. 

  32. Shin, G. H. & Lee, S. H. (2013).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strategies using tablet PC on the independent performance of routine activities and class preparation behavior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15(3), 203-229. 

  33. Sin, Y. O. (2005). Strategies for developing ecologic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0408962 

  34. Song, C. W. (2009). Executiv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earning disability childre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dcollection.daeg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528 

  35. Song, C. W., & Byun, C. S. (2007). Current trends of research related to executive function.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abilities, 23(1), 143-162. 

  36. Van der Molen, M. J., Van Luit, J. E. H., Jongmans, M. J., & Van der Molen, M. W. (2007). Verbal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51(2), 162-169. 

  37. Vanstone, A. D., & Cuddy, L. L. (2009). Musical memory in Alzheimer disease. Aging, Neuropsychology, and Cognition, 17(1), 108-12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