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study, we performe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the three marker compounds such as gallic acid, ellagic acid, and quercetin in the 70% ethanol extracts of non-processed Sanguisorbae Radix and processed Sanguisorbae Radix using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photodiod...
In this study, we performe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the three marker compounds such as gallic acid, ellagic acid, and quercetin in the 70% ethanol extracts of non-processed Sanguisorbae Radix and processed Sanguisorbae Radix using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photodiode array detector. The analytical column for separation of the three compounds was used a Gemini $C_{18}$ column ($5{\mu}m$, $4.6{\times}250mm$) by the gradient elution with distilled water and acetonitrile containing 1.0% (v/v) acetic acid as mobile phase. The flow rate and injection volume were $1.0{\mu}L/min$ and $10{\mu}L$. The concentrations of gallic acid, ellagic acid, and quercetin in non-processed Sanguisorbae Radix were 0.25, 0.26, and 0.007%, respectively, while the concentrations of gallic acid, ellagic acid, and quercetin in non-processed Sanguisorbae Radix 0.14-0.55, 0.27-2.03, and 0.001-0.007%, respectively. Among the three components, the amount of the ellagic acid was increased after processing in Sanguisorbae Radix.
In this study, we performe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the three marker compounds such as gallic acid, ellagic acid, and quercetin in the 70% ethanol extracts of non-processed Sanguisorbae Radix and processed Sanguisorbae Radix using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photodiode array detector. The analytical column for separation of the three compounds was used a Gemini $C_{18}$ column ($5{\mu}m$, $4.6{\times}250mm$) by the gradient elution with distilled water and acetonitrile containing 1.0% (v/v) acetic acid as mobile phase. The flow rate and injection volume were $1.0{\mu}L/min$ and $10{\mu}L$. The concentrations of gallic acid, ellagic acid, and quercetin in non-processed Sanguisorbae Radix were 0.25, 0.26, and 0.007%, respectively, while the concentrations of gallic acid, ellagic acid, and quercetin in non-processed Sanguisorbae Radix 0.14-0.55, 0.27-2.03, and 0.001-0.007%, respectively. Among the three components, the amount of the ellagic acid was increased after processing in Sanguisorbae Radix.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3,13) 지유의 수치에 대한 연구는 박 등14)과 강 등15,16)이 볶은 지유의 에테르 분획으로부터 원생약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aegiceradienol(28-noroleana-12, 17-dien-3β-ol), tomentosolicacid, pomolic acid 및 acetylpomolic acid의 분리 및 구조 동정하여 보고하였다. 본 연구자들은 전보17,18)의 결명자와 두충의 포제에 따른 주요 성분의 함량 변화에 이어 지유의 주요 성분인 gallic acid, ellagic acid 및 quercetin 3종에 대하여 시간과 온도에 따라 청초법(淸炒法)으로 포제 한 후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를 이용하여 이들 성분의 포제 전·후에 대한 함량분석을 비롯하여 확인시험, 건조감량, 회분, 산불용성회분, 묽은에탄올엑스함량 및 벤조피렌시험 등의 이화학적 데이터를 비교하여 지유의 최적 포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 청초법(淸炒法)으로 포제를 한 지유에 대하여 적절한 온도와 시간을 설정하기 위하여 위와 같이 포제 한생약을 본초학 교재19)와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20)을 바탕으로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서영배 교수와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이제현 교수 2인의 전문가에 의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 구입된 지유 규격품을 CBR-101A를 이용하여 온도(160, 180, 200, 220 및 240℃)와 시간(5, 10, 15 및 20분)별로 포제 하였다.
− 구입된 지유 규격품을 CBR-101A를 이용하여 온도(160, 180, 200, 220 및 240℃)와 시간(5, 10, 15 및 20분)별로 포제 하였다. 포제 전 해당 온도에서 예비가열을 한 후 설정 온도에 도달했을 때 지유를 넣고 조건대로 조작을 하여 포제하였다. 지유의 온도 및 시간에 따른 포제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5 g에 물 10 mL를 넣어 끓여서 여과한 여액에 염화제이철시액을 넣었을 때 어두운 자색을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이 약 가루 0.5 g에 물 10 mL를 넣어 수욕상에서 잠시 끓인 후 냉각시킨 다음 세게 흔들어 섞을 때 지속성의 거품이 생기는지 확인하였다.
플라스크 및 잔류물은 여액이 100 mL로 될 때까지 묽은 에탄올로 씻어 주었으며, 여액 50 mL를 수욕에서 증발건고하고 105℃에서 4시간 건조하여 데시케이터(실리카겔)에서 식힌 다음 그 질량을 정밀하게 달고 2를 곱하여 묽은에탄올엑스의 양으로 하였다. 건조감량에서 얻은 값에서 건조물로 환산한 검체량에 대한 엑스함량(%)을 산출하여 묽은에탄올엑스함량을 계산하였다.
에 따라 칭량병을 미리 105℃에서 1시간 건조한 후 그 무게를 정밀하게 달았다. 그 후 무게를 단 칭량병에 시료 약 2g을 넣어 그 층의 높이가 5 mm 이하가 되도록 편 다음 무게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105℃에서 5시간 건조하여 데시케이터(실리카겔)에서 식힌 후 칭량병을 꺼내어 그 무게를 정밀하게 달아 건조감량(%)을 계산하였다.
무게를 단 도가니에 시료 약 2g을 넣어 무게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550℃에서 5시간 동안 강열하여 탄화물이 남지 않을 때까지 회화하였다. 방냉 한 후 질량을 정밀하게 달고 다시 항량이 될 때까지 회화하고 방냉 한 다음 그 질량을 정밀하게 달아 회분함량(%)을 계산하였다.
23) 따라서 지유의 포제시 온도와 시간을 고려하여 선택된 시료 4종(220℃-15분, 220℃-20분, 240℃-15분 및 240℃-20분)과 생지유에 대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24)에 따라 벤조피렌시험을 실시하였다.
검액 및 표준액 10 µL씩을 가지고 Table I의 조건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하였으며, 각 표준액에서 얻은 내부표준물질 피크면적에 대한 벤조피렌의 피크면적비[AS/AIS]를 Y축으로 하고 벤조피렌의 농도를 X축으로 하여 만든 검량곡선을 작성하고, 검액의 내부표준물질 피크면적에 대한 벤조피렌의 피크면적비[ASAM/ASAMIS]를 Y축에 대입하여 벤조피렌의 농도를 구하였다.
따로 벤조피렌표준품 및 3-메틸콜란트렌표준품 적당량을 정밀하게 달아 각각 아세토니트릴에 녹여 mL당 1 µg을 함유하는 표준원액 및 내부표준원액을 만들었다.
따로 벤조피렌표준품 및 3-메틸콜란트렌표준품 적당량을 정밀하게 달아 각각 아세토니트릴에 녹여 mL당 1 µg을 함유하는 표준원액 및 내부표준원액을 만들었다. 이 표준원액과 내부표준원액 적당량을 정확하게 취하여 아세토니트릴로 mL 당 3, 5, 10, 20 및 40 ng의 벤조피렌과 각각 50 ng의 내부표준물질이 함유되도록 희석하여 표준액으로 하였다. 검액 및 표준액 10 µL씩을 가지고 Table I의 조건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하였으며, 각 표준액에서 얻은 내부표준물질 피크면적에 대한 벤조피렌의 피크면적비[AS/AIS]를 Y축으로 하고 벤조피렌의 농도를 X축으로 하여 만든 검량곡선을 작성하고, 검액의 내부표준물질 피크면적에 대한 벤조피렌의 피크면적비[ASAM/ASAMIS]를 Y축에 대입하여 벤조피렌의 농도를 구하였다.
− 지유의 적절한 포제 방법을 설정하고자 시중 유통품인 생지유를 구입하여 시간(5, 10, 15 및 20분)과 온도(160, 180, 200, 220 및 240℃)에 따라 포제를 실시하였다(Fig. 2).
이에 본 저자들은 여러 가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지유의 지표물질을 gallic acid, ellagic acid 및 quercetin 등으로 정하고 포제 전·후에 대하여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52분에 각각 검출되었다. 확립된 HPLC 분석법을 이용하여 지유의 지표성분인 3종에 대하여 시간과 온도에 따라 포제를실시 한 후 이들 성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Fig. 4). 생지유와 지유초에서의 gallic acid, ellagic acid 및 quercetin의 함량 분석 결과 0.
그 외의 시약은 HPLC 또는 특급시약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3종의 정량분석은 CBM-20A communications bus module, LC-20AT pump, DGU-20A3 online degasser, CTO-20A column oven, SIL-20AC autosampler 및 SPDM20A photodiode array(PDA) detector로 구성된 Shimadzu Prominence LC-20A series(Kyoto, Japan)를 사용하였다. 데이터 수집과 처리는 LCsolution software(Version 1.
본 연구에서는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 수록되어있는 지유를 시간(5, 10, 15 및 20분)과 온도(160, 180, 200, 220 및 240℃)에 따라 포제 할 때 지유의 주요 성분인 gallic acid, ellagic acid 및 quercetin에 대하여 포제 전·후 함량변화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gallic acid와 ellagic acid는 RS15(220℃-10분)와 RS21(240℃-20분)에서 0.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 사용된 지유는 광명당제약(Ulsan, Korea)에서 규격품을 구입하여 본초학 전공인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이제현 교수(Gyeongju, Korea)와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서영배 교수(Daejeon, Korea)로부터 기원 동정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0%이상)은 ChromaDex(Irvine, CA, USA)에서 구입하였다. 정성 및 정량분석을 위한 메탄올, 아세토나이트릴 및 물은 J.T. Baker(Phillipsburg, NJ,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초산은 특급시약으로 Junsei(Tokyo, Japan)에서 구입하였다. 그 외의 시약은 HPLC 또는 특급시약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4, SP1, Kyoto, Japan)를 사용하였다. 회화로는 Thermolyne 48000 furnace(Barnstead, Dubuque, IA, USA), 건조기는 OF22G(JeioTech, Daejeon, Korea), 초음파추출기는 Branson8510E-DTH(Branson Ultrasonic Co., Danbury, CT, USA) 및 포제는 CBR-101A(GeneCafe, Ansan, Korea)를 사용하였다.
합한 헥산층에 물 약 50 mL를 넣어 세척하고, 이 헥산층을 무수황산나트륨을 넣은 여과지를 사용하여 탈수 여과한 다음 45℃의 수욕상에서 감압하여 헥산 약 2 mL가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플로리실카트리지는 미리 디클로로메탄 10 mL 및 헥산 20 mL를 순서대로 초당 2~3 방울의 속도로 유출시켜 활성화시킨 후 사용하였다. 활성화된 카트리지에 위의 추출용액을 넣어 헥산:디클로로메탄혼합액(3 : 1) 20 mL를 초당 2~3방울의 속도로 용출시켰다.
이론/모형
23) 따라서 지유를 220℃ 이상의 고온에서 볶을 경우 유해물질인 벤조피렌의 생성여부 및 생성량을 확인하고자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24)에 따라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료 중 생지유와 220℃-15분, 220℃-20분, 240℃-15분 및 240℃-20분에서 볶은 시료 4종을 샘플링 하여 총 5종의 시료에 대해서 벤조피렌 시험을 실시한 결과 0.
성능/효과
− 지유는 지혈(止血), 수렴(收斂) 및 지리(止痢)의 효능을 증강하기 위해 초탄(炒炭)하는데 표면과 내부의 색상이 검게 변하면서 숯처럼 변하지 않는 정도를 기준으로 하였다. 본 실험에서 포제품의 관능검사 결과 180℃-20분, 200℃-10분, 200℃-15분 및 220℃-5분 동안 가열하는 것을 지유의 초법(炒法)에 적절한 포제 시간과 온도로 판단하였다.
21) 따라서 대한약전 생약시험법에 따른 생지유와 지유초의 묽은에탄올엑스함량 측정 결과 평균 및 표준편차는 28.76±3.90%(n=3)이었고 각각의 시료에 따라 26.24~36.01%로 나타났다.
21) 생지유와 지유초의 대한약전 시험법에 따른 산불용성회분 측정 결과 평균 및 표준편차는 1.07±0.26%(n=3)이었고 각각의 시료에 대하여 0.62~1.47%로 나타났다.
21) 생지유와 지유초의 대한약전 시험법에 따른 회분 측정 결과 평균 및 표준편차는 9.80±1.24%(n=3)이었고 각각의 시료에 대하여 7.25~11.58%로 나타났다.
21) 따라서 대한약전 생약시험법에 따른 생지유와 지유초의 건조감량 측정 결과 평균 및 표준편차는 6.41±0.01%(n=3)와 1.87±1.06%(n=3)로 두 시료 모두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기준치인 10.0% 이하와 5.0% 이하로 적합하였다.
0% 이하로 적합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유와 지유초의 건조감량을 10.0% 이하와 5.0% 이하로 규정하는 것은 타당하다고 사료된다(Table III).
시료 중 생지유와 220℃-15분, 220℃-20분, 240℃-15분 및 240℃-20분에서 볶은 시료 4종을 샘플링 하여 총 5종의 시료에 대해서 벤조피렌 시험을 실시한 결과 0.2, 0.8, 0.3, 0.5 및 0.7 μg/kg으로 각각 나타났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벤조피렌의 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생약은 지황과 숙지황으로 5 µg/kg 이하로 허용하고 있다.25) 지유에 대한 기준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며, 지황과 숙지황의 기준과 비교할 경우 지유를 포제 할 때 가해진 고온의 온도(220℃및 240℃)에서는 모두 5 mg/kg 이하로 벤조피렌의 생성에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정량분석을 위하여 gallic acid 1.56-100.00 μg/mL, ellagic acid 7.81-500.00 μg/mL 및 quercetin 0.31-20.00 μg/mL의 농도 범위에서 검량선을 작성한 결과 3종 모두 상관계수(r2)가 0.9998이상의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내었다(Table V).
4). 생지유와 지유초에서의 gallic acid, ellagic acid 및 quercetin의 함량 분석 결과 0.14-0.62, 0.26-2.03 및 0.001-0.007%로 각각 나타났다(Table VI). Gallic acid의 경우 220℃-10분에서 포제할 경우 그 함량이 0.
62%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또한ellagic acid의 경우 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함량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240℃-20분에서 최고인 2.03%로 검출되었다. 반면에 quercetin은 시간과 온도가 증가할수록 함량은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 수록되어있는 지유를 시간(5, 10, 15 및 20분)과 온도(160, 180, 200, 220 및 240℃)에 따라 포제 할 때 지유의 주요 성분인 gallic acid, ellagic acid 및 quercetin에 대하여 포제 전·후 함량변화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gallic acid와 ellagic acid는 RS15(220℃-10분)와 RS21(240℃-20분)에서 0.62%와 2.03%로 가장 높은 함량으로 검출되었다. 반면에 quercetin의 경우는 포제를 진행할수록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후속연구
반면에 quercetin의 경우는 포제를 진행할수록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지유의 최적 포제법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제는 무엇인가?
포제( 製)는 한의학에서 사용되는 전통 생약을 불을 비롯하여 술, 식초 또는 소금물 등과 같은 보조제를 이용하여 치료 효능을 높이거나 독성과 부작용을 낮추거나 없애는 여러 가지 가공방법으로 수치(修治) 또는 법제(法製) 등으로 불려왔다.1,2) 지유(地楡)는 주로 토혈(吐血), 비출혈(鼻出血) 및 혈리(血痢) 등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어왔으며, 이러한 지혈 효능을 높이기 위해 가공 및 포제되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지유의 시간(5, 10, 15 및 20분)과 온도(160, 180, 200, 220 및 240℃)에 따라 포제 할 때 지유의 주요 성분인 gallic acid, ellagic acid 및 quercetin에 대하여 포제 전·후 함량변화를 비교한 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 수록되어있는 지유를 시간(5, 10, 15 및 20분)과 온도(160, 180, 200, 220 및 240℃)에 따라 포제 할 때 지유의 주요 성분인 gallic acid, ellagic acid 및 quercetin에 대하여 포제 전·후 함량변화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gallic acid와 ellagic acid는 RS15(220℃-10분)와 RS21(240℃-20분)에서 0.62%와 2.03%로 가장 높은 함량으로 검출되었다. 반면에 quercetin의 경우는 포제를 진행할수록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지유의 최적 포제법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지유는 무엇인가?
지유(Sanguisorbae Radix)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 및 동속식물의 뿌리로써, 예로부터 맛은 쓰고(苦) 시고(酸) 떫으며(澁) 性은 微寒하며 양혈지혈(凉血止血)과 해독렴창(解毒斂瘡)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왔다.5) 지유의 주요 성분으로는 sanguine H1~H11, gambiriin A-1, gambiriin B-3, pr℃yanidin B-3 및 3-galloylpr℃yanidin B-3 등의 tannin류와 ursolic acid, benthamic acid, euscaphic acid 및 ziyuglycoside I 등의 triterpenoid류 및 sanguisorbic acid dilactone과 같은 phenolic acid등이 보고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tannin류가 주를 이루고 있다.
참고문헌 (33)
동의학자료실 (1993) 동약법제, 13-53, 여강출판사, 서울.
Lee, B. C., Sim, G. S., Kim, J. H., Kim, J. H. and Pyo, H. B. (2006) Effect of the processed Selaginella tamariscina on antioxidation and inhibi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2: 69-74.
Bae, K. H. (2008) The medicinal plant of Korea, 233. 교학사, 서울.
한방약리학교재편찬위원회 (2010) 한방약리학, 382-385. 신일북스, 서울.
생약학교재편찬위원회 (2012) 생약학, 193-195. 동명사, 서울.
Nguyen, T. T., Cho, S. O., Ban, J. Y., Kim, J. Y., Ju, H. S., Hoh, S. B., Song, K. S. and Seong, Y. H. (2008) Neuroprotective effect of Sanguisorbae Radix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brain damage: in vitro and in vivo. Biol. Pharm. Bull. 31: 2028-2035.
Ban, J. Y., Nguyen, T. T., Lee, H. J., Cho, S. O., Ju, H. S., Kim, J. Y., Bae, K., Song, K. S. and Seong, Y. H. (2008) Neuroprotective properties of gallic acid from Sanguisorbae Radix on amyloid beta protein (25-35)-induced toxicity in cultured rat cortical neurons. Biol. Pharm. Bull. 31: 149-153.
Tong, H., Mao, D., Zhai, M., Zhang, Z., Sun, G. and Jiang, G. (2015) Macrophage activation induced by the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the roots of Sanguisorba officinalis. Pharm. Biol. 53: 1511-1515.
Shin, J. A., Kim, J. S., Kwon, K. H., Nam, J. S., Jung, J. Y., Cho, N. P. and Cho, S. D. (2012) Apoptotic effect of hot water extract of Sanguisorba officinalis L. in human oral cancer cells. Oncol. Lett. 4: 489-494.
Sun, W., Zhang, Z. L., Liu, X., Zhang, S., He, L., Wang, Z. and Wang, G. S. (2012) Terpene glycosides from the roots of Sanguisorba officinalis L. and their hemostatic activities. Molecules. 17: 7629-7636.
Zhang, L., Koyyalamudi, S. R., Jeong, S. C., Reddy, N., Smith, P. T., Ananthan, R. and Longvah, T. (2012) Antioxidant and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from the roots of Sanguisorba officinalis. Int. J. Biol. Macromol. 51: 1057-1062.
Park, M. K., Park, J. H., Kim, J. M., Kim, W. Y. and Oh, J. Y. (1993) Study on the process of Sanguisorbae Radix. Anal. Sci. Technol. 6: 391-394.
Kang, T. L. and Park, M. K. (1994) Study on the process of Sanguisorbae Radix -Tomentosolic acid isolated from roasted Sanguisorbae Radix-. Yakhak Hoeji. 38: 712-714.
Kang, T. L. Hwang, G. S., Kim, J. M., Oh, J. Y., Park, J. H. and Park, M. K. (1994) Study on the process of Sanguisorbae Radix -Increased contents of pomolic acid and acetylpomolic acid by the process-. Yakhak Hoeji. 38: 782-785.
Seo, C. S., Kim, J. H., Shin, H. K., Hwang, S. Y. and Kim, B. S. (2014) Quantitative analysis of anthraquinones in Cassiae Semen by processing method. Kor. J. Pharmacogn. 45: 200-208.
Seo, C. S., Kim, J. H., Shin, H. K. and Kim, B. S. (2015)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the six marker compounds in Eucommiae Cortex by processing method. Kor. J. Pharmacogn. 46: 123-132.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약전분과회 (2008) 제9개정 대한약전 해설서 I, 103-105. 신일북스, 서울.
Oh, J. H., Sin, J. S., Ahn, E. S., Lee, S. J., Lee, J., Lim, J., Hong, S., Hong, J. and Lee, Y. J. (2009) A literature survey of the modern techniques used for the processing of herbal medicines. J. Kor. Pharm. Sci. 39: 275-297.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11-42호. 2011.
식품의약품안전처. (2009)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09-13호.
Ha, T. T., Cho, S. O., Ban, J. Y., Kim, J. Y., Ju, H. S., Koh, S. B., Song, K. S. and Seong, Y. H. (2008) Neuroprotective effect of Sanguisorbae Radix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brain damage: in vitro and in vivo. Biol. Pharm. Bull. 31: 2028-2035.
Mimaki, Y., Fukushima, M., Yokosuka, A., Sashida, Y., Furuya, S. and Sakagami, H. (2001) Triterpene glycosides form the roots of Sanguisorba officinalis. Phytochemistry. 57: 773-779.
Chen, Y. and Liu H. (2008) Determination of hyperoside in Sanguisorba officinalis by RP-HPLC. Lishizhen Med. Materia Med. Res. 19: 455-456.
Sha, M., Cao, A., Wang, B., Liu, C., Geng, J. and Liu, W. (1998) Determination of hyperin in Sanguisorba officinalis L.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e. Pu. 16: 226-228.
Zhang, M., Zhu, S., Yan, Z., Fu, T. and Duan, M. (2009) HPLC determination of gallic acid and ellagic acid in Sanguisorba officinalis L. Modern Sci. Instrum. 5: 69-70.
Chen, X., Li, J., Li, Y. and Yi, L. (2011) Study on quality standard of Radix Sanguisorbae, Radix Sanguisorbae tablets and charcoal Radix Sanguisorbae. China Med. Herald. 8: 64-67.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