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협동학습 및 또래교수 프로그램이 수학학습부진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and Peer Tutoring Program on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 A Meta-Analysis 원문보기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5 no.1, 2015년, pp.113 - 137  

이형주 (아주대학교 대학원) ,  고호경 (아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학학습부진학생 대상 협동학습 및 또래교수 프로그램이 초 중 고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주는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협동학습 및 또래교수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한 선행연구 31편을 선정하여 각 논문에서 제시한 결과를 메타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수학학습부진학생을 위한 협동학습 및 또래교수 프로그램은 인지적 영역에서 모두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특히 초등학교 급에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고, 두 프로그램 중 또래교수의 효과크기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의적 영역에서도 두 프로그램 모두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보였고, 또래교수가 협동학습 보다는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또한 학교급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는 초등, 중등, 고등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정의적 영역을 세부 범주로 나타냈을 때에는 수학적 자기효능감, 수학학습태도, 수학학습흥미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수학학습부진학생 지도와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y conducting a meta-analysis.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31 research papers that had analyzed the effects of applying, and perf...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TAD 협동학습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는가? STAD 협동학습은 미국 Johns Hopkins 대학에서 개발된 STL(Student Team Learning)프로그램 중 가장 단순하면서도 학습 성취에 적절하도록 구성된 형태이다(Slavin, 1989). 예를 들어, 교사는 수업에서 능력이 각각 다른 학생들 4명으로 팀을 구성하고, 그 속에서 학생들은 과제를 수행하게 되는데, 학생들은 서로 가르치기도 하고, 아이디어를 내기도 하고, 배우기도 하는 방식으로, 학생들은 문제 해결과 토론을 거쳐 답안을 구성한다. 이때, 학생들은 단순히 답안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디어를 설명하고 또 다른 풀이방법을 제안하기도 한다. 끝으로 학생들은 개인별 퀴즈를 받아 풀고, 교사는 팀 점수와 이 퀴즈의 점수를 합산하여 평가하는 방식이다(Slavin, 1989). 이는 학생들이 공통의 목표를 향해 함께 학습할 때, 동료 학생들에 의해 성취해낼 수 있고 자신이 속한 소그룹의 구성원으로서 성공적인 학업 수행을 경험해 보는 것으로 자신감을 얻거나 학습에 대한 동기를 얻게 되어 긍정적인 학습태도를 형성 할 수 있다(Slavin, 1989).
학습부진아란 무엇인가? 수학학습부진학생의 개념은 보통 학습 부진의 정의에서 기인하여 수학교과학습 관련 요소로 특수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학습부진아의 정의를, 지능은 보통이나 다른 어떤 요인에 의하여 학습가능성만큼 학습을 성취하지 못하고 있는 학생의 의미로 많이 활용하고 있고, 대부분의 연구에서 학습부진아를 정상적인 학교 학습을 할수 있는 잠재능력이 있으면서도 선수 학습 요소의 결손 등의 이유로 인하여 설정된 교육목표에 비추어 볼 때 최저 수준 정도의 성취수준에 도달하였거나 도달하지 못한 학습자라는 맥락에서 정의를 내리고 있다(예, 김수동, 2009; 박귀자·민천식, 2008; 장준형ㆍ이재, 2008; 김현진·박재황, 2014). 이와 마찬가지로 수학교과에서의 수학학습부진학생 역시 지능적인 문제가 아닌 수학 학습 관련 제반 문제로 인한 학습 부진을 일컫는 것이 대부분이다.
협동학습의 형태를 세분화시켜 발전시킨 연구들의 예는 어떤것이 있는가? 이와 같이 협동학습을 수학 학습에 적용한 몇몇 선행 연구들은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한 바 있다. 이러한 협동학습의 형태를 세분화시켜 발전시킨 연구들도 있는데, TAI 협동학습(Team-Assisted Individualization)과 STAD 협동학습(Student Teams Achievement Division) 등이 그 예이다. STAD 협동학습은 미국 Johns Hopkins 대학에서 개발된 STL(Student Team Learning)프로그램 중 가장 단순하면서도 학습 성취에 적절하도록 구성된 형태이다(Slavin, 19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6)

  1. 강종복(2005).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수학과 학습부진아 지도방안. 서강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현숙(2009). 중학교 3학년 수학 학습부진아의 학습부진 원인 연구. 단국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경은(2009). STAD 협동 학습이 수학부진아들의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중학교 3학년 수업 중심으로. 제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구채선(2006).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학과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동락(2010). 상호적 또래교수가 수학학습부진아의 연산능력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성철(2001). STAD협동학습이 수학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전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선영(2008). 동료멘토링을 이용한 수학학습부진아 지도방안 연구. 아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수동(2009). 수행평가를 통한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수준 평가 전략 탐구. 홀리스틱교육 연구, 13(2), 41-60. 

  9. 김순희.한승국(2003). 중학교 수학과 학습부진아의 효과적인 지도에 관한 연구: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자체학습 효과에 대해. 교과교육연구, 24(1), 27-62. 

  10. 김애경(2002). 또래지도 전략이 수학학습부진아의 사칙연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강남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영길(2007). 또래교수가 수학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판수.조지영(2004). 수학 학습 부진아의 인식 및 학습 실태 연구. 논문집, 6, 67-90. 

  13. 김현진.박재황(2014). 현실요법을 적용한 교과학습부진아용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증진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6), 301-319 

  14. 김홍찬.이정은(2010). 수학학습 부진아 지도방안으로써의 수학일지 쓰기.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13(4), 525-547. 

  15. 길은정(2011). TAI협동학습이 수학학습부진아의 수학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노정순(2008). 문헌정보학분야에서 메타분석 연구에 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1), 45-61. 

  17. 박귀자.민천식(2008).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논총, 23(2), 335-361. 

  18. 박일수(2002). 팀 보조 개별학습이 수학 학습부진아동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인천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배금희(2008). STAD협동학습이 초등학생의 연산능력과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성익(1997). 교수-학습 방법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21. 박현정(2002). 구조화 협동학습전략이 학습부진아동의 수학 학업성취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박현화(2007). 중학교 특별보충과정에서 상호적인 또래교수가 수학적 성취도와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성열욱.신경순(2001). 소집단 학습을 통한 수학과 학습부진아 지도방안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4(2), 125-134. 

  24. 송경미(2009). 중학교 특별보충과정에서 또래교수가 수학적 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송윤희(2004). LT 협동학습 모형이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송춘섭(2002). 소집단 협동학습이 학습부진아동의 수학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강남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신진희(2003). 또래교수가 수학 학습부진아의 수학 성취도와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인천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양경화.강옥려(2013). STAD협동학습을 적용한 수학학습이 초등학교 수학학습부진아의 연산능력과 수학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 24(3), 153-170. 

  29. 양기경(2006). 학습부진아의 성격에 따른 협동학습과 마인드맵 활용 수업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양낙진(1990). 협동학습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여현숙(1992). 학업우수아와 부진아간의 Tutor ing 학습이 학업성취와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오성삼(2002).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건국대학교 출판부. 

  33. 오양교(1993). 동료사사학습과 개인학습이 학업성취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유근미(2010). 또래교사 역할 경험이 수학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유근미.김수연(2010). 수학 학습부진아의 또래 교사 역할 경험이 분수연산능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 9(2), 31-49. 

  36. 유재은(2001).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학학습 부진아의 학력신장에 미치는 효과분석. 원광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경매(2007). 시지각 자료를 활용한 소집단 협동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 학습부진아동의 수학교과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경애(2013). 팀 보조개별(TAI) 협동학습이 학습부진아의 수와 연산 능력 및 수학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이규명(2000). 상호적인 또래교수가 수학 장애학생의 수학 성취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0. 이대식.김수연.이은주.허승준(2006). 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통합학급에서의 효과적인 교육방법. 서울: 학지사. 

  41. 이은주(2007).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학적 동기유발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 중학교 3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이종호(2013). 온라인 학습에서 실재감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3. 이현아(2002). 협동학습을 통한 수학학습부진아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장영희(2012). 멘토링 교수학습방법이 학습부진아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인제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장준형.이재(2008). ICT 학습부진아를 위한 교수-학습 시스템의설계 및 구현.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2(4), 427-436. 

  46. 정문성(1996). 사회과 협동 학습에서의 논쟁 교수 모형. 교육논총, 13. 

  47. 정미진.권성룡(2011). 또래교수가 또래교사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교수학. 13(1), 127-153. 

  48. 정보경(2006). 상호적인 또래지도가 수준별 하반 학생들의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교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정연실(2009). 또래교수를 통한 자기교시훈련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사칙연산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정인숙.전성숙.황선경.김동희.하주영(2011).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파주: 수문사. 

  51. 정현석(2012). 동료지도학습이 수학 학습부진아에게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정희원(2002).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수학학습 부진아 지도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조영미(2006). 수학 기초학력 부진아 지도를 위한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 방안 탐색 : 초3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 기초 수학 결과 분석. 학교수학, 8(1), 69-88. 

  54. 조승래(2003). 동료학생과의 협력을 통한 수학학습부진아의 지도에 관하여. 건국대학교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차요섭(2012). 학습부진 학생의 수업 참여를 도모하기 위한 협력학습: 모둠 수업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최금주(2005). 협동학습이 학습부진아의 자아개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최정현.김상룡(2011). 이전 학년의 교과서를 활용한 수학 학습 부진아 지도에 관한 사례 연구. 初等數學敎育, 14(1), 81-95. 

  58. 한민영(2008). STAD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 하종화(1993). 학습능력에 다른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한선애(2006). 선수 학습 결손으로 인한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 방안. 고려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 한은영(2008). STAD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학 교수방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2. 한정의(2005). 릴레이식 또래교수가 수학학습부진아의 연산능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홍성분(2001). 협동학습에서 수준별 학습자료 적용이 수학부진아의 학습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Ankem, K. (2006). Factors influencing information needs among cancer patients: a meta-analysi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8(1), 7-23. 

  65. Bolich, B. L. (2001). Peer tutoring and social behaviors: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16(2), 16-30. 

  66. Bor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P. T., Rothstein H. R. (2009).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John Wiley & Sons: WILEY. 

  67.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8. Glass, G. V. (1976). Primary, secondary, and meta-analysis of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er, 5, 3-8. 

  69. Hedges, L. (1981). Distribution theory for Glass's estimator of effect size and related estimators. Journal of Educational Statistics, 6, 107-128. 

  70. Harrison, G. V. (1969). The effects of trained and untrained student tutors on the criterion performance of disadvantaged first graders.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71. Jacqueline, C., Vijayan, P., & Julia H. (2011).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정인숙.전성숙.황선경.김동희.하주영 역). 파주: 수문사. (영어 원작은 2008년 출판) 

  72. Johnson, D. W.& Johnson. R. T.(1986). Main streaming an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Exceptional Children, 52(6), 553-61. 

  73. Johnson, D. W., & Johnson, R. T. (1983). Effect of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experiences on social development. Exceptional Children, 49, 323-329. 

  74. Ke, F., Grabowski, B. (2007). Game playing for maths learning: Cooperative or not?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8(2), 249-259. 

  75. Koufogiannakis, D., & Natasha, W. (2006). Effective methods for teaching information literacy skills to undergraduate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vidence based library and information practice, 1(3), 3-43. 

  76. Labbo, L. D., & Teale, W. R. (1990) Cross-age reading: A strategy for helping poor readers. Reading Teacher, 43(6), 362-369. 

  77. Lee, G. H., & Xia, W. (2006). Organizational size and IT innovation adoption: a meta-analysis. Information and Management, 43(8), 975-985. 

  78. Oortwijn, M. B., Boekaerts, M., Vedder, P. (2008). The effect of stimulating immigrant and national pupils' helping behaviour during cooperative learning in classrooms on their maths-related talk. Educational studies, 34(4), 333-342. 

  79. Pelones, M. T., Revuelta, S. (2007). Computer-Aided Cooperative Learning Approach In Math: Its Effect On The Academic Performance And Change In Math Perception Of Fourth Year Students.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Annual, 18(6), 3306-3312. 

  80. Penelope, B. (2004) Student Mentoring and Peer Tutoring. MSOR Connections, 4(1), 12-16. 

  81. Pierce, M. M., & Stahlbrand, K., Armstrong, S. B. (1983). Parter Learning in educational setting: Taking acue from the kid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no. ED 240-782. 

  82. Robinson, D. R., Schofield, J. W., & Steers-Wentzell1, K. L. (2005). Peer and Cross-Age Tutoring in Math: Outcomes and Their Design Implication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7(4), 327-362. 

  83. Slavin, R. E. (1981). Synthesis of Research on Cooperative Learning. Educational Leadership, 39, 654-658. 

  84. Slavin, R. E. (1989). Cooperative learning & Cooperative school. Educational Leadership, 45, 7-13. 

  85. Topping, K. (1987). Peer tutored paired reading: Outcome data from the projects. Educational Psychology, 7(2), 33-45. 

  86. Trapani, C. (1988). Peer Tutoring: Integrating academic and social skills remediation in the classroom.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97-53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