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호또래교수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in high school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2 no.3, 2013년, pp.423 - 442  

최계현 (풍무고등학교) ,  한혜숙 (단국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in high school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mathematic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11 first graders in one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and the study lasted for 1 year in regular m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일상적인 수학수업이 진행되는 수학교실에서의 또래교수의 적용이나 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일상적인 수학수업이 진행되는 수학교실에서 또래교수활동을 적용해 보고,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즉 본 연구에서는 또래교수자와 또래학습자가 서로의 역할을 교대로 함으로써 또래교수자와 또래학습자의 학업적 이익이 모두 실현될 수 있도록 고안된(Fantuzzo, King, & Heller, 1992; Griffin & Griffin, 1995; Griffin & Griffin, 1997) 상호또래교수(reciprocal peer tutoring) 활동을 연구대상자 집단 특성에 적합한 형태로 적용한 후 상호또래교수 활동이 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즉 본 연구에서는 또래교수자와 또래학습자가 서로의 역할을 교대로 함으로써 또래교수자와 또래학습자의 학업적 이익이 모두 실현될 수 있도록 고안된(Fantuzzo, King, & Heller, 1992; Griffin & Griffin, 1995; Griffin & Griffin, 1997) 상호또래교수(reciprocal peer tutoring) 활동을 연구대상자 집단 특성에 적합한 형태로 적용한 후 상호또래교수 활동이 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상호또래교수활동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학업성취에 따라 상, 중, 하 집단별로 구분하여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상호또래교수 활동이 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정의적 특성 사전, 사후 설문검사에 대한 t-검정 결과에 의하면, 유의수준 0.
  • 상호또래교수 활동의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서 또래교수자(또래교사) 측면 및 또래학습자 측면에서 상호또래교수 활동에 대한 경험과 보완점 및 개선점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정규수업시간에 상호또래교수 활동을 적용할 시에 교사는 중, 하위권 학생들도 또래교수자의 역할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학생들을 적극적으로 격려할 필요가 있으며, 중 · 하위권 학생들이 성공적으로 또래교수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철저한 사전교육과 지원을 제공하기를 제안한다.
  • 즉 본 연구에서는 또래교수자와 또래학습자가 서로의 역할을 교대로 함으로써 또래교수자와 또래학습자의 학업적 이익이 모두 실현될 수 있도록 고안된(Fantuzzo, King, & Heller, 1992; Griffin & Griffin, 1995; Griffin & Griffin, 1997) 상호또래교수(reciprocal peer tutoring) 활동을 연구대상자 집단 특성에 적합한 형태로 적용한 후 상호또래교수 활동이 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2) 상호또래교수 활동으로 인한 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은 수준별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신감 요소에 대한 상,중,하 집단의 사전,사후검사의 평균 비교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자신감 요소의 경우는 [그림 3]과 같이 사전, 사후검사의 평균 차이는 상 집단, 하 집단, 중 집단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이는 상호또래교수 활동이 자신감 향상에 있어서는 상 집단의 학생들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하였고, 중 집단보다는 하 집단의 학생들에게 더 효과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배움중심수업이란? 최근 들어 교육현장에서는 배움중심수업에 대한 변화가 일고 있다. 배움중심수업이란, 학습자의 자발성과 자기주도성을 기초로 하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의미하며, 수업의 장에서 교사와 학생 모두의 배움이 일어나는 수업을 의미한다. 이는 지식을 고정되거나 완성된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발전되어 가는 과정으로 보는 것이다.
수학의 학문적 특징으로 인해 어떤 문제점이 야기되는가? 수학교과는 상급 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추상적·고차원적 사고를 요하는 교과내용의 특성과 수학이라는 학문 자체가 가지고 있는 특징, 즉 계통성과 위계성으로 인해 타 교과에 비해 학습결손에 대한 누적현상이 심하고, 이러한 누적된 학습결손 현상은 학생들 간의 심한 개인차와 학력격차를 야기한다. 학습결손은 이후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학습의욕을 잃게 하고 수학에 대한 부정적 정서를 가지게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경기도교육청 (2012). 2012년 경기도 교육과정. 경기도교육청, 고시 제 2012-36호.(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2012). 2012 Gyeonggi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2-36 of the GPOE.) 

  2. 교육과학기술부 (2008).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II) - 수학, 과학, 기술.가정 -. 광주: 한솔사.(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8). Commentary Middle School Curriculum(III) - Math, Science, Technology & Home Economics -. Gwangju: Hansolsa.) 

  3. 김경희, 김수진, 김남희, 박선용, 김지영, 박효희, 정송 (2008).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TIMSS 2007 결과보고서-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8-3-3. (Kim, K., Kim, S., Kim, N., Park, S., Park, H., & Jung, S. (2008). Findings from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for Korea: TIMSS 2007 international report in Korea. RRE 2008-3-3, KICE.) 

  4. 김성국 (2001). 토의식 수업을 적용한 수준별 소집단 협력학습이 학력신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4(1), 91-101. (Kim, S. K. (2001). The Influence of Debate Studies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in Ability Group to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Learn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4(1), 91-101.) 

  5. 김수진, 김현경, 박지현, 진의남, 안윤경, 서지희, 이명진, 김지영 (2012).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연구-TIMSS 2011 결과보고서-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2-4-3. (Kim, S., Kim, H. K., Park, J. H, Jin, E. N., Ahn, Y. K., Seo, J. H., & Lee, M. J. (2012). Findings from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for Korea: TIMSS 2011 international report in Korea. RRE 2012-4-3, KICE.) 

  6. 문희철 (2008).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원대학교. (Moon, H. C. (2008). Analysis of Student's Responses about the Factors of Affective Domain of School Mathematics. Master's thesis, Seowon University.) 

  7. 박선화, 김명화, 주미경 (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향상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10-9. (Park, S. H., Kim, M. H., & Ju, M. K. (2010). A Study on Affective Characteristics Toward Mathematics. RRI 2010-9, KICE.) 

  8. 박윤주 (2010). 수학에 대한 도구적 동기 유발이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Park, Y. J. (2010). The Effect of Instrumental Motivation in Mathematics on Affective Domain.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9. 박 정 (2007).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변화와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수학교육 46(1), 19-31. (Park, C. (2007). The Trend in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ive variables toward Mathematics and Its effect on their Mathematics achievements. The Mathematical Education 46(1), 19-31.) 

  10. 박현화 (2007). 중학교 특별보충과정에서 상호적인 또래 교수가 수학적 성취도와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Park, H.H. (2007). The Effect of Reciprocal Peer Tutoring to Mathematical Achievementand Self-efficacy in the Under achieverClass of the Middle School.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1. 손 영, 김성일 (2005). 또래교수 집단 구성방식이 학업성취도와 교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19(3), 595-613. (Sohn, Y. & Kim, S. (2005). The Effect of Grouping Format of Peer Tutoring on Achievement and Interes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9(3), 595-613.) 

  12. 신진희 (2003). 또래교수가 수학학습부진아의 수학성취도와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인천교육대학교. (Sin, J. H. (2003). The Effect of Peer Teaching on the Math Achievement and Sociability of Mathematically Retarded Children. Master's thesis, GINUE.) 

  13. 여현숙 (1992). 학업 우수아와 부진아 간의 Tutoring 학습이 학업성취 및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Yuh, H. S. (1992). Effects of Tutoring Learning between Upper and Under-Achivement Elementary Student on Cognitive Learning and Affective Achivement. Master's thesis, KNUE.) 

  14. 오양교 (1992). 동료교수학습과 개인학습이 학업성취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Oh, Y. K. (1992). The Effects of Peer-Tutoring and Independent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s Self-Concepts. Master's thesis, KNUE.) 

  15. 유근미, 김수연 (2010). 수학학습부진아의 또래교사 역할 경험이 분수연산능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 9(2), 31-49. (Yoo, G. & Kim, S. (2010). Effects of Peer Tutoring on Fractional Computation and Self-Esteem of Math Underachievers. Special Education Research 9(2), 31-49.) 

  16. 이규명, 박은혜 (2000). 상호적인 또래교수가 수학장애 학생의 수학 성취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정평가연구 3(1), 113-128. (Lee, G. M. & Park, E. H. (2000). The Effect of reciprocal Peer tutoring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Concept in Mathematic Disabled Children.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3(1), 113-128.) 

  17. 이미경, 곽영순, 민경석, 채선희, 최성연, 최미숙, 나귀수(2004). PISA 2003 결과 분석 연구-수학적 소양, 읽기,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 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2-1. (Lee, M. K., Kwak, Y. S., Min, K. S., Chae, S. H., Choi, S. Y., Choi, M. S., & Na, G. S. (2004). The results from PISA 2003. RRE 2004-2-1, KICE.) 

  18. 이미경, 손원숙, 노언경 (2007). PISA 2006 결과 분석 연구-과학적 소양, 읽기 소양, 수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 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7-1. (Lee, M. K., S, W., & No, U., K. (2007). The results from PISA 2006. RRE 2007-1, KICE.) 

  19. 이은주 (2003). 또래교수 관련 논문 분석을 통한 통합교육현장에서의 또래교수의 효과적 활용방안 탐색. 특수아동교육 5(2), 63-80. (Lee, E. J. (2003). Literature Review on the Effectiveness of Peer-Related Teaching in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s.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5(2), 63-80.) 

  20. 이종희, 김수진 (2010). PISA 2003 결과에서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학교수학 12(2), 219-237. (Lee, C. H. & Kim, S. (2010). Analysis of Affective Factors on Mathematics Lear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ISA 2003. School Mathematics 12(2), 219-237.) 

  21. 이주연 (2005). 수준별 문제학습지를 활용한 소집단 협동 학습이 학업 성취도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Lee, J. Y. (2005). The Effects of Small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Teaching Materials Depending on Lovelorn Scholastic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22. 이지수 (2004). 또래교수를 부가한 자기교시훈련이 학습 부진아의 수학성취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Lee, J. S. (2004). The Effects of Self-instruction Training Combined with Peer Tutoring on Math Achievement and Self-respect of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Master's thesis, GINUE.) 

  23. 정미진, 권성룡 (2011). 또래교수가 또래교사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교수학 13(1), 127-153. (Jung, M. J. & Kwon, S. Y. (2011).(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Peer Tutoring on Mathematical Inclination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of Peer Tutors. School Mathematics 13(1), 127-153.) 

  24. 정보경 (2006). 상호적인 또래지도가 수준별 하반 학생들의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Jeong, B. K. (2006). The Effects of Reciprocal Peer Tutoring on Mathematical Achievement in Low-Level Student of 10th Grade of the General High School. Master's thesis, KNUE.) 

  25. 한정의 (2006). 릴레이식 또래교수가 수학학습부진아의 연산 능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Han, J. E. (2006).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in Relays on Operation Ability and Attitude of Underachieres in Mathematics.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26. 한혜숙, 최계현 (2011). 중등 수학 교사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과 수업 실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4), 491-518. (Han, H. & Choi, K. (2011).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Recognition of the Affective Domain and Analysis of Condition in Mathematics Teaching.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4(4), 491-518.) 

  27. 현복선 (2008). 상호적인 또래교수가 수학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Hyun, B. S. (2008). The Effects on Reciprocal Peer Tutoring on the Math Achievement and Self-Esteem of Slow Learners.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28. Allen, V. L. (1976). Children as Teachers: Theory and Research on Tutoring. New York: Academic Press. 

  29. Bargh, J. A., & Schul, Y. (1980). On the cognitive benefits of teaching.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72, 593-604. 

  30. Beirne-Smith, M. (1991). Peer tutoring in arithmetic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lilities. Exceptional Children 57, 330-337. 

  31. Bierman, K. L. & Furman, W. (1981). Effects of role and assignment rationale on attitude formed during peer tutor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Fall, 73, 33-40. 

  32. Bloom, B. S. (1984). The search for methods of group instruction as one-to-one tutoring. Educational Leadership 41(8), 4-17. 

  33. Bolich, B. J. (2001). Peer tutoring and social behaviors: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16(2), 16-30. 

  34. Brady, N. C. (1997). The teaching game: A reciprocal peer tutoring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Education and Treatment of Children 20(2), 123-149. 

  35. Byrd, D. E. (1990). Peer tutoring with the learning disabled: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4(2), 115-118. 

  36. Calhoon, M. B. & Fuchs, L. S. (2003). The effects of peer-assisted learning strategies and curriculum-based measurement on the mathematics performance of second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24, 235-245. 

  37. Cheng, Y. C. & Ku, H. Y. (2009).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reciprocal peer tutor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5(1), 40-49. 

  38. Cook, S. B., Scruggs, T. E., Mastropieri, M. A., & Castro, G. C. (1985). Handicapped students as tutor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483-492. 

  39. Delquadri, J., Greenwood, C. R., Whorton, D., Carta, J. J., & Hall, R. V. (1986). ClassWide Peer Tutoring. Exceptional Children 52, 535-542. 

  40. Eggen, P. & Kauchak, D. (2001). Educational psychology: Windows on classrooms. New Jersey : Prentice Hall Inc. 

  41. Fantuzzo, J. W., Polite, K., & Grayson, N. (1990). An evaluation of reciprocal peer tutoring across elementary school setting.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8, 309-324. 

  42. Fantuzzo, J. W., King, J. A., & Heller, L. R. (1992). Effects of reciprocal peer tutoring on mathematics and school adjustment: A Component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3), 331-339. 

  43. Franca, V. M., Kerr, M. M., Reitz, A. L., & Lambert, D. (1990). Peer tutoring among behaviorally disordered students: Academic and social benefits to tutor and tutee. Education and Treatment of Children 13, 109-128. 

  44. Foot, H. C., Shute, R. H., Morgan M. J., & Barron, A. M. (1990). Theoretical issues in peer tutoring. In H. C. Morgan, M. J. Shute, & R. H. Shute (Eds.), Children Helping Children. (pp. 65-92). New York: John Wiley & Sons. 

  45. Gagnon, A. W. & Conoley, J. C. (1997). Academic and curriculum interventions with aggressive youth. In A. P. Goldstein, & J. C. Conoley, School violence intervention: A Practical Handbook. New York: The Guilford Press. 

  46. Gartner, A., & Riessman, F. (1993). Peer-Tutoring: Toward a New Model.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62 506. 

  47. Gaustad, J. (1993). Peer and cross-age tutoring.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18, 367-379. 

  48. Goodlad, S. & Hirst, B. (1989). Peer tutoring: A Guide to Learning by Teaching. New York: Nichols Publishing. 

  49. Greenwood, C. R., Dinwiddie, G., Terry, B., Wade, L., Stanley, S. O., Thibadeau, S., & Delquadri, J. C. (1984). Teacher-versus peer-mediated instruction : An ecobehavioral analysis of achievement outcomes.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17(4), 521-538. 

  50. Griffin, M. M. & Griffin, B. W. (1995).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reciprocal peer tutoring on achivement,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83 756. 

  51. Griffin, B. W. & Griffin, M. M. (1997). The effects of reciprocal peer tutoring on graduate student achivement, test anxiety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65(3), 197-209. 

  52. Harrison, G. V. (1976). Structured tutoring: Antidote for low achievement. In V. L. Allen(Ed.), Children as Teachers: Theory and Research on Tutoring(pp. 169-177). New York: Academic Press. 

  53. Houston-Wilson, C., Lieberman, L. J., Horton, M., & Kasser, S. (1997). Peer tutoring: A plan for instructing students of all abilities.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 Dance 68(6), 39-44. 

  54. Johnson, D. W. & Johnson, R. T. (1989). Cooperative learning in mathematics education. In P. R. Trafton & A. P. Shulte (Eds), New directions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1989 Yearbook (pp.234-245). Reston, VA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55. Lane, K. S. (1997). An analysis of effects of peer tutoring on spelling in a second grade classroom.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11 502. 

  56. Lazerson, D. B. (1980). I must be good if I can teach!: Peer tutoring with aggressive and withdrawn children.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13(3), 43-48. 

  57. Luca, J., & Clarkson, B. (2002). Promoting generic learning skills through peer tutoring-A Case Study. In P. Barker & S. Rebelsky (Eds.), Ed-Media 2002: World Conference on Educational Multimedia, Hypermedia & Telecommunications (Vol. 2, pp. 1176-1181). Denver, Colorado: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mputing in Education. 

  58. Mercer, C. D. & Mercer, A. R. (1998). Teaching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5th ed.). Columbus, Ohio: Merrill. 

  59. MacNair, R. M. (2000). Predictions on Possible Social Impact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Cognitive Dissonance as Structural Stressors. [On-line book]. Available at http://www.fnsa.org/apaw. 

  60. Mastropieri, M. A., Scruggs, T., Norland, J. J., Berkeley, S., McDuffie, K., Tornquist, E. H., et al. (2006). Differentiated curriculum enhancement in inclusive middle school science: Effects on classroom and high-stakes tes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40, 130-137. 

  61.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62. Ormrod, J. E. (1999). Human Learning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63. Scruggs, T. E. & Osguthorpe, R. T.(1986). Tutoring interventions with special education settings: A comparison of cross-age and peer tutoring. Psychology in the Schools 23, 187-193. 

  64. Slavin, R. E. (1990). Cooperative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65. Utley, C. A., Mortweet, S. L., & Greenwood, C. R. (1997). Peer-mediated instruction and interventions. Focus on Exceptional Children 25(9), 1-23. 

  66. U. S. Department of Education. (2001). Evidence That Tutoring Work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64 343. 

  67. Webb, N. M. (1982). Peer interaction and learning in cooperative small group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4, 642-655. 

  68. Webb, N. M. (1987). Peer interaction and learning with computer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 193-209. 

  69. Wagner, L. (1990). Soci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on peer teaching in education. In H. C. Foot, M. J. Morgan, & R. H. Shute (Eds.), Children Helping Children (pp. 21-42). New York: John Wiley & Sons. 

  70. Warger, C. L. (1991). Peer tutoring: When working together is better than working alone. Research & Resources on Special Education 30,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45 4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