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시 환자안전관리 실천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Practi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in Clinical Practicum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1 no.2, 2015년, pp.184 - 192  

최승혜 (수원대학교 간호학과) ,  이해영 (호서대학교 간호학과.기초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assess nursing students' practi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PSM), identify factors affecting PSM and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to strengthen students' competencies for patient safety. Methods: In this descriptive research the practice of PS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중요성 인식, 지식, 실천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관리 실천에 영향을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간호대학생들의 환자안전관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인식, 지식, 실천에 대한 내용을 학부 교과과정과 임상실습에서 체계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임상실습에 참여하는 간호대학생들의 환자안전관리 실천 정도를 평가하고, 환자안전관리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미래의 간호사로 환자안전을 책임질 간호대학생들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중요성 인식 및 실천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하는 간호학과 3, 4학년 학생들의 환자안전관리 실천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들의 환자안전관리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자가평가방식이지만 간호대학생들의 환자안전관리 실천 정도를 직접 평가하고, 환자안전관리 실천 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여러 대학 학생의 자료를 분석하여 특정 학교 특성에 의한 편중은 배제할 수있었으나, 각 학교의 교과과정이나 실습일정, 실습병원의 수준 등 학생들의 환자안전관리 실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들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으므로 추후 이 점을보완한 연구가 필요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실습을 경험하는 간호대학생들의 환자안전관리 실천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들의 환자안전관리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실천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간호사로서 환자안전을 직접 책임지는 역할을 하게 될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실천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관리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의학원은 '인간은 실수하기 마련이다: 더 안전한 의료시스템 구축을 위하여'라는 보고서를 통해서 무엇을 이야기 하였는가? 그러나 의료기술의 눈부신 발전 이면에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예측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위험들이 내포되어 있다는 증거가 도처에서 발견되어 경각심을 주고 있다. 미국의학원(Institute of Medicine, IOM)은 ‘인간은 실수하기 마련이다: 더 안전한 의료시스템 구축을 위하여(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라는 보고서를 통해[1] 의료과실 문제의 심각성을 대두시켰고, 의료의 질 개선을 위해 환자안전을 강조하였다. 미국의 사례를 시작으로 호주, 영국, 캐나다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환자안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고, 환자안전은 의료계 전체가 주목하고 준수해야 할 최소한의 원칙으로 급부상하게 되었다[2].
The Joint Commission는 어떤 항목을 강조하여 국제의료기관평가에 적용하고 있는가? 실제로 The Joint Commission (TJC)에서는 국가적, 국제적 차원의 환자안전 목표를 제시하여 의료기관이 이를 잘 준수하는지 심사하고 있으며, 환자확인, 낙상예방 등 환자안전관련 항목들을 강조하여 이를 국제의료기관평가에 적용하고있다[3].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 관리에 대한 관심은 국내에서도 급부상하여 2004년부터 시행된 의료기관평가 항목에 환자안전 관련 항목이 포함되면서 관심이 모아졌다.
환자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간호사의 지식과 태도,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수적인 이유는? 병원에서의 환자안전관리 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환자안전관리에 관한 규제나 지침 또는 구조적 시스템과 같은 기술적측면뿐 만 아니라 의료인들의 근본적인 인식 변화를 꾀하고 이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간호사는 병원 내 의료인력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환자를 가장 가까이에서 접하기 때문에 환자안전 문제를 가장 민감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환자의 안전을 지키는 최 일선에 위치한다[3]. 따라서 환자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간호사의 지식과 태도,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환자를 안전하게 간호하고 의료오류로 인한 위험을 줄이는데 필수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hn LT, Corrigan J, Donaldson MS. To erro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0. 

  2. Lee JH. Patient safety and healthcare standard.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54(5):444-446. http://dx.doi.org/10.5124/jkma.2011.54.5.444 

  3. The Joint Commission. 2015 national patient safety goals [Internet]. 2015. [cited 2015 February 20]. Available from: http://www.jointcommission.org/standards_information/npsgs.aspx 

  4.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Survey process guide for hospital accreditation (version 2.0).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4. 

  5. Cho SS, Gang MH.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of entry-leve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1):24-34. http://dx.doi.org/10.5807/kjohn.2013.22.1.24 

  6. Cronenwett L, Sherwood G, Barnsteiner J, Disch J, Johnson J, Mitchell P, et al.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Nursing Outlook 2007;55(3):122-131. http://dx.doi.org/10.1016/j.outlook.2007.02.006 

  7. Kim MS, Kim YH.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atient safety reporting promoting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13(1): 284-295. http://dx.doi.org/10.5762/KAIS.2012.13.1.284 

  8. Kim IS, Park MJ, Park MY, Yoo HN, Choi JH.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racti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mong hospital employees in Korea. Asian Nursing Research. 2013;7(1):26-32. http://dx.doi.org/10.1016/j.anr.2013.01.001 

  9. Chenot TM, Daniel LG. Frameworks for patient safety in the nursing curriculum.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0; 49(10):559-568. http://dx.doi.org/10.3928/01484834-20100730-02 

  10. Currie LM, Desjardins KS, Levine ES, Stone PW, Schnall R, Li J, et al. Web-based hazard and near-miss reporting as part of a patient safety curriculum.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9;48(12):669-677. http://dx.doi.org/10.3928/01484834-20091113-03 

  11. Flin R, Patey R, Jackson J, Mearns K, Dissanayaka U. Year 1 medical undergraduates'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 medical error. Medical Education. 2009;43(12):1147-1155. http://dx.doi.org/10.1111/j.1365-2923.2009.03499.x 

  12. Madigosky WS, Headrick LA, Nelson K, Cox KR, Anderson T. Changingand sustaining medical student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bout patient safety and medical fallibility. Academic Medicine. 2006;81(1):94-101. 

  13. National Patient Safety Foundation. Patient safety dictionary N-Z [Internet]. [cited 2015 February 20]. Available from: https://npsf.site-ym.com/?pagedictionarynz 

  14. Kim MR. Concept analysis of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1):1-8. http://dx.doi.org/10.4040/jkan.2011.41.1.1 

  15. Park MJ, Kim IS, Ham YI. Development of a perception of importa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scale (PI-PSM) for hospital employe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3;13(5):332-341.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5.332 

  16. Park JH. Knowledge, attitude, and confidence on skill of nursing students toward patient safety [master's thesis]. Daegu: Keimyung University; 2011. 

  17. Yoo HN, Lee HY. The initial application of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scale (PSM-A) for nursing students: Brief on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4;16(6B):3423-3436. 

  18. Yeun YR. The impact of healthcare accreditation on patient safety and qualit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bout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4):1820-1829. 

  19. Kim HY, Lee ES. Effects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3;19(1):46-54. 

  20. Tai JW, Mok ES, Ching PT, Seto WH, Pittet D. Nurses and physicians'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impact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and hand hygiene: A multi-center exploratory study in Hong Kong. Infection. 2009;37(4):320-333. http://dx.doi.org/10.1007/s15010-009-8245-x 

  21. Park JH, Park MH. Knowledge, attitude, and confidence on patient safety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4;20(1):5-14.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1.5 

  22. Barnsteiner JH, Disch JM, Hall L, Mayer D, Moore SM. Promoting interprofessional education. Nursing Outlook. 2007;55 (3):144-150. http://dx.doi.org/10.1016/j.outlook.2007.03.003 

  23. Roh HR, Seol HJ, Kang SS, Suh IB, Ryu SM. Using medical error cases for patient safety education.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008;20(3):265-271. http://dx.doi.org/10.3946/kjme.2008.20.3.265 

  24. Askarian M, Memish ZA, Khan AA. Knowledge, practice, and attitude among Iranian nurses, midwives, and students regarding standard isolation precautions.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007;28(2):241-244. http://dx.doi.org/10.1086/510868 

  25. Chung SK. A structural model of safety climate and safety compliance of hospital organization employee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10. 

  26. Abbott AA, Fuji KT, Galt KA, Paschal KA. How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value an interprofessional patient safety cours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SRN Nursing 2012;2012:401358. http://dx.doi.org/10.5402/2012/401358 

  27. Kim JS, Kim JS. Importance awareness and compliance on patient safety for nurses working in operating room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1; 12(12):5748-5758. http://dx.doi.org/10.5762/KAIS.2011.12.12.5748 

  28. Johnstone MJ, Kanitsaki O. Clinical risk management and patient safety education for nurses: a critique. Nurse Education Today. 2007;27(3):185-191. http://dx.doi.org/10.1016/j.nedt.2006.04.011 

  29. Gregory DM, Guse LW, Dick DD, Russell CK. Patient safety: where is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7;46(2):79-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