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 감정노동이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linical Nurses' Work Environment and Emotional Labor on Happiness Index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1 no.2, 2015년, pp.212 - 222  

주은주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  권영채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  남문희 (대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orrelations in hospital nurses' work environment, emotional labor and happiness index to provide basic resources for nurses' happiness at work. Methods: Resources were gathered from 291 nurses who agreed to participate. Random sampling of nurses in ni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과 업무환경, 감정노동을 파악하여 병원간호사의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간호사의 행복한 삶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임상간호사의 행복지수를 OECD Better Life Index를 이용한 행복지수 정도는 평균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2년 OECD의 발표에 따르면 한국인의 행복지수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웰빙”이 주요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으며, 행복한 삶에 대한 관심이 더해지고 있다. 2012년 OECD의 발표에 따르면 한국인의 행복지수는 OECD의 36개국 중 27위를 차지하였고, 학력수준, 학업성취도 등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지만 고용, 노동시간, 환경 등에서는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1]. 개인의 경험에서 이루어지는 삶의 만족과 그에 대한 긍정적 정서반응인 행복감(Happiness)은 삶이 현재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서적이고 인지적인 평가로써 포괄적 개념인 심리적 안녕감으로 자주 표현된다[2].
최근 웰빙이 주요한 관심사로 떠오른 이유는?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웰빙”이 주요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으며, 행복한 삶에 대한 관심이 더해지고 있다. 2012년 OECD의 발표에 따르면 한국인의 행복지수는 OECD의 36개국 중 27위를 차지하였고, 학력수준, 학업성취도 등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지만 고용, 노동시간, 환경 등에서는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1].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발생하게 되는 병원에서의 감정표현에 대한 명시적이고 암묵적인 규범을 요구하는 이유는? 간호사는 다양한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접촉과 실천을 전제로 환자에게 간호를 제공함과 동시에 여러 직종 간에 조정역할을 하며[3], 업무를 수행하는 동안 대상자에게 신뢰를 주고, 안정감을 갖도록 함으로써 빈번한 감정적 교류를 해야 하는 전문직종이다. 대상자에게 우호적인 정서표현은 기업의 이미지로 연결되어[4]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병원관리자들은 구성원들의 감정표현에 일정 기준을 마련하고 명시적이고 암묵적인 규범을 요구하고 있다[5]. 즉, 간호사들은 자신의 감정을 조정하여 고객과의 대면 접촉 시 조직이 규범하고 있는 감정표현을 해야 하는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는데[6], 이를 간호사의 감정노동이라고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ee NC. A study on the structure of quality of life in OECD member countri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2; 32(2):5-40. 

  2.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1984; 95(3):542-575. 

  3. Kim IS.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 out, turn 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4(4):515-526. 

  4. Shin HS.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 12(7):415-424. http://dx.doi.org/10.5392/JKCA.2012.12.07.415 

  5. Joung MS, Kim KJ.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nurse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06;11(4):1-18. 

  6. Kim BS, Kim MH, Lee IS, Jeong MG. The impact of hotel foodservice employee's emotional labor on level of service deliver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uperviso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s. The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2010;13(5):319-340. 

  7. Kim HO. A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of emergency room nurses [master's thesis]. Daejeon: Eulji University, Korea; 2013. 

  8. Sung MH, Kim HJ, Han YM. A study of health statu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on day shift and nurses on night shift. Journal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7; 13(1):32-39 

  9. Kang KN.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155-165.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2.155 

  10. Kutney-Lee A, McHugh MD, Sloane DM, Cimiotti JP, Flynn L, Neff DF, et al. Nursing: A key to patient satisfaction. Health Affairs (Project Hope). 2009;28(4):w669-677. http://dx.doi.org/10.1377/hlthaff.28.4.w669 

  11. Geounuppakul M, Tounprommarat A, Prinpijarn A. Factor influencing happiness in personnel working at Boromarajonani College Nursing Bangkok Thailand [Internet]. 2009 [cited 2012 September 22]. Available from: http://www.statssa.gov.za/isi2009/ScientificProgramme/IPMS/0602.pdf 

  12. Boonyarak K. Factors predicting to work happiness of professional nurses [Internet]. 2012 [cited 2012 September 22]. Available from: http://www.stti.iupui.edu/pp07/convention11/Boonyarak_Kongkwan.pdf 

  13. Van Bogaert P, Clarke S, Vermeyen K, Meulemans H, Van de Heyning P. Practice environment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nurse-reported outcomes in Belgian hospital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Dutch adaptation of the revised nursing work index.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9;46 (1):55-64.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8.07.009 

  14. Nam MH, Kwon YC. Factors influencing happiness index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3):329-339.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3.329 

  15. Westerman JW, Simmons BL. The effects of work environment on the personality-performance relationship: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Managerial Issues. 2007;19(2):288-305. 

  16. Lake ET.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2; 25(3):176-188. http://dx.doi.org/10.1002/nur.10032 

  17. Hochschild AR. Emotion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979;85(3):551-575. http://dx.doi.org/10.1086/227049 

  18. Morris JA, Feldman DC.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96;21(4):986-1010. http://dx.doi.org/10.2307/259161 

  19. Song YJ.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hardship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of nurses [master's thesis].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1. 

  20. OECD. OECD Better Index: create your better life index [Internet]. [cited 2012 December 2]. Available from: http://www.oecdbetterlifeindex.org 

  21. Er KS, Hur HK, Kim KK, Cho YJ, Kim EH, Kim SJ.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and intents to leave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4;9(2):81-92. 

  22. Jang GS, Lee MH, Kim IS, Hong YM, Ha NS, Gong BH, et al. Ethics & profession of nursing. Revised ed. Seoul: Hyunmunsa; 2009. 

  23. Chu HK. The level of happiness index and determining factors [dissertation]. Gimhae: Inje University; 2005. 

  24. Kim JK, Kim MJ, Kim SY, Yu M, Lee KA. Effects of general hospital nurses' work environment on job embeddedness and burnou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1):69-81.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1.69 

  25. An MS. The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rate of nurses at medium-sized hospital (mainly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urnover intention and practice environment or job satisfaction) [master's thesis]. Incheon: Gachon University; 2012. 

  26. Kim SH, Lee MA.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3):332-341.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332 

  27. Lee KJ, Lee E.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labor, empowerment,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1;20(2): 130-142. http://dx.doi.org/10.5807/kjohn.2011.20.2.130 

  28. Cha SK, Shin YS, Kim KY, Lee BY, Ahn SY, Jang HS, et al. The degrees of emotional labor and the its related factors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2):23-35. 

  29. Sung KW. Comparison between nursing home nurses and hospital nurses for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2;14(1):40-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