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대산국립공원 삼림식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of Odaesan National Park, Kore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8 no.1, 2015년, pp.61 - 67  

김창환 (전북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오장근 (국립공원관리공단) ,  이남숙 (전북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최영은 (전북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송명준 (전북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결과 식생조사용 DB 구축 결과와 식생조사 결과를 반영한 식생도 구축 결과는 활엽수림이 71.965%, 71.184%로 거의 같았으며, 침엽수림(16.010%, 15.747%), 혼효림(10.619%, 12.085%), 암벽식생(0.015%, 0.002%) 분포비율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식생조사 결과가 반영된 정밀식생도 중 식생 상관대분류에서 나타난 식생유형은 산지낙엽활엽수림이 전체의 60.096%를 차지하고 있어 가장 넓은 분포역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산지침엽수림 (16.332%), 산지습성림 (15.887%), 식재림 (3.558%) 순으로 분포비율이 높았다. 국립공원내에서 평가된 식생보전등급은 I등급과 II등급 지역이 각각 61.80%, 33.55%로써 전체 면적의 95.35%로써 생태자연도 1등급 지역에 속하는 높은 식생보전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극상림, 특이식생, 아고산대식생 등 I등급 지역의 분포비율이 높은 것은 다양한 기질특성, 높은 고도, 낮은 인위적 교란의 정도, 산의 정상부 능선지역에 형성된 아고산대식생과 기후적 지형적 특성을 반영한 식생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from Apr. 2013 to Jan. 2014, was carried out as part of a project of making a more detailed ecological zoning map with 1/5,000 scale. The necessity of electronic vegetation map with large scale has arisen in order to make the best use of basic research findings on 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항공사진 등에 의한 조사용 식생도 제작은 상관적으로 균질한 식분만을 구분하기 때문에 현지 식생정보가 단순하다. 따라서 본 조사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 식생도의 질적 향상과 다양한 식생정보의 분석을 위하여 현지조사 이전에 보다 많은 정보를 입력한 식생조사도면을 이용하여 덕유산 삼림식생의 상관대분류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진행하고 있는 1 : 5,000 축척의 생태자연도 정밀화 사업의 일환으로 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 기본조사 자료의 활용성을 높이고 국립공원 의사결정 도구로써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고축척 식생전자지도의 필요성에 의하여 추진된 결과의 일부이다. 정밀식생도 제작은 국립공원 경계 1 : 5,000 정밀임상도, 특별보호구역지도, 수치지도, 항공영상의 원시자료를 연구 목적에 맞게 가공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 이러한 이유는 현존식생에 대한 식생도가 1 : 25,000의 소축적 지형도에 주로 의존하여 조사가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식물군락의 경계가 불확실하여 식생도에 대한 신뢰성이 높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식생조사용 식생도를 제작하지 않고 임상도, 항공사진 등을 참고하여 조사가 이뤄져왔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계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해상도 영상자료 등 많은 자료를 참고하여 식생조사용 식생도면을 제작한 후 오대산내에 분포하는 식생의 상관식생도면 및 식생 보전가치평가도면을 작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대산국립공원의 삼림식생 중 산지삼림식생은 무엇으로 세분되었는가? 오대산국립공원의 삼림식생은 입지의 지형적 특성에 따라 산지삼림식생과 평지삼림식생으로 대별되었다. 산지삼림식생으로는 산지낙엽확엽수림, 산지습성림, 산지 침엽수림, 아고산침엽수림, 아고산활엽수림, 산지관목림, 암벽식생, 식재림으로 세분되었으며, 평지삼림식생은 하반림이 조사되었다. 또한 이들 삼림식생은 전국자연환경 조사 및 정밀현존식생도 작성기준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1)의 식생상관 대분류로 변환하여 분석한 결과 오대 산국립공원에 분포하고 있는 상관대분류 유형은 10개 유형으로 구분되어졌다(Fig.
오대산의 고봉에는 무엇이 있는가? 오대산은 태백산맥의 지맥인 설악산맥에서 갈라진 곳으로서 동대산 (해발고도 1,434 m), 두로봉 (해발고도 1,422 m), 상왕봉 (해발고도 1,493 m), 노인봉 (해발고도 1,338 m), 비로봉(해발고도 1,563 m), 호령봉(해발고도 1,531 m), 황병산(해발고도 1,407 m) 등의 고봉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특히 공원면적의 55%가 해발 900 m 이상인 고산지역이며 경사 20º 이상이 전체 면적의 70%에 달하는 험준한 산악공원이다(Kim et al.
오대산국립공원 지역은 어떤 수림대에 속해 있는가? 오대산국립공원 지역은 기후인자와 식생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냉온대 낙엽활엽수림대에 속하며(Lim, 1989)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난티나무, 거제수나무, 까치박달 등이 주요 군집을 이루고 있으며 해발 700 m 이상의 고지대 능선부 및 계곡부에 전나무, 잣나무, 분비나무, 주목 등 침엽수종이 분포하고 있다(Lee et al., 1996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raun-Blang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tunde, Wien, 865p. 

  2. Choi, S.H., J.O. Kwon and S.H. Min. 1996. Plant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in Noinbong area of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9(2): 156-165. 

  3. Kim, C.M., C.S. Kim and B.K. Park. 1987. Vegetation Servey Method (Phytosocialogical Study). Ilshin Publish Companion. pp. 170. 

  4. Kim, C.M., J.W. Lee and T.H. Kwon. 1995. Terrain Analysis of Odaesan National Park using Digital Elevation Model.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9(2): 70-76. 

  5. Kim, G.T., G.C. Choo and T.W. Um. 1996a.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Dongdaesan, Turobong, Sangwa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9(2): 147-155. 

  6. Kim, G.T., G.C. Choo and T.W. Um. 1996b.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Sangwonsa, Pirobong, Horyo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10(1): 151-159. 

  7. Lee, K.J., W. Cho and B.H. Han. 1996a.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9(2): 115-125. 

  8. Lee, K.J., W. Cho., S.H. Hwang and K.B. Yim. 1996b. Plant Community Structure by the Slope and Altitude of Tongdaesan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9(2): 133-146. 

  9. Lee, K.J., J.S. Kim, J.W. Choi and B.H. Han. 2008. Vegetation Structure of Abies holophylla Forest near Woljeong Temple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2): 173-183. 

  10. Lim, K.B. 1989. Principles of silviculture. Publisher Hyangmoon. 491p. 

  11. Mining and Materials. 1961. Korea Institue of Geology, Geological Map of Korea. 

  12.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6.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guidelines.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Survey methods and classification criteria of Natural environment. 

  14.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1. Workshop source book of detail actual vegetation mapping in 2011. 

  15. Nam, S.Y., S.I. Yoo., W.G. Park and S.S. Han. 2000. Ecological Research of Abies holophylla Forest at Wol-jong Temple (Mt. odae Kangwon-do). The Institute of Forest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6: 69-81. 

  16. Oh, K.K. and T.H. Kwon. 1996. Edge Vegetation Structure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9(2): 202-2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