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대산 국립공원 계방산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Community Distribution on Mountain Forest Vegetation of the Gyebangsan Area in the Odaesan National Park, Kore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7 no.3, 2014년, pp.135 - 145  

김창환 (전북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오장근 (국립공원관리공단) ,  강은옥 (전북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유칠선 (전북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임진근 (전북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대산 국립공원 계방산(해발고도 1,577 m) 일대의 산지삼림식생은 산지낙엽활엽수림, 산지습성림, 산지침엽수림, 아고산침엽수림, 아고산활엽수림, 식재림으로 세분되었으며, 기타식생으로 다래군락, 농경지 등이 조사되었다. 상관대분류에 의하여 구분된 각각의 산지삼림식생을 구성하고 있는 분포군락수는 산지낙엽활엽수림은 33개 군락, 산지습성림 41개 군락, 산지침엽수림 8개 군락, 아고산침엽수림 4개 군락, 아고산활엽수림 2개 군락, 식재림 6개 군락, 기타식생 4개 군락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주요 군락의 분포 비율을 보면 산지낙엽활엽수림은 신갈나무군락$30,909,942.967m^2$의 80.220%로 가장 높은 분포 비율로 조사되었고, 굴참나무군락이 $1,067,479.335m^2$의 2.770%를 차지하고 있으며, 계방산 일대 산지낙엽활엽수림의 65.755%는 신갈나무가 우점 또는 차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다. 산지습성림은 물푸레나무-가래나무군락이 전체의 10.955%를 차지하고 있으며, 물푸레나무와 상층부의 식피율이 비슷하여 혼생군락을 이루고 있는 군락은 10개 군락으로 전체의 32.776%를 차지하고 있다. 산지침엽수림은 소나무와 이와 혼생하는 군락이 전체의 100%로서 산지침염수림은 소나무가 상층부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나는 군락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기타식생에서 아고산침엽수림은 전나무-신갈나무군락 등 총 4개 군락이 조사되었으며 오대산 국립공원 전체 식생면적의 4.980%를 차지하고 있다. 아고산 활엽수립은 사스래나무-층층나무군락 등 총 2개 군락이 조사되었으며 오대산 국립공원 전체 식생면적의 0.006%를 차지하고 있다. 식재림은 일본잎갈나무가 식재림 전체의 51.652%로 가장 많이 식재되었으며, 자작나무가 38.975%, 잣나무가 7.969%로 3개 수종이 전체의 98.565%로 대부분이 이들 3종에 의하여 식재되어졌다. 결론적으로 오대산 국립공원 계방산 일대의 산림식생은 신갈나무가 최상층부의 우점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종들과 관련된 수많은 군락들은 식생천이 및 기후적 요인들에 의하여 군락 대체가 매우 빠르게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지역 일대 잠재 자연 식생의 주요종은 산지낙엽활엽수림은 신갈나무, 산지습성림은 가래나무, 들메나무, 산지낙엽활엽수림은 신갈나무, 산지습성림은 물푸레나무, 가래나무, 들메나무, 산지낙엽활엽수림과 산지습성림의 경계부 중 습도가 높은 계곡부는 층층나무, 들메나무, 사면부는 신갈나무로 대체가 빠르게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고산의 침염수림은 기후온난화, 인위적 교란 등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낙엽 활엽수의 분포비율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ountain forest vegetation of Gyebangsan (1,577 m) in Odaesan National Park is classified into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mountain valley forest, coniferous forest, subalpine coniferous forest, subalpine deciduous forest, plantation forest, and other vegetation which includes Actinidia arg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오대산 국립공원의 계방산 일대 현존 삼림식생에 대한 정밀조사를 실시하여 식생천이 등을 분석함으로써, 계방산 일대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계방산의 위치는 어디인가? 계방산(37º42′15′′N~127º30′00′′E)은 지리적으로 우리나라 동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과 홍천군 내면의 경계에 있다. 계방산 북쪽에는 설악산(해발고도 1,708 m), 남쪽으로는 태백산(해발고도 1,657 m)을 이어주는 태백산맥의 중간지점에 위치하고 소계방산(해발고도 1,490 m), 오대산(해발고도 1,563 m), 황벽산(해발고도 1,407 m), 백적산(해발고도 1,141 m), 태기산(해발고도 1,261 m), 방태산(해발고도 1,444 m) 등 1,000 m 이상의 준봉들이 연결되어 있다(Hwang et al.
계방산 지역의 식생 분포 특징은 무엇인가? 계방산(해발고도 1,577 m)지역의 식생은 산지낙엽활엽수림대가 발달하여 계곡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사면 저지대 및 계곡에는 물푸레나무, 들메나무, 층층나무 등이 주로 분포한다. 계방산을 포함한 오대산 국립공원은 중부아구의 식물구계와 냉온대 중부의 식물군계의 특징을 보이고 있어 한반도 중부지역의 전형적인 식물군락의 분포와 종조성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Lee et al.
계방산 일대 삼림식생에 분포하는 군락에는 무엇이 있는가? Table 1의 상관대분류별로 볼 때 활엽수림은 산지낙엽활엽수림과 아고산활엽수림으로 대별되는데 산지낙엽활엽수림은 분포면적 1% 이상 군락이 6개로 조사되었으며, 대부분 신갈나무군락이 우점하고 있다. 또한 신갈나무- 물푸레나무군락, 신갈나무-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소나무군락 등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고산활엽수림은 분포면적이 1% 미만의 군락이 2개 조사되었으며, 사스래나무와 이와 혼생하는 군락이 분포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tunde, Wien, pp. 865. 

  2. Choi, S., W.K. Lee., Y. Son, S. Yoo and J.H. Lim. 2010.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South Korean forest vegetation simulated using thermal gradient indices. Science China 53(7): 784-797 

  3. Hongcheon County. 2008. http://www.hongcheon.go.kr/. 

  4. Hwang, H.S., J.C. Yang, Y.M. Lee, S.H. Oh, S.J. Ji, S.Y. Jeong and H.J. Lee. 2013. Floristic Study of Mt. Gyebang Pyeongchang-gun, Gangwon-do in Korea. The Korea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Welfare. 2013(4): 438-441. 

  5. Kim, J.H., Y.H. Kim and C.Y. Yoon. 2010. Vascular plants of the Hongcheon-gun area in Gangwon provinc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4): 363-394. 

  6.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3. The actual vegetation map in the Odaesan National park. 125p. 

  7. Lee, C.B. 1971. The Vegetation of Odaesan and Sogeumgang. Korea Nature Conservation Research. Preliminary Research Report on sogeunmgang and Odaesan. pp. 99-115. 

  8. Lee, K.J., W. Cho., B.H. Han. 1996.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9(2): 115-125. 

  9. Lee, S. 2000a. A study on characteristic of forest vegetation and site in Mt. Odae (I) - Site of plant community in Tondgaesan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9: 173-184. 

  10. Lee, S. 2000b. A study on characteristic of forest vegetation and site in Mt. Odae (II) - Site of plant community in Tondgaesan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9: 552-563. 

  11. Lee, U.C., Y.S. Kim, Y.B. Lee and Y.G. Park. 1998. The flora of the north-western slope on Odaesan National Park. Korea Nature Conservation Research Report 38: 13-45. 

  12. Lim, J.H. 2009. Moving species due to climate change and biodiversity chang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3.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6.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guidelines.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4.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Survey methods and classification criteria of National Environment. 

  15.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Workshop source book of detail actual vegetation mapping in 2012. 

  16. Prak, B.K. and J.Y. Oh. 1971. The Vegetation of Odaesan. Korea Nature Conservation Research. Preliminary Research Report on sogeunmgang and Odaesan. pp. 131-138. 

  17. Yun, C.W., S.H. Lee, H.J. Kim, H.S. Sin, H.G. Park, M.S. Yu and C.H. Lee. 2010.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Physiognomy Type in Mt. Odea. Korean Forest Society. pp. 174-1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