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백(黃柏)이 비만 유발 mouse의 대사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rtex Phellodendri on the Metabolic Function in Experimental Mouse Model of Obesity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6 no.4, 2015년, pp.447 - 457  

마영훈 (동신한방병원 한방내과) ,  김효재 (동신한방병원 한방내과) ,  한양희 (동신한방병원 한방내과) ,  김한옥 (동서한방병원 한방내과) ,  오재선 (동신대학교 부속 목포한방병원 한방내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how Cortex Phellodendri affects metabolic functional change in an experimental rat model of obesity.Methods: An obesity model was induced in a C57BL/6 mouse with a high-fat diet.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6) of normal diet, high-fat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실험에서는 비만형 동물 모델에 황백 추출물을 투여하여 체중, 혈당, 혈청 인슐린 농도, 인슐린 저항성, 지방조직 및 간의 무게, macrophage 발현 및 cytokine 등의 변화를 측정 관찰한 결과 대사 기능의 변화에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또한 최근 지질 대사와 관련된 김 등8과 당 대사와 관련된 김 등9, 그리고 염증 관련 cytokine의 수치 및 면역세포의 변화와 관한 김 등18의 연구는 있었으나, 전반적인 대사기능의 변화에 있어 황백과 대사성 질환 치료에 대한 연관성은 보고된 바가 없었다. 이에 저자는 비만이 유발된 동물 모델에 있어 황백이 염증 반응을 포함한 대사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Visser M, Bouter LM, McQuillan GM, Wener MH, Harris TB. Elevated C-reactive protein levels in overweight and obese adults. JAMA 1999;282(22):2131-5. 

  2. Wellen KE, Hotamisligil GS. Inflammation, stress, and diabetes. J Clin Invest 2005;115(5):1111-9. 

  3. 강지혜, 유리나. 비만성 염증/대사질환 제어를 위한 기능성 식품성분의 활용 가능성. 대한비만학회지 2012;21(3):132-9. 

  4. 박철영, 유형준. 염증과 비만. 대한내분비학회지 2004;19(2):97-108. 

  5. 양유걸. 黃帝內經靈樞解釋. 서울: 성보사; 1980, p. 304, 416. 

  6. 편집부 저. 완역중약대사전. 서울: 도서출판 정담; 2006, p. 5052-5. 

  7. 박철원, 김갑성. Lipopoly saccharide 유발 토끼관절염에서 黃柏藥鍼이 관절염증의 억제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98;15(1):229-48. 

  8. 김경희, 안순철, 이명선, 권오송, 오원근, 김민수, 등. 황백(Phellodendri Cortex)으로부터 분리된 지방세포 분화 저해물질. 한국식품과학회지 2003;35(3):503-9. 

  9. 김소희, 신은정, 현창기. 3T3-L1 지방세포에서 황백 추출물의 Glucose Uptake 촉진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 활성. 생약학회지 2005;36(4):291-8. 

  10. 김대영, 이수진, 안의수, 강현식. 유산소 운동이 아디포넥틴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비만관련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운동영양학회지 2008;12(3):169-76. 

  11. Weisberg SP, McCann D, Desai M, Rosenbaum M, Leibel RL, Ferrante AW Jr. Obesity is associated with macrophage accumulation in adipose tissue. JCI 2003;112(12):1796-808. 

  12. 구승회. 대사질환-비만과 대사증후군 및 당뇨병에 관한 최신 연구를 중심으로 한 고찰. 생화학분자생물학뉴스 2010;30(4):29-36. 

  13. 한의과대학 본초학 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 영림사; 2000, p. 223-4. 

  14. 윤석희, 김형준 외 옮김. 동의보감. 경상남도 하동군: 동의보감 출판사; 2005, p. 1457, 2218. 

  15. 이문조, 박진우, 김동수, 김준기, 최달영, 김철호. 황백 열수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관한 연구. 대한동의병리학회지 1999;13(1):112-8. 

  16. 이종구, 최지영, 오준석, 정희욱, 최은향, 이희상, 등. 황백(黃柏)으로부터 멜라닌 생합성 억제 물질의 분리. 생약학회지 2007;38(4):477-83. 

  17. 곽동주. 황백(Phellodendri Cortex) 추출물이 구강균 Streptococcus mutans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위생과학회지 2004;10(2):99-107. 

  18. 김재영, 이현. 황백약침이 콜라겐 유도 관절염생쥐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07;24(2):163-84. 

  19. DCW Lau. Diabetes and weight management. PCD 2010;4(1):24-30. 

  20. Bonora E, Targher G, Alberiche M, Bonadonna RC, Saggiani F, Zenere MB, et al.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closely mirrors the glucose clamp technique in the assessment of insulin sensitivity. Diabetes Care 2000;23(1):57-63. 

  21. 김정한. 당뇨병의 진단과 경구 당부하검사. 한국당뇨협회지 2005;5(1):34-6. 

  22. Park EJ, Lee JH, Yu GY, He G, Ali SR, Holzer RG, et al. Dietary and genetic obesity promote liver inflammation and tumorigenesis by enhancing IL-6 and TNF expression. Cell 2010;140(2):197-208. 

  23. Oliver E, McGillicuddy F, Phillips C, Toomey S, Roche HM. The role of inflammation and macrophage accumulation in the development of obesity-induced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the possible therapeutic effects of long-chain n-3 PUFA. PNS 2010;69(2):232-43. 

  24. Hotamisligil GS, Spiegelman BM. Tumor necrosis factor α: a key component of the obesity-diabetes link. Diabetes 1994;43(1):1271-8. 

  25. Mallat Z, Heymes C, Ohan J, Faggin E, Lesèche G, Tedgui A. Expression of interleukin-10 in advanced human atherosclerotic plaques: relation to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and cell death. ATVB 1999;19(1):61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