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에서 초음파로 측정한 위 배출능과 비기허증(脾氣虛證)간의 상관성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astric Emptying Measured by Ultrasonography and Spleen Qi Deficiency Pattern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6 no.4, 2015년, pp.527 - 546  

백승환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소화기내과) ,  김진성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소화기내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gastric emptying measured by ultrasonography and Korean medical instruments of diagnosis and assessment in functional dyspepsia (FD) patients. Among the subgroups of FD, postprandial distress syndrome (PDS) is related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리하여 본 연구를 통해서 초음파 검사를 통해 측정한 위 배출능과 한방 진단 평가도구 사이의 상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두 아형 중에서는 PDS 아형이 위장 운동의 장애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를 선택하였다.
  • 현실적으로 한의학적 지식이나 방법에 기초하여 초음파 검사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관련성 높은 특정 변증유형과의 상관성을 밝혀서 한의학 진단의 한 방법으로 활용 가능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비침습적인 초음파 검사를 이용하여 위배출능을 평가하고, 한방적인 진단평가도구와의 관련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사용한 진단평가도구에는 비기허증 진단평가도구 설문지, 한국판 Nepean 소화불량증 설문지, 식적 설문지, 담음 설문지, 한열 설문지, 허실 설문지가 있다.
  • 그리하여 본 연구를 통해서 초음파 검사를 통해 측정한 위 배출능과 한방 진단 평가도구 사이의 상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두 아형 중에서는 PDS 아형이 위장 운동의 장애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를 선택하였다.
  •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한 항목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실제로 위 배출능의 감소와 한방 변증 지표 사이에 상관성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연구 대상자 전원의 위 배출능과 SQDQ, NDI-K, 식적, 담음, 한열, 허실 및 비만의 VAS 점수 간의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ahadeva S, Goh KL. Epidemiology of functional dyspepsia: A global perspective. World J Gastroenterol 2006;12(17):2661-6. 

  2. Choi MG, Rhee PL, Park HJ, Lee OY, Lee KJ, Choi SC, et al.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Comparing the Safety and Efficacy of DA-9701 and Itopride Hydrochloride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J Neurogastroenteol Motil 2015;21(3):414-22. 

  3. Suzuki H, Nishizawa T, Hibi T. Therapeutic strategies for functional dyspepsia and the introduction of the Rome III classification. J Gastroenterol 2006;41(6):513-23. 

  4. Vakil N, Halling K, Ohlsson L, Wernersson B. Symptom overlap between postprandial distress and epigastric pain syndromes of the Rome III dyspepsia classification. Am J Gastroenterol 2013;108(5):767-74. 

  5. Carbone F, Holvoet L, Tack J. Rome III functional dyspepsia subdivision in PDS and EPS: recognizing postprandial symptoms reduces overlap. Neurogastroenterol Motil 2015;27(8):1069-74. 

  6. Kugler T. The Usefulness of Water-drinking Ultrasonography Combined Test for Evaluating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Korean J Gastroenterol 2015;66(2):92-7. 

  7. 윤민기, 황경훈, 최원식, 이병일, 이재성. 위배출 신티그래피에서 수학적 모델을 이용한 지연영상 시간의 단축. 핵의학 분자영상 2005;39(4):257-62. 

  8. 이홍우, 박효진, 이상인, 박인서, 강병철, 김기황. 기능성 소화불량증환자에서의 초음파를 이용한 위배출. 대한소화기학회지 1998;31(1):1-8. 

  9. 홍성표. 삼차원 초음파 기계를 이용한 위배출검사. 대한소화기학회지 2004;44(2):103-6. 

  10. 김도영, 정혜경, 이유현, 정성애, 문일환, 백진영. 건강 성인에서 삼차원 초음파검사를 이용한 위배출시간 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소화기학회지 2004;44(2):71-6. 

  11. Kusunoki H, Haruma K, Hata J, Ishii M, Kamada T, Yamashita N, et al. Efficacy of Rikkunshito, a traditional Japanese medicine (Kampo), in treating functional dyspepsia. Intern Med 2010;49(20):2195-202. 

  12. Park YJ, Lim JS, Park YB. Development of a valid and reliable food retention questionnaire. Eur J Integr Med 2013;5(5):432-7. 

  13. 박재성, 양동훈, 김민용, 이상철, 박영재. 痰飮辨證 說問 開發.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6;10(1):64-77. 

  14. Perlas A, Mitsakakis N, Liu L, Cino M, Haldipur N, Davis L, et al. Validation of a Mathematical Model for Ultrasound Assessment of Gastric Volume by Gastroscopic Examination. Anesth Analg 2013;116(2):357-63. 

  15. Van de Putte P, Perlas A. Ultrasound assessment of gastric content and volume. Br J Anaesth 2014;113(1):12-22. 

  16. 오혜원, 이지원, 김제신, 송은영, 신승원, 한가진, 등. 脾氣虛證 진단평가도구 개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14;35(1):157-70. 

  17. 오혜원, 이지원, 김제신, 이준희. 비기허증(脾氣虛證) 환자의 식사 전후 주관적 식욕과 Gut Hormone 혈중 농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15;27(1):125-37. 

  18. Talley NJ, Haque M, Wyeth JW, Stace NH, Tytgat GN, Stanghellini V, et al. Development of a new dyspepsia impact scale: the Nepean Dyspepsia Index. Aliment Pharmacol Ther 1999;13(2):225-35. 

  19. Talley NJ, Verlinden M, Jones M. Validity of a new quality of life scale for functional dyspepsia: a United States multicenter trial of the Nepean Dyspepsia Index. Am J Gastroenterol 1999;94(9):2390-7. 

  20. Lee SY, Choi SC, Cho YK, Choi MG. Validation of the Nepean Dyspepsia Index-Korean version. Kor J Neruogastroenterol Motil 2003;9(suppl):48. 

  21. 임준성, 박영배, 박영재, 이상철, 오환섭. 病因論的 分析에 의한 平胃散辨證設問紙의 信賴度 妥當度 硏究.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7;11(2):59-67. 

  22. 김진호. 八綱辨證에 대한 비교 연구 - 張介賓·程國彭·江涵暾을 중심으로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3;26(2):47-59. 

  23. 최산호, 임형문, 오재건, 임진영, 강형원, 김윤식, 등. 중풍 후 우울증의 변증안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2;26(3):367-75. 

  24. Lee H, Jung HK, Huh KC. Current status of functional dyspepsia in Korea. Korean J Intern Med 2014;29(2):156-65. 

  25. Min BH, Huh KC, Jung HK, Yoon YH, Choi KD, Song KH, et al. Prevalence of Uninvestigated Dyspepsia an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in Korea: A Population-Based Study Using the Rome III Criteria. Dig Dis Sci 2014;59(11):2721-9. 

  26. Ma T, Zeng F, Li Y, Wang CM, Tian X, Yu S, et al. Which subtype of functional dyspepsia patients responses better to acupuncture? A retrospective analysi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Forsch Komplementmed 2015;22(2):94-100. 

  27. Shindo T, Futagami S, Hiratsuka T, Horie A, Hamamoto T, Ueki N, et al. Comparison of gastric emptying and plasma ghrelin levels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and non-erosive reflux disease. Digestion 2009;79(2):65-72. 

  28. Fang YJ, Liou JM, Chen CC, Lee JY, Hsu YC, Chen MJ, et al. Distinct aetiopathogenesis in subgroups of functional dyspepsia according to the Rome III criteria. Gut 2015;64(10):1517-28. 

  29. Hillyard S, Cowman S, Ramasundaram R, Seed PT, O'Sullivan G. Does adding milk to tea delay gastric emptying?. Br J Anaesth 2014;112(1):66-71. 

  30. Okabe T, Terashima H, Sakamoto A. Determinants of liquid gastric emptying: comparisons between milk and isocalorically adjusted clear fluids. Br J Anaesth 2015;114(1):77-82. 

  31. 전국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편저. 비계내과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9, p. 13-9. 

  32. 한방병리학 교재편찬위원회 편저. 한방병리학. 서울: 한의문화사; 2008, p. 41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