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을 통한 학습자 역량 분석
Analysis of Learner Competencies through Digital Textbooks and Smart-Learning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19 no.2, 2015년, pp.207 - 214  

한선관 (경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김상홍 (경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도권의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자 역량의 효과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학습자 역량인 창의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협업능력,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학습의 전 영역에서 2년차 연구학교 학생들이 1년차 학생들보다 역량을 높이 평가하였다. 둘째, 도시학생들이 농산어촌 학생들의 평균이 높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도시 학생들이 농산어촌의 학생들보다 학습자역량의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급별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간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등학교와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research an analysis of learner competency with students in 16 smart education research schools. The result of analysis, 2-year students showed a highly regarded competences which are the learner competencies in all areas than 1-year students. And the urban students was higher th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미래학습자들이 갖추어야 할 21세기 학습자역량에 대해 실제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 연구결과를 보완하고 실제 학습자의 역량이 어떻게 증진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질적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질적연구의 대상은 [Table 2]와 같으며, 질적자료 수집 도구로는 수업관찰 체크리스트와 면접 질문지를 활용하였다.
  •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기초하여, 이 연구는 스마트러닝의 교육적 효과성을 탐색하기 위해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 활동이 21세기 학습자역량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즉, 스마트교육을 받으면서 학생들이 창의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협업능력,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학습, 유연성의 면에서 다양한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21세기 학습자 역량을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기초하여, 이 연구는 스마트러닝의 교육적 효과성을 탐색하기 위해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 활동이 21세기 학습자역량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즉, 스마트교육을 받으면서 학생들이 창의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협업능력,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학습, 유연성의 면에서 다양한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21세기 학습자 역량을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 1)에서 볼 수 있듯이 학습자가 성취해야 할 4개 역량과 역량을 지원하는 4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Cisco, Intel, Microsoft의 지원으로 ATC21S(http://atc21s.org)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는데, 21세기 능력을 평가하고 교육정책 수립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스마트러닝을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스마트러닝은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교육방법, 교육과정, 평가, 교사 등 교육 체제 전반의 변화를 이끌기 위한 지능형 맞춤 교수-학습 지원체제이며 최상의 통신 환경을 기반으로 인간을 중심으로 한 소셜러닝(social learning)과 맞춤형 학습(adaptive learning)을 접목한 학습 형태”라고 정의하였다[12].
스마트러닝의 주요 특성은 어떻게 대표되는가? 모바일 기기측면에서는 이동성, 즉시성, 확장성, 접근성, 휴대성을 말하여, 콘텐츠 측면에서는 흥미성, 간결성, 체계성, 상용자 편의성, 사용자 중심성을 말하며, 교육적 측면에서는 자기주도성, 개별 맞춤형, 동기유발, 맥락성, 상호작용 및 협력을 말할 수 있다. 스마트러닝의 주요 특성을 종합적으로 본다면 이동성, 맥락성, 간결성, 개별 맞춤형, 상호작용성, 자원접근의 유연성의 6가지로 대표된다[8].
스마트 학습의 운영을 통해 어떠한 효과를 기대하고있는가? 운영에 따른 효과성은 스마트러닝과 디지털 교과서를 기반으로 한 학습활동은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를 향상시키고 21세기학습자 역량인 창의성, 협업능력, 문제해결능력 등을 신장시키는 역할로 기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역량을 측정하여 어떤 교육적 효과가 나타나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ae, S. W. (1997). The effect on the Classroom's Lesson Scholarship Class Atmosphere Techn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octorl Thesis. 

  2. Heo, H. O., Leem, K. Y. Leem (2011). 21st Century learner and teacher competency modeling: 21st Century Teaching-Learning Activity Development Series for future school support1: Keris Report KR 2011-2. 

  3. Jung, K. H., Ahn, S. H. & No, J. M. (2012). Research and analysis for the formulation of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digital textbook. Keris Report RM 2012-33. 

  4. Kim, H. S., Leem, B. N., Leem, J. H., Kim, S. R., Park, I. W., Kim, H. B., & Park, S. A. (2012). 2011 Research on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eris Report CR 2012-2. 

  5. Kim, J. R., Kim, Y. S., Han, S. K., Kim, S. H. & Kye, B. K. (2014). Development of Tool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mart Education and Digital Textbooks. Journal of Information Education, 18(2), 357-370. 

  6. Kim, S. H. & Han, S. K. (2013). The Analysis of Features of Project Based Learning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Information Education, 17(3), 243-252. 

  7. Leem, B. N., Kim, M. T., Choi, S. K., Shin, S. B., Cha, N. J., Lee, S. J., Byeon, Y. W., Ryu, J. S. & Leem, Y. A. (2011). Issue information analysis for quality control guidelines smart educational content development. Keris Report. 

  8. Leem, J. H., & Kim, S. H. (2013). Effects of individual learn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nd social efficacy in smart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 Media Research, 19(1), 1-24. 

  9. Ministry of Education (2011). Action Plan Implementation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Open Strategy Report_2011. 

  10. Ministry of Education (2013). 20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Keris Report 

  11. Ministry of Education (2014). Guide of digital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port GM 2014-2. 

  12. Ro, K. H., Kim, B. J. & Lee, W. H. (2011). 2010 Research on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Keris Report C CR 20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