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Digital Textbook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19 no.3, 2015년, pp.287 - 298  

송문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정보전공) ,  김자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  김현철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학교 현장에서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현실화시킬 교재로서 디지털교과서를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디지털교과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가정, 교사, 학교 요인으로 선정하여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고, 이들 요인이 디지털교과서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충남 지역 초등학생과 학부모 각각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가정 내 인터넷 이용환경, 디바이스 보유 환경, 학습 및 정보수집 용도 인터넷 활용 유무 및 활용 시간, 교사 사용 디바이스 종류, 디지털교과서 수업 시수 및 시간 비율 등의 요인에 대해 디지털교과서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각 변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가정 요인의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이 디지털교과서 관련 만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 사용을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 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gital textbook is noted as a new education materials to realize a new education paradigm with changes in digitalized society.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investigation of key factors on digital textbook satisfaction by selecting of the three factors(domestic environment factor, teachers fact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들의 디지털교과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고려되는 변인의 특성을 가정, 교사, 학교 요인으로 구분하여 변인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학생들의 디지털교과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추출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디지털교과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추출은 향후 디지털교과서가 학교 현장에 정착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들의 디지털교과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고려되는 변인의 특성을 가정, 교사, 학교 요인으로 구분하여 변인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학생들의 디지털교과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추출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 교육부에서 제시한 디지털교과서 개념 정의는 “기존 교과 내용(서책형 교과서)에 용어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문항, 보충·심화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자료와 학습 지원 및 관리 기능이 부가되고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 등 외부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라고 기술하고 있다[21].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가 기존 서책용 교과서의 내용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습 자료를 포함할 수 있고, 변화된 학교 무선 인터넷 환경을 활용하여 동영상,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하이퍼링크 등 멀티미디어 자료를 연결하여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것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를 계속적인 사용을 이루어지도록 학생들의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 가정 및 학교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여 지속적인 자기 주도적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 좀 더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디지털교과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목적 달성을 위해, 201명의 초등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Brusilovsky 외[2]의 인터넷 기반 전자교과서 활용과 Symanzik & Vukasinovic[24]의 웹을 기반으로 한 전자교과서 수업에서 교사 및 학생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디지털교과서 만족도의 국내 연구에서도 대부분 높은 만족도를 보고하였다[11][15][20]. 이상에서 제시한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따른 학생들의 만족도 분석 연구는 대부분 성과 측정과 관련된 양적 연구에 집중되어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가능성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즉, 실제 학생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제시하는 질적인 측면은 부족함이 있었다.
  • 연구가 시작되는 시기였고, 학교현장에서도 활발한 사용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종합적인 관점에서 학생들의 디지털교과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 가정, 교사, 학교 요인을 채택하여 각 요인들이 학생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부에서 제시한 디지털교과서의 개념 정의는 무엇인가? <표 1>에서와 같이 “학습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이 포함된 다양한 교수 학습 도구”라는 개념으로 가장 많이 정의되었다. 교육부에서 제시한 디지털교과서 개념 정의는 “기존 교과 내용(서책형 교과서)에 용어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문항, 보충·심화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자료와 학습 지원 및 관리 기능이 부가되고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 등 외부자료와의 연계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라고 기술하고 있다[21].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가 기존 서책용 교과서의 내용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습 자료를 포함할 수 있고, 변화된 학교 무선 인터넷 환경을 활용하여 동영상,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하이퍼링크 등 멀티미디어 자료를 연결하여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것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학교 현장에서 디지털교과서 도입으로 무엇을 기대하는가? 첫째, 맞춤형 학습 자료의 개발 및 활용, 둘째, 개개인의 특성과 수준에 맞는 콘텐츠 제공, 셋째, 학습자들의 흥미 유발 및 동기 부여, 넷째, 장애를 가진 학생들에게 폭넓은 교육기회 제공, 다섯째,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통한 교육기회의 균등 실현 등이다. 학교 현장은 디지털교과서 도입이 학습자 특성에 맞는 교과서 개발, 2007개정 교육과정부터 시작된 교육과정 수시 개정에 대한 대응 및 시간과 비용의 절감,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욕구 충족 등을 이끌어 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4].
디지털교과서가 교육적 유용성을 인정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2015년 학교에서 사용되는 디지털교과서는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교육적 유용성을 인정받고 있다[12]. 첫째, 맞춤형 학습 자료의 개발 및 활용, 둘째, 개개인의 특성과 수준에 맞는 콘텐츠 제공, 셋째, 학습자들의 흥미 유발 및 동기 부여, 넷째, 장애를 가진 학생들에게 폭넓은 교육기회 제공, 다섯째,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통한 교육기회의 균등 실현 등이다. 학교 현장은 디지털교과서 도입이 학습자 특성에 맞는 교과서 개발, 2007개정 교육과정부터 시작된 교육과정 수시 개정에 대한 대응 및 시간과 비용의 절감,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욕구 충족 등을 이끌어 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n, M. R. (2002). Elementary School Stakeholders' understanding of ICT Integration and their roles - Case Study of teachers, students, principle, leader teacher, and parents.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8(4), 199-218. 

  2. Brusilovsky. P, Chavan, G., & Farza, R. (2004). Social adaptive navigation support for open course electronic textbooks, In: Adaptive hypermedia and adaptive web-based systems,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3137. 176-189. 

  3. Byeon, H. S., J. I. Beon, J. S. Song (200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xtbook Prototype.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 22(4), 217-240. 

  4. Byeon, H. S., J. H. Ru., Y. O. Song (2011).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and Meta-analysis on its Academic Achievement.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Method, 23(3), 635-663. 

  5. Clark, R. E. (1983). Reconsidering research on learning from media.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3(4), 445-459. 

  6. Goo, D. H. (2009). A Study of Plans to Enhance the User Satisfaction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3(3), 281-290. 

  7. Han, S. M. (2012). A Study of Prim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Digital Textbook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JeonJoo Educational University. 

  8. Jo, K. B. (2013). A Research of Smart Device use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 KERIS. 

  9. Jung, J. S., K. Y. Lim (2000). Effect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the Learner Participation,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the Web-Based Online Discussion.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16(2), 107-135. 

  10. Kang, S. H. (1998). An Approach to Designing a Digital Textbook: Its Types and Functions.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14(1), 1-22. 

  11. KERIS (2011). Research of Digital textbook effectiveness 2010. KERIS. 

  12. KERIS (2012). Research of Digital textbook effectiveness 2011. KERIS. 

  13. KERIS (2014). Development of instrument in Smart education and digital textbook' effectiveness. KERIS 

  14. Kim, J. K., & C. A. Bag (2010). The Mediation Effect of Learning Participation R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and Satisfaction affecting the Cyber Learning Environment at the Air and Correspondence High Schools.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Method, 22(2), 51-70. 

  15. Kim, K.K et al. (2009). The Effects of Ubiquitous learning Characteristics on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digital textbook: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mputer self-efficacy and digital textbooks usability.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0(2), 269-278. 

  16. Kim, J. S. (2007). An explorative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e-Learning performance and its pedagogical implicati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ducation, 15(3), 101-125. 

  17. Kim, K. S. (2013). The Effect of the Pedagogical Usability of the Digital Textbook on the Satisfaction : Analysis of the Mediation Effects in the Learning Engagement.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JoongAng University. 

  18. Kwak, B. S, S. H. Kang & S. E. Kim (1997). Research of textbook development(I). Institute of Korea textbook. 

  19. Kweon, S. H., K. H. Kang., & S. H. Bang (2008). A study of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in Cyber Home Learning System(elementary school).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12(4), 105-130. 

  20. Lee, J. Y. (2008). A study of Parent's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in Cyber Home Learning System.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9(1), 259-271. 

  21. MOE (2012). A Plan of Textbook improvement by smart education. Seoul: MOE. 

  22. Okanoto. T. (1999). The introduction and its meanings of new curriculum for information technology-education from primary to senior high school in Japan.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1), 31-49. 

  23. Ru, J. H. (2008). Ec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with Tablet PC Based Digital Textbook.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24(2), 271-297. 

  24. Symanzik, J. & Vukasinovic, N. (2006). Teaching an Introductory Statistics Course with CyberStates, an Electronic Textbook. Journal of Statistics Education, 14(1). 

  25. Weaver, R. & Qi, J. (2005). Classroom organization and participatio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76(5), 570-6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