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백두산 부석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Pumice from Mt. Baekdu Volcano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4 no.4, 2015년, pp.337 - 345  

윤성효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두산 산정부의 강하부석층의 부석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백두산 천지 칼데라 외륜산 주변의 강하부석층은 주로 흰색 부석으로 구성되지만 이들 중에는 흑색, 회색의 부석이 함께 산출된다. 흰색 부석은 주로 유문암질($SiO_2$ 71.1% 내외)이며, 흑색 부석은 조면암질($SiO_2$ 64.8% 내외), 회색 부석은 이들의 중간 성분에 해당하는 조면암질로 $SiO_2$ 68.0% 내외이다. 이들 부석을 형성한 마그마의 평균밀도는 무수 마그마의 경우 $2.45g/cm^3$, 함수 마그마의 경우 $2.33g/cm^3$로 계산되었다. 백두산 천지 칼데라 남단 와호봉(2,566 m)과 관면봉(2,526 m) 부근에서 채취한 암색을 달리하는 3 종류의 부석에 대하여 물리적 성질 중 밀도와 발포도를 측정하였다. 황색 부석은 평균 밀도가 $0.74g/cm^3$, 흑색 부석은 $0.75g/cm^3$, 회색~백색 부석은 $0.73g/cm^3$로 측정되었으며, 부석의 색깔에 무관하게 부석의 밀도는 평균 $0.75g/cm^3$로 거의 일정하였다. 부석의 발포도는 67.8~69.4%로 계산되어 높은 정도의 발포도를 가진 부석으로 분류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mices from the summit area of the Mt. Baekdu was analysed with respect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Fallout pumice deposits around the somma of the Cheonji caldera, Mt. Baekdu consist mainly of white pumices, but black pumices and gray pumices are also displayed together. White pumices are ma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백두산 천지 부근에 분포하는 부석의 밀도와 발포도에 대한 분석을 실행하였다. 폭발적인 분화의 산물인 부석의 발포도는 규장질 마그마의 가스 함량을 측정하는데 기본적인 요소이며, 미래에 일어날 분화의 규모를 계산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 폭발적인 분화의 산물인 부석의 발포도는 규장질 마그마의 가스 함량을 측정하는데 기본적인 요소이며, 미래에 일어날 분화의 규모를 계산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 결과는 백두산에서 발생 가능한 폭발적 분화의 규모를 예측하고 화산재해에 대한 대책을 세우는데 매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큰 의미가 있다.
  • 그리고 25 ka의 분출 물로 알려진 천문봉 일대의 황색 내지 담황색 부석층도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백두산 동남단 와호봉 (2,566 m)과 관면봉(2,526 m) 부근에서 채취한 암색을달리하는 3 종류의 부석에 대하여 주성분 원소 조성을 알아보았다. 동시에 주성분 원소로부터 계산된 마 그마의 밀도와 점성도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백두산 천지 칼데라 남단 외륜산인와호봉(2,566 m)과 관면봉(2,526 m) 부근에서 채취한암색을 달리하는 3 종류의 부석에 대하여 주성분 원소 특성을 알아보았다. 분석된 부석들의 SiO2 함량은 6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두산 천지 칼데라 외륜산 주변의 강하부석층의 특징은 무엇인가? 백두산 산정부의 강하부석층의 부석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백두산 천지 칼데라 외륜산 주변의 강하부석층은 주로 흰색 부석으로 구성되지만 이들 중에는 흑색, 회색의 부석이 함께 산출된다. 흰색 부석은 주로 유문암질($SiO_2$ 71.
백두산 화산에서는 화산폭발지수 (VEI) 7급의 격변적인 폭발적 초거대(colossal)분화가 발생한 시기는 언제인가? 지금으로부터 약 1,000년 전인 서기 946년~947년경(Xu et al., 2013) 백두산 화산에서는 화산폭발지수 (VEI) 7급의 격변적인 폭발적 초거대(colossal)분화가 발생하였었다.
백두산 화산에서의 분화는 어떤 의의가 있는가? , 2013) 백두산 화산에서는 화산폭발지수 (VEI) 7급의 격변적인 폭발적 초거대(colossal)분화가 발생하였었다. 이 분화는 인도네시아 탐보라 화산의 1815년 분화에 대비되며(Machida and Arai, 1983; Wei et al., 2003), 과거 2,000년 동안 인류 역사상 최대의 화산 분화 사건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Zielinski et al., 1994; Horn and Schmincke, 2000; Gu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ottinga, Y. and Weill, D.F., 1970, Densities of liquid silicate systems calculated from partial molar volumes of oxide components. American Journal of Science, 269, 169-182. 

  2. Cox, K.G., Bell, J.D., and Pankhurst, R.J., 1979, The Interpretation of Igneous Rocks. George Allen & Unwin, London, 450p. 

  3. Dunlap, C.E., Gill, J.B., and Palacz, Z.A., 1992, U/Th disequilibria in the large-volume chemically-zoned eruption of Baitoushan, 1010 AD. EO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Geophysical Union 73, 611. 

  4. Gudmundsson, A., 2014, Volcano-tectonic modelling of magma chambers, ring-faults, unrest, and eruptions in the Tianchi Volcano, China. Proposed studentship(Project description), Royal Holloway University of London.( https://www.royalholloway.ac.uk/earthsciences/documents/pdf/resops/2014/agchinavolcano.pdf) 

  5. Guo, Z., Liu, J., Sui, S., Liu, Q., He, H., and Ni, Y., 2002, The mass estimation of volatile emission during 1199-1200AD eruption of Baitoushan Volcano and its significance, Science in China Series D: Earth Sciences, 45, 530-539. 

  6. Horn, S. and Schmincke, H.U., 2000, Volatile emission during the eruption of Baitoushan volcano (China/North Korea) ca. 969 AD. Bulletin of Volcanology, 61, 537-555. 

  7. Houghton, B.F. and Wilson, C.J.N., 1989, A vesicularity index for pyroclastic deposit. Bulletin of Volcanology, 51, 451-462. 

  8. Liu, R,X., Wei, H.Q., Tang, J., Song, S.R., Li, X.D., Yang, Q.F., Liu, T.S., and Wang, J.J., 1996, Progress of the study on Tianchi Volcano, Changbaishan, China. Seismological and Geomagnetic Observation and Research, 17, 2-11. 

  9. Liu, R.X., Wei, H.Q., and Li, J.T., 1998, The Latest Eruptions from the Tianchi Volcano, Changbaishan. Science Press, Beijing, p.159 (in Chinese with English Abstract). 

  10. Machida, H. and Arai, F., 1983, Extensive ash falls in and around the Sea of Japan from large late Quaternary eruptions.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8, 151-164. 

  11. Machida, H. and Arai, F., 1992, Atlas of tephra in and around Japan. University of Tokyo Press, Tokyo. 276p. (in Japanese) 

  12. Miyamoto, T., Nakagawa, M., Tanaka, Y., and Yoshida, M., 2004, Eruptive sequence of the 10th century Baitoushan eruption. In: Tanuguchi, H. (Eds.), 10th great eruption of Baitoushan volcano, northeast China, and its historic effect. CNEAS Monograph Series No.16, 15-43, 218p. 

  13. Nanayama, F., Satake, K., Furukawa, R., Shimokawa, K., Atwater, B.F., Shigeno, K., and Yamaki, S., 2003, Unusually large earthquakes inferred from tsunami deposits along the Kuril trench. Nature, 424, 660-663. 

  14. Oppenheimer, C., 2011, Eruptions that shook the World,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doi:10.1017/CBO9780511978012. 

  15. Shaw, H.R., 1965, Comments on viscosity, crystal settling and convection in granitic magmas. American Journal of Science, 263, 120-153. 

  16. Shaw, H.R., 1972, Viscosities of magmatic silicate liquids: An empirical method of prediction. American Journal of Science, 272, 870-893. 

  17. Shea, T., Houghton, B.F., Gurioli, L., Cashman, K.V., Hammer, J.E., and Hobden, B.J., 2010, Textural studies of vesicles in volcanic rocks: an integrated methodology.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90, 271-289. 

  18. Sun, C., Plunkett, G., Liu, J., Zhao, H., Sigl, M., McConnell, J.R., and Hall, V., 2014, Ash from Changbaishan Millennium eruption recorded in Greenland ice: Implications for determining the eruption's timing and impact.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41(2), 694-701. 

  19. Thomas, N., Jaupart, C., and Vergniolle S., 1994, On the vesicularity of pumic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9(B8), 15633-15644. 

  20. Wei, H., Sparks, R.S.J., Liu, R., Fan, Q., Wang, Y., Hong, H., Zhang, H., Chen, H., Jiang, C., Dong, J., Zheng, Y., and Pan, Y., 2003, Three active volcanoes in China and their hazards.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21, 515-526. 

  21. Wei, H., Liu, G., and Gill, J., 2013, Review of eruptive activity at Tianchi volcano, Changbaishan, northeast China: implications for possible future eruptions. Bulletin of Volcanology, 75, 1-14. 

  22. Xu, J.D., Pan, B., Liu, T.Z., Hajdas, I., Zhao, B., Yu, H.M., Liu, R.X., and Zhao, P., 2013, Climatic impact of the millennium eruption of Changbaishan volcano in China: new insights from high-precision radiocarbon wigglematch dating.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40, 54-59. 

  23. Yun, S.H., 2013, Volcanological interpretation of historic eruptions of Mt. Baekdusan volcano.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 456-469. 

  24. Yun, S.H. and Lee, J.H., 2012, Analysis of unrest signs of activity at the Baegdusan volcano.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1, 1-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Yun, S.H., Lee, J.H., Kim, S.K., Chang, C.W., Cho, E., Yang, I.S., Kim, Y.J., Kim, S.H., Lee, K.H., Kim, S.W., and Macedonio, G., 2013, TITAN2D simulations of pyroclastic flows from small scale eruption at Mt. Baekdusan.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 615-6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Yun, S.H., Lee, J.H., Kim, S.K., Cho, E., Chang, C.W., and Yang, I.S., 2014, Major element characteristics of Millennium eruption pumices at Mt. Baekdu volcano. Proceedings of the Annual Joint Conference,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and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May 29-30, 2014, Busan, Korea), 4. 

  27. Zielinski, G.A., Mayewski, P.A., Meeker, L.D., Whitlow, S., Twickler, M.S., Morrison, M., Meese, D.A., Gow, A.J., and Alley, R.B., 1994, Record of volcanism since 7000 B.C. from the GISP2 Greenland ice core and implications for the volcano-climate system. Science, 264, 948-9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