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로로 인한 쇼크 후 발생한 횡문근 융해증 1례
A Case Report of Rhabdomyolysis Resulting from Shock Caused by Overworking 원문보기

The acupuncture = 대한침구의학회지, v.32 no.1, 2015년, pp.127 - 131  

김슬기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의학과교실) ,  박승혁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박옥주 (부천시 소사보건소) ,  조남근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의학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a case of Rhabdomyolysis that occurred after shock related to overworking, presenting myalgia(especially in the neck), muscular weakness, and dark urine. Methods : A patient diagnosed with Rhabdomyolysis received Korean medical treatment from Nov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2014년 11월 17일부터 2014년 11월 24일까지 본원에서 입원치료를 받은 횡문근 융해증 환자에게 침치료 및 한약치료를 시행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으므로 그 임상사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횡문근 융해증에서 근육의 증상은 주로 어디에서 발생하는가? 횡문근 융해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손상된 근육세포에서 세포 내용물이 혈장 내로 유리되는 질환으로 근육통, 근육위약, 암갈색 진한 소변의 세 가지 증상이 있을 때 진단할 수 있다. 근육의 증상은 특히 종아리, 허리 근육 위주로 나타나며 발열, 전신쇠약, 빈맥, 오심, 구토 등의 증세를 동반 하기도 한다. 횡문근 융해증 환자의 10 % 미만에서 세 가지 임상 소견이 모두 나타나며, 50 % 이상의 환자에서 근육통이나 근육위약의 증상을 호소하지 않으므로 횡문근 융해증의 진단에 어려움이 있다6).
횡문근 융해증은 임상적으로 어떤 증상이 있을 때 의심할 수 있는가? 임상적으로 근육통, 근육종창, 근육위약, 암갈색의 진한 소변 증상이 있을 때 횡문근 융해증을 의심할 수 있으며 CK와 같은 혈장 내 유리물질의 증가 외에 혈액 또는 요중에서 myoglobin이 증가하였을 때 진단할 수 있다2).
횡문근 융해증이란? 횡문근 융해증이란 골격근의 손상으로 파괴된 근세포에서 세포구성성분이 혈중으로 유리되는 질환으로 creatine kinase(CK) 수치가 정상수치에 비해 10배 이상 혹은 몇몇 논문에 따르면 5배 이상 증가하였다 급격히 감소하는 질환을 의미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Zutt R, van der Kooi AJ, Linthorst GE, Wanders RJA, de Visser M. Rhabdomyolysis: review of the literature. 2014 ; 24(8) : 651-9. 

  2. Kim KG, Kim JH, Kim SM et al. Clinical study of rhabdomyolysis developed after the training. Korean J Med. 2002 ; 63(6) : 675-81. 

  3. Vanholder R, Sever MS, Erek E, Lamaeire N. Rhabdomyolysis. J Am Soc Nephrol. 2000 ; 11(8) : 1553-61. 

  4. Bosch X, Poch E, Grau JM, Rhabdomyolysis and acute kidney injury. N Engl J Med. 2009 ; 361(1) : 62-72. 

  5. Song KJ, Choi BW, Kim SJ, Yoon SJ.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neck disability index. J Korean Orthop Assoc. 2009 : 44(3) : 350-9. 

  6. Cervellin G, Comelli I, Lippi G. Rhabdomyolysis: historical background, clinical, diagnostic and therapeutic features. Clin Chem Lab Med. 2010 ; 48(6) : 749-56. 

  7. Gabow PA, Kaehny WD, Kelleher SP. The spectrum of rhabdomyolysis. Medicine. 1982 ; 61(3) : 141-52. 

  8. Huerta-Alardin AL, Varon J, Marik PE. Benchto- bedside review: rhabdomyolysisan overview for clinicians. Critical Care. 2004 ; 9(2) : 158-69. 

  9. Demos MA, Gitin EL, Kagen LJ. Exercise myoglobinemia and acute exertional rhabdomyolysis. Arch Intern Med. 1974 ; 134(4) : 669-73. 

  10. Koskelo P, Kekki M, Wager O. Kinetic behavior of I-labelled myoglobin in human beings. Clin Chim Acta. 1967 ; 17(3) : 339-47. 

  11. Bagley WH, Yang H, Shah KH. Rhabdomyolysis. Intern Emerg Med. 2007 ; 2(3) : 210?8. 

  12. Kim HY, Choi SO, Shin SH et al. Analysis of 250 cases of rhabdomyolysis. Kidney Res Clin Pract. 1994 : 13(4) : 810-7. 

  13. Kang SW, Kim YW, Kim YH. Analysis of nontraumatic rhabdomyolysis during recent 2 years. Korean J Med. 2004 ; 67(5) : 467-74. 

  14. Sauret JM, Marinides G, Wang GK. Rhabdomyolysis. Am Fam Physician. 2002 ; 65(5) : 907-12. 

  15. Ron D, Taitelman U, Michaelson M, Bar-Joseph G, Bursztein S, Better OS. Prevention of acute renal failure in traumatic rhabdomyolysis. Arch Intern Med. 1984 ; 144(2) : 277-80. 

  16. Jung TS, Kang SS, Choi WC. Clinical study on 1 case of both lower limbs weakness patient diagnosed Wei symptom.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2 ; 26(5) : 784-7. 

  17. Baik YS. A study on Wi syndrome(?證) in Hwangjenaegyeong( 黃帝內經). Wiron(?論). J Korean Medical Classics. 2014 ; 27(3) : 1-10. 

  18.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dicine. Gyeonggi : Jipmoondang. 2012 : 63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