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에 있어 영화 수익관련 통계량과 확산 현상의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Box-office Related Statistics and Diffusion in Korea and US Film Markets 원문보기

經營 科學 = Korean management science review, v.32 no.1, 2015년, pp.133 - 145  

김태구 ((주)심네트) ,  홍정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tion picture industry in Korea has been growing constantly and aroused various kinds of research attention. Particularly, the introduction of official box-office database service brought quantitative studies. However, approaches based on diffusion models have been rarely found with domestic film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한국 영화 시장의 경우 제작비에 관한 정보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그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영화가 상영된 상영관을 일별로 합산한 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영관 당 거둔 수익의 비율을 통해 수익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영화 시장의 흥행작들 대부분의 일별 박스오피스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를 바탕으로 확산 모형을 통해 양 시장의 흥행 추이를 비교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기존의 정량적인 연구들의 연장선상에서, 양국의 영화 산업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 분석을 수행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영화 시장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확산 모형인 BMIC(Bass Model with Integration Constant)[16]를 통한 박스오피스 추이 분석을 통해 양국의 영화 시장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이 절에서는 두 영화 시장의 특성을 확산 모형을 통해 비교분석 한다. 수집된 영화의 일별 박스오피스 데이터를, 다양한 확산 모형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적합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선택된 확산 모형은 일반적으로 영화 관객 수 혹은 박스오피스 수익의 추이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진 지수 모형(Exponential model), 대표적인 확산 모형인 Bass 모형(Bass model), 확률 분포이면서 다양한 형태의 추이 분석에 용이한 감마 모형(Gamma model), 그리고 Bass 모형의 초기 수요 문제를 해결한 BMIC(Bass model with integration constant)이다.
  • 이 절에서는 두 시장에서 박스오피스 수익이 증가하는 추세의 양상을 서로 비교하고자 한다. 우선 양 시장의 전체적인 추세를 비교하기 위하여 전체 영화들에 대한 모수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 반면 Bass 모형의 장점을 가진 BMIC의 경우 적합도에서 감마 분포만큼이나 뛰어난 결과를 보여, 영화의 확산 과정을 해석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장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BMIC를 통한 영화 시장의 수익 확산 추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많은 연구들에서 사용된 지수 모형의 성능이 낮았던 점은 주목할 만하다. 확산 모형에 관한 분석 결과에 있어서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부분은 BMIC의 높은 적합도이다. BMIC는 감마 분포 다음으로 높은 적합도를 보여주었으며 특히 한국 시장에서는 감마 분포와 동등한 수준의 성능을 보여주었다.

가설 설정

  • Note) Horizontal lengths of black bars are proportional to the numbers on them (RMSE in m$). Vertically connected lines indicates homogeneous subsets tested by Duncan’s test (Left is better).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3년 기준, 한국 영화산업 매출액과 관객수는 어떠하였는가? 한국의 영화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대표적인 서비스 산업이다. 영화진흥위원회의 발표에 따르면, 2013년 전체 영화산업의 매출은 1조 8,839억으로 사상 최고 액수를 기록하였으며 관객 수 역시 전년도 대비 9% 증가한 2억 1,332만 명에 이르렀다[6]. 이는 2008년과 비교해서 관객 수 기준으로 40% 이상의 큰 폭의 성장을 거둔 결과로서, 특히 한국 영화의 약진이 두드러져 2008년도의 6,355만 명에 비해 2013년에는 1억 2,727만 명으로 전체 관람객의 60%를 차지하였다[6].
2013년 기준, 한국 영화를 관람한 관람객 수는 몇 명이었는가? 영화진흥위원회의 발표에 따르면, 2013년 전체 영화산업의 매출은 1조 8,839억으로 사상 최고 액수를 기록하였으며 관객 수 역시 전년도 대비 9% 증가한 2억 1,332만 명에 이르렀다[6]. 이는 2008년과 비교해서 관객 수 기준으로 40% 이상의 큰 폭의 성장을 거둔 결과로서, 특히 한국 영화의 약진이 두드러져 2008년도의 6,355만 명에 비해 2013년에는 1억 2,727만 명으로 전체 관람객의 60%를 차지하였다[6].
가장 대표적인 확산 모형 중 하나인 Bass 모형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가장 대표적인 확산 모형으로는 로지스틱 모형(Logistic model)[20]과 Bass 모형[11]이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Bass 모형의 경우, 마케팅이나 가격과 같은 외부 영향과 소비자 간의 소통에 따른 내부 영향의 상대적인 강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많은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영화 시장의 경우 초기에 관객이 몰리면서 Bass 모형이 가정하고 있는 시작 시점 값과는 잘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ass 모형의 해석 상의 장점을 취하는 동시에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초기점에 대한 가정을 완화한 BMIC(Bass Model with Integration Constant)[16]를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권선주, "영화 흥행성과의 분석과 예측 : 뉴스와 웹사이트 데이터 이용", 문화경제연구, 제17권, 제1호(2014), pp.35-55. 

  2. 김병도, 표태형, "개봉 전 영화의 수요예측모형", 경영논집, 제36권, 제1호(2002), pp.1-23. 

  3. 김태구, 홍정식, "개봉 규모와 수익성에 따른 영화의 분류와 확산 패턴 분석", 대한산업공학회지, 제39권, 제5호(2013), pp.412-421. 

  4. 김태상, "영화 의 서사미학 연구 : 포스트모더니즘 영화의 서사구조를 중심으로", 영화, 제6권, 제1호(2013), pp.93-111. 

  5. 나지영, "영화 와 이물교혼설화의 상호비교를 통한 서사의 보완", 문학치료연구, 제25집(2012), pp.313-339. 

  6. 영화진흥위원회 정책연구부, 2013 한국 영화산업 결산 보고서, in, 2013. 

  7. 이양환, 장병희, 박경우, "국가 간 영화흥행요인 비교를 위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 영화시장에서 미국 영화의 흥행요인 비교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7권, 제1호(2007), pp.185-222. 

  8. 이윤정, 신형덕, "원작의 유무와 형태가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2013), pp.108-115. 

  9. 최병호, 최성희, "한국 영화시장에서 영화 성과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생존분석을 중심으로", 經濟硏究, 제29권, 제3호(2011), pp.139-160. 

  10. 학술연구정보서비스, in,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1. Bass, F.M., "A new product growth model for consumer durables," Marketing Science, Vol.15, No.5(1969), pp.215-227. 

  12. Bulte, C.V. and S. Stremersch, "Social Contagion and Income Heterogeneity in New Product Diffusion : A Meta-Analytic Test," Marketing Science, Vol.23, No.4(2004), pp.530 -544. 

  13. Elberse, A. and J. Eliashberg, "Demand and Supply Dynamics for Sequentially Released Products in International Markets : The Case of Motion Pictures," Marketing Science, Vol.22, No.3(2003), pp.329-354. 

  14. Hogg, R.V., J. McKean, and A.T. Craig,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statistics, Pearson Education, 2005. 

  15. Jedidi, K., R. Krider, and C. Weinberg, "Clustering at the Movies," Marketing Letters, Vol.9, No.4 (1998), pp.393-405. 

  16. Kim, T. and J. Hong, "Bass model with integration constant and its applications on initial demand and left-truncated data,"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2015), Forthcoming. 

  17. Kim, T., J. Hong, and H. Koo, "Forecasting diffusion of innovative technology at prelaunch : A survey-based method," Industrial Managment and Data System, Vol.113, No.6 (2013), pp.800-816. 

  18. Kim, T., J. Hong, and P. Kang, "Forecasting Box Office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based on SNS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Forecasting(2015), Forthcoming. 

  19. Litman, B.R., "Predicting success of theatrical movies : An empirical study," The Journal of Popular Culture, Vol.16, No.4(1983), pp.159-175. 

  20. Mansfield, E., "Technical change and the rate of imitation," Econometrica, Vol.29, No.4(1961), pp.741-766. 

  21. Marshall, P., M. Dockendorff, and S. Ibanez, "A forecasting system for movie attendanc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6, No. 10 (2013), pp.1800-1806. 

  22. Marx, M.L. and R.J. Larsen,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statistics and its applications, Pearson/Prentice Hall, 2006. 

  23. Ozkaya, E., Demand management in global supply chains, in,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2008. 

  24. Qin, L., "Word-of-Blog for Movies : A Predictor and an Outcome of Box Office Revenue?,"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Vol.12, No.3(2011), pp.187-198. 

  25. Ravid, S.A., "Information, Blockbusters, and Stars : A Study of the Film Industry," The Journal of Business, Vol.72, No.4(1999), pp.463-492. 

  26. Wang, F., Y. Zhang, X. Li, and H. Zhu, "Why Do Moviegoers Go to the Theater? The Role of Prerelease Media Publicity and Online Word of Mouth in Driving Moviegoing Behavior,"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Vol.11, No.1(2010), pp.50-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