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공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Corporate Evaluation of the Public Sector 원문보기

한국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v.40 no.1, 2015년, pp.155 - 170  

강영선 (서울시립대학교 경영학부) ,  류준열 (서울시립대학교 경영학부) ,  서유미 (서울시립대학교 경영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whether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the public sector affect on its corporate evaluation in their perspective of consumers.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are being encouraged to conduct the CSR activities in the four dimensions of economic, legal, eth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공기업 CSR 활동의 적합성(fit)인식이 기업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적합성은 해당 기업의 주요 사업과 그 기업의 CSR 활동이 상호 일치(congruent)하고 비슷하다고(similar) 인식하는 정도[25], 기업의 CSR 활동이 해당 기업의 미션, 제품, 시장, 기술, 속성, 브랜드 컨셉 등과 일치한다고 인식하는 것[27]이라 정의된 바 있다.
  •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의 비윤리적인 행태나 사회적 무책임한 행동들이 보고될 때마다 사회 전반적으로 진정성 있는 CSR 활동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CSR 활동의 진정성이 기업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보임으로써, 공기업의 운영에 대해 부정적인 정서가 존재하는 현실 속에서 공기업은 꼭 관련된 사업 중심의 활동이 아니더라도 공공기관으로서의 본질에 충실한 사회공헌 활동들을 광범위한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펼침으로써 진정성 인식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기업평가를 높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또한 소비자의 지각된 참여가 공기업의 기업평가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고려한다면, 공기업 CSR 활동의 성공을 위해서 소비자와의 지속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CSR 활동을 함께 하고 있다는 참여인식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 본 연구는 공기업의 CSR 활동에 노출된 소비자들이 그 활동을 통해 기업을 평가하는데 사회적 책임 활동의 적합성, 지각된 참여, 그리고 지각된 진정성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사실험을 통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공기업의 CSR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평가에 미치는 영향 요소 중 하나로 CSR 활동에 대한 진정성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 기업들의 CSR 활동이 보편화되고 있지만 한편으로 CSR 활동의 진정성에 대한 불신과 비판의 수위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24].
  • 본 연구는 공기업의 CSR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CSR 활동의 적합성, 지각된 참여와 진정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기반으로 유사 실험을 실시하였다. CSR 활동의 효과, 특히 기업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 연구들이 민간기업을 주 대상으로 해 왔고 이에 공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가 다소 미흡했다는 측면에서 실제 공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본 연구는 소비자의 관점에서 공기업의 CSR 활동이 지니는 영향력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특히, 공기업 CSR 활동의 적합성, 소비자의 지각된 참여, 진정성 인식이 소비자의 기업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공공기관의 CSR 활동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 UN Global Compact에서도 CSR 활동은 민간기업과 공공기관 모두가 실천하고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으며[2], 한국의 공공기관 역시 CSR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ISO 26000을 포함한 국제 기준을 따르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매년 발간하는 기관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렇듯 확산되고 있는 공기업의 CSR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공기업 CSR 활동의 적합성은 기업평가에 영향을 유의미하게 미치지 못했으나, 진정성과 지각된 참여는 기업 평가에 대한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는 점은 공기업의 효과적인 CSR 전략에 있어 시사하는 바가 있다. 일반적으로 전략적 CSR 활동이 기업의 중심 사업과 관련된 사업 중심의 사회공헌활동을 강조하는 측면이 있다면, 공기업은 그 특성에 있어 사업과의 적합성 보다는 진정성과 지각된 참여가 더 큰 영향을 지닌다는 점이다.
  • 본 연구에서는 공기업의 CSR 활동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CSR 활동의 적합성, 소비자의 지각된 참여와 진정성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CSR 활동의 적합성이 기업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소비자의 지각된 참여와 진정성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한다.
  • [10]의 연구에 따르면, 참여는 특정 대상(subject, 소비자)과 목표 대상(object, 기업) 간의 상호작용과 경험의 상태(state) 혹은 과정(process)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지각하는 참여의 정도(perceived degree of engagement)를 측정하여, CSR 활동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참여가 기업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 또한 공익성을 띄는 사업의 주체로서 소비자가 지니는 공기업의 CSR 활동에 대한 기대치 역시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기관, 그 중에서도 특히 공기업의 CSR 활동이 소비자의 기업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CSR 활동의 적합성, 소비자의 지각된 참여, 진정성 측면에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소비자의 관점에서 공기업의 CSR 활동이 지니는 영향력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특히, 공기업 CSR 활동의 적합성, 소비자의 지각된 참여, 진정성 인식이 소비자의 기업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공공기관의 CSR 활동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 MBA 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유사 실험 방법론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공기업 CSR 활동의 적합성이 높을 경우, 소비자의 공기업에 대한 기업 평가는 호의적일 것이다.
  • 가설 2:소비자가 공기업의 CSR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는 지각이 높을 경우, 소비자의 공기업에 대한 기업 평가는 호의적일 것이다.
  • 가설 3:소비자가 공기업의 CSR 활동에 대한 진정성을 높게 지각할 경우, 소비자의 공기업에 대한기업 평가는 호의적일 것이다.
  • 가설 4-1:소비자가 공기업의 CSR 활동에 대한 진정성을 높게 지각할 경우, 적합성이 높은 경우에는 소비자의 참여에 대한 지각이 높은 경우가 공기업에 대한 기업평가가 호의적일 것이다.
  • 가설 4-2:소비자가 공기업의 CSR 활동에 대한 진정성을 낮게 지각할 경우, 적합성과 참여에 대한 지각에 상관없이 소비자의 공기업에 대한 기업평가는 비호의적일 것이다.
  • 실험 참가자들은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소비자 의견 조사”라고 쓰여진 실험자극의 표지를 읽고, 참가자들이 해당 기업의 홈페이지에 방문하여 게시된 정보를 읽는 상황이라는 가정 하에 제시문을 읽도록 안내받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arroll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포함되는 경제적, 법적, 윤리적, 재량적 기대사항을 각각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Carroll[11]에 따르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특정 시점에서 사회가 기업에 대해 가지고 있는 경제적(economic), 법적(legal), 윤리적(ethical), 그리고 재량적(discretionary) 기대사항들을 포함한다. 먼저 경제적 책임은 기업의 소유주인 주주를 위해 적정한 이윤을 창출해야 하는 의무를 의미하였으나, 최근에는 주주뿐만이 아니라 소비자, 종업원, 중간상, 공급자를 비롯하여 지역 사회와 정부의 이해 관계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다[20]. 법적 그리고 윤리적 책임은 사회가 규정한 법과 규범을 준수해야 함을 의미하며, 마지막으로 재량적 책임은 기업이 자율적으로 박애적인(philanthropic) 활동을 수행하며 기업이 창출한 이윤을 사회에 환원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CSR 활동들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역시 활발하게 진행되었다[24].
기획재정부에 의하면 공공기관이란 무엇인가? 기획재정부의 정의에 따르면, 공공기관이란 “정부의 투자, 출자 또는 정부의 재정지원 등으로 설립, 운영되는 기관으로서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4조 1항 각호의 요건에 해당하여 기획재정부장관이 지정한 기관”이다. 공공기관의 유형은 공기업, 준정부기관, 기타 공공기관으로 나누어지며, 이 중 공기업은 직원이 50인 이상, 자체수입액이 총수입액의 2분의 1 이상인 공공기관을 말하며 자산규모가 2조 원 이상이며 자체수입액이 총 수입액의 85% 이상인 경우 시장형 공기업(예:한국수자원공사,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등), 그 외의 경우는 준시장형 공기업으로 구분된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CSR 활동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Carroll[11]은 기업의 CSR 활동을 네 가지 분야(경제적, 법률적, 윤리적, 자선적)에서의 책임에 대한 활동으로 정의하였고, 기존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업의 CSR 활동과 기업의 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연구들이 많았다[24].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면 CSR 활동은 조직의 경쟁우위, 재무적 성과, 기업 평가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민간기업의 경우 CSR 활동을 통해 이미지 제고 효과가 발생하고, 궁극적으로 기업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공기업은 그 특성상 공익성이 강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기업의 활동에 영향을 받는 소비자가 광범위하며, 이에 따라 공기업의 CSR 활동이 지닐 수 있는 영향력 또한 그 범위 측면에서 민간기업보다 크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김인동, 강광석, 강경환, "공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실증적 연구:윤리경영 실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5권, 제3호(2011), pp.355-376. 

  2. 라영재,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과 공정사회", 재정포럼, (2012), pp.8-28. 

  3. 유창조, "사회공헌 활동의 진화과정과 경영성과에 관한 종합 고찰", 마케팅연구, 제29권, 제1호(2014), pp.55-78. 

  4. 이미영, 최현철, "CSR 활동의 진정성이 기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6권, 제1호(2012), pp.58-83. 

  5. 조형오, "기업의 공익활동의 유형이 기업에 대한 인지적 반응과 광고메시지에 대한 반응과정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제17권, 제5호(2006), pp.91-102. 

  6. Beckman, T., A. Colwell, and P.H. Cunningham, "The emergenc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Chile:the importance of authenticity and social networks,"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86(2009), pp.191-206. 

  7. Bhattacharya, C.B. and S. Sen, "Consumercompany identification: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consumers' relationships with companies," Journal of Marketing, Vol.67(2003), pp.76-88. 

  8. Bhattacharya, C.B. and S. Sen, "Doing better at doing good:when, why and how consumers respond to corporate social initiatives,"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47, No.1 (2004), pp.9-24. 

  9. Brickson, S.L., "Organizational identity orientation: the genesis of the role of the firm and distinct forms of social valu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32, No.3(2007), pp.864-888. 

  10. Brodie, R.J., L. Hollebeek, B. Juric and A. Ilic, "Customer engagement:conceptual domain, fundamental propositions,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Journal of Service Research, Vol.14(2011), pp.252-271. 

  11. Carroll, A.B., "A Three-dimensional conceptual model of corporate performance,"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4, No.4(1979), pp.497-505. 

  12. Carroll, A.B.,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evolution of a definitional construct," Business and Society, Vol.38(1999), pp.268-295. 

  13. Collier, J. and R. Esteba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employee commitment,"Business Ethics, 16(1)(2007), pp.19-33. 

  14. Dowling, G. and P. Moran, "Corporate reputations: built in or bolted on?,"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20, No.1(2012), pp.65-91. 

  15. Hamiln, R.P. and T. Wilson, "The impact of cause branding on consumer reactions to products: Does product/cause 'fit' really matter?,"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Vol.20(2004), pp.663-681. 

  16. Harvey, P., M.J. Martinko, and W.L. Gardner, "Promoting authentic behavior in organizations: an attributional perspective," Journal of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Studies, Vol.12, No.3(2006), pp.1-11. 

  17. Homer, P.M., "The Mediating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some additional evidenc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27 (1990), pp.78-86. 

  18. Lafferty, B.A., "The relevance of fit in a cause brand alliance when consumers evaluate corporate credibilit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0, No.5(2007), pp.447-453. 

  19. Laing, A., "Marketing in the public sector: towards a typology of public services," Marketing Theory, Vol.3, No.4(2003), pp.427-445. 

  20. Maignan, I. and O.C. Ferrell,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an integrative framework,"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32(2004), pp. 3-19. 

  21. Mazutis, D. and N. Slawinski, "Reconnecting business and society:perceptions of authenticity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Journal of Business Ethics, 2014. 

  22. McShane, L. and P. Cunningham, "To thine own self be true? Employees' judgments of the authenticity of their organization'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rogram,"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108, No.1(2012), pp. 81-100. 

  23. Menon, S. and B. Kahn, "Corporate sponsorships of philanthropic activities:when do they impact perception of sponsor brand?,"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13, No.3(2003), pp.316-327. 

  24. Porter, M.E. and M. Kramer, "Creating shared value:how to reinvent capitalism and unleash a wave of innovation and growth," Harvard Business Review, Vol.89, No.1(2011), pp.1-17. 

  25. Pracejus, J.W. and G.D. Olsen, "The role of brand/cause fit in the effectiveness of causerelated marketing campaigns," Th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57, No.6(2004), pp. 635-640. 

  26. Price, L.L., E.J. Arnould, and S.L. Deibler, "Consumers' emotional response to service encouters:the influence of the service provider," International Journal of Service Industry Management, Vol.6, No.3(1995), pp. 34-63. 

  27. Simmons, C.J. and K.L. Becker-Olsen, "Achieving marketing objectives through social sponsorships," Journal of Marketing, Vol.70, No.4(2006), pp.154-169. 

  28. Slack, R.E., S. Corlett and R. Morris, "Exploring employee engagement with(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on organizational participation," Journal of Business Ethics, 2014. 

  29. van der Wal, Z., G. de Graaf, and K. Lasthuizen, "What's valued mos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organizational values of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Public Administration, Vol.86, No.2(2008), pp. 465-4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