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한국어 어휘학습용 어플리케이션 분석: 태블릿 PC 어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Analysis of Applications for Preschoolers' Korean Vocabulary Learning: Focusing on Tablet PC Applications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3 no.2, 2015년, pp.219 - 228  

성미영 (서경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content of Korean vocabulary learning applications with a focus on tablet PC applications. We analyzed 51 Korean vocabulary learning applications. The instruments in this study were developed based on Yoo et al. (2012)' Vocabulary Learning Game Application Evaluation Crite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런데 유아의 스마트기기 중독에 관한 실태조사 결과는 태블릿 PC를 활용하는 방법이 유아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어휘학습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게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측면은 전적으로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유아의 어휘발달을 촉진시키자는 것이 아니라 어휘학습의 보조적 도구로서의 태블릿 PC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어휘학습 어플리케이션의 교수방법과 학습유형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평가요소별 점수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교수방법과 학습유형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해봄으로써 유아의 어휘학습에 보다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어휘학습을 보조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기존에 개발된 태블릿 PC용 어휘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유아의 어휘학습을 보조하는 효과적인 도구인지를 살펴봄으로써 태블릿 PC용 어플리케이션이 부정적 측면만이 아닌 긍정적인 학습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한국어 어휘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의 내용과 특성을 분석하여 그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기존에 개발된 태블릿 PC용 어휘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유아의 어휘학습을 보조하는 효과적인 도구인지를 살펴봄으로써 태블릿 PC용 어플리케이션이 부정적 측면만이 아닌 긍정적인 학습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한국어 어휘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의 내용과 특성을 분석하여 그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언어 교수방법의 경우 전통적인 발음중심 접근법에 기반을 둔 어플리케이션인지 아니면 총체적 접근법에 기반을 둔 접근법인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평가영역에서 다른 양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유아의 어휘학습을 돕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태를 교수방법이나 학습유형의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여 장단점 등을 파악함으로써 유아의 한국어 어휘학습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의 기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의 경우에는 학습유형에 따라 유아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의 평가 점수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나, 한글학습 등의 한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학습유형별 차이에 대해서는 살펴보지 않았다. 발음중심 또는 총체적 접근방법 중 어떤 언어 교수방법에 기반을 두고 있느냐에 따라서도 따라서 한국어 어휘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의 내용분석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 연구에서는 학습유형별 차이와 더불어 언어 교수방법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내용분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아 대상 한국어 어휘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의 내용분석을 위해 51개의 태블릿 PC 어플리케이션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이들의 일반적 경향과 교수방법 및 학습유형에 따른 내용분석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측면은 전적으로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유아의 어휘발달을 촉진시키자는 것이 아니라 어휘학습의 보조적 도구로서의 태블릿 PC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어휘학습 어플리케이션의 교수방법과 학습유형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평가요소별 점수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교수방법과 학습유형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해봄으로써 유아의 어휘학습에 보다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어휘학습을 보조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어휘학습 어플리케이션의 교수방법과 학습유형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평가요소별 점수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교수방법과 학습유형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해봄으로써 유아의 어휘학습에 보다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어휘학습을 보조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기존에 개발된 태블릿 PC용 어휘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유아의 어휘학습을 보조하는 효과적인 도구인지를 살펴봄으로써 태블릿 PC용 어플리케이션이 부정적 측면만이 아닌 긍정적인 학습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최근 태블릿 PC의 보급이 급증하면서 수평적, 참여적, 상호작용적인 교육방식의 효과가 높아지고 있으므로 태블릿 PC를 유아의 한국어 어휘학습에 적극 활용한다면 좋은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측된다[2, 24]. 이처럼 유아의 한국어 어휘학습에 있어서 태블릿 PC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경우 그 효과성을 고려해 볼 때 기존에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한국어 어휘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의 현황을 우선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유아의 발달수준에 적합하며 한국어 어휘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러닝의 소통에 대한 장점은? 태블릿 PC를 이용한 학습은 스마트러닝(smart learning)에 해당하는데, 모바일기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새로운 디바이스를 교육에 활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11]. 스마트러닝은 학습자-학습자, 학습자-교수자, 학습자-콘텐츠 간의 소통, 협력, 참여, 개방, 공유 기능이 가능하도록 하는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수평적, 쌍방향적, 참여적, 상호작용적인 방식으로 학습의 효과를 증대시킨다는 장점이 있다[10, 23]. 온라인 수업의 활성화를 통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교육이 가능하며, 시간적 제약조건도 없어서 클라우드 교육서비스 등을 활용한다면 언제나 원할 때 학습이 가능하다.
태블릿 PC가 글로벌 IT시장에 자리매김한 계기는? 2010년 4월 미국에서 처음으로 아이패드(iPad)가 출시된 이후 태블릿 PC는 스마트폰과 함께 중요한 글로벌 IT시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실제 태블릿 PC는 2010년 1,716만대의 판매량을 기록하였는데, 2011년에는 무려 400% 성장한 6,978만대를 판매하였다.
태블릿 PC에 대해 실생활에서 성인뿐만 아니라 유아도 이를 활용할 기회가 늘어나고 있는데 이 예로 제시된 것은? 이처럼 태블릿 PC의 높은 성장세로 인해 실생활에서 성인뿐만 아니라 유아도 이를 활용할 기회가 증가 하였다. 태블릿 PC를 이용한 학습은 스마트러닝(smart learning)에 해당하는데, 모바일기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새로운 디바이스를 교육에 활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11]. 스마트러닝은 학습자-학습자, 학습자-교수자, 학습자-콘텐츠 간의 소통, 협력, 참여, 개방, 공유 기능이 가능하도록 하는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수평적, 쌍방향적, 참여적, 상호작용적인 방식으로 학습의 효과를 증대시킨다는 장점이 있다[10, 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n, S. W., & Heo, M. J. (2011). A study of knowledge of letter names and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 for Korean kindergarten children.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13(2), 267-287. 

  2. Chen, X. B. (2013). Tablets for informal language learning: Student usage and attitudes. Language Learning & Technology, 17(1), 20-36. 

  3. Cho, S. K. (2009). Smartphones used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12(3), 211-228. 

  4. Foy, J. G., & Mann, V. (2006). Changes in letter sound knowledge are associated with development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Research in Reading, 29(2), 143-161. http://dx.doi.org/10.1111/j.1467-9817.2006.00279.x 

  5. Han, Y. M., Kim, H. S., Kwon, H. K., & Yang, Y. S. (2010).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s language education . Seoul: Hakjisa. 

  6. Hyun, E. J., Yeon, H. M., Jang, J. Y., & Lee, E. Y. (2013). Contents analysis of vocabulary learning game application on smart-phone and tablet PC for young children's language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1), 551-561. http://dx.doi.org/10.5392/JKCA.2013.13.11.551 

  7. Jung, S. J., Lim, G., Ko, Y. J., Sim, H. A., & Kim, K. Y. (2010). The analysis of trends in smart phone applications for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improved educational use.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1(2), 203-216. 

  8. Kang, Y. J., Han, W. C., & Cho, T. Y. (2011). Implementation of a learning app using an android smart phone . Paper presented at the 44th Summer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Korea, 419-420. 

  9. Kim, E. J., Park, S. D., & Kim, K. C. (2011). The analysis of smart phone application for early childhood based on cognitive theory.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11(4), 163-174. 

  10. Kim, J. H., & Lim, H. S. (2011). Smart learning using web and smart devices: Blended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Conference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5(2), 81-84. 

  11. Kukulska-Hulme, A., & Shield, L. (2008). An overview of mobile assisted language learning: From content delivery to supported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ReCALL, 20(3), 271-289. http://dx.doi.org/10.1017/S0958344008000335 

  12. Lee, J. S., & Choi, J. H. (2012). Implementation of application for vocabulary learning through analysis of users needs using smart phone.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5(1), 43-53. 

  13. Lee, J. Y. (2011). The perception of parent on smart phone applic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14. Lee, N. O. (2005). The preference of children and parent on the online learning contents and evaluation of par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5. Lee, S. W. (2014, March 4). 2013 Global tablet PC sales increase. iT DongA . Retrieved November 25, 2014, from http://it.donga.com/17525/ 

  16. Molfese, V. J., Modglin, A. A., Beswick, J. L., Neamon, J. D., Berg, S. A., Berg, C. J., et al. (2006). Letter knowledge, phonological processing, and print knowledge: Skill development in nonreading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9(4), 296-305. http://dx.doi.org/10.1177/00222194060390040401 

  17. Oh, H. Y., & Min, B. W. (2010). App design style and usability analysis for smart phone application: Focusing on the iPhone and Appstor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12), 129-136. http://dx.doi.org/10.5392/ JKCA.2010.10.12.129 

  18. Park, J. C. (2013). Design and development of mobile-based application for learning Hangeul(Korean Alphabe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Korea. 

  19. Reinders, H. (2010). Twenty ideas for using mobile phones in the language classroom. English Teaching Forum, 46(3), 20-25. 

  20. Sim, Y. J. (2013). The effect of the Korean vocabulary learning using mobile game appli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1. Stockwell, G. (2007). Vocabulary on the move: Investigating an intelligent mobile phone-based vocabulary tutor.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 20(4), 365-383. http://dx.doi.org/10.1080/09588220701745817 

  22. Stockwell, G. (2010). Using mobile phones for vocabulary activities: Examining the effect of the platform. Language Learning & Technology, 14(2), 95-110. 

  23. Upadhyay, N. (2006). M-learning: A new paradigm in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Distance Learning, 3(2), 31-34. 

  24. Van Orden, S. (2006). Using a tablet PC in the German classroom to enliven teacher input. Die Unterrichtspraxis/Teaching German, 39(2), 109-112. http://dx.doi.org/10.1111/j.1756-1221.2006.tb00022.x 

  25. Yoo, K. J., Jung, S. N., Kim, M. K., & Yang, A. S. (2008). Internet contents evalu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se analysis by contents type.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3(5), 191-216. 

  26. Yoo, K. J., Kim, M. K., & Kim, E. A. (2012). An analysis of contents and interactions for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n smart-phone and tablet PC.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7(1), 169-194. 

  27. Yoon, H. M. (2014). Types and features of popular educational applications for young children: Focusing on Android app store.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Proceedings of the HCI Society of Korea, 481-4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