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일기관에서 소아 호산구성 수막염의 임상특징 분석
Clinical Manifestation of Eosinophilic Meningitis in Korean Children: A Single Institution's Experience 원문보기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PIV, v.22 no.1, 2015년, pp.23 - 28  

변정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  최성열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  김동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  김기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호산구성 수막염은 척수액에서 호산구가 ${\geq}10/mm^3$ 또는 백혈구 중 10% 이상인 것으로 정의하며, 기생충에 의한 신경계 감염으로 주로 보고된다. 기생충에 의한 감염이 흔한 국가 외에서는 호산구성 수막염에 관한 소아에 대한 국내외 보고는 드물다. 이 연구는 국내 단일기관에서 소아 호산구성 수막염 임상특징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2007년 1월에서 2012년 7월까지 5년간 세브란스 어린이병원을 방문한(입원, 외래) 18세 미만의 환자들 총 6,335명을 스크리닝했고, 그 중 호산구성 수막염에 맞는 39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뇌척수액 검사상 호산구성 수막염으로 진단된 환자는 39명(0.6%)이었으며, 평균연령은 6세(생후 7일-18세)였고, 남녀의 비는 1.3:1이었다. 혈액검사에서 호산구 증가가 동반되는 경우가 18례(46%) 있었다. 기저질환 및 과거력으로 신경계 질환 36례(92%) 있었다. 항경련제를 복용한 경우는 22례가 있었고, 이외 다른 약물의 복용이 1례 있었다. 뇌수술 이후에 발생한 경우가 35례(90%)였다. 증상은 주로 발열(50%), 두통(20%), 구토(15%), 경련(10%), 어지러움증(5%) 등이 있었다. 뇌척수액의 단백 수치는 평균 180 mg/dL (16-633 mg/dL)로 상승된 값을 보였다. 증상 지속시간은 평균 5일로 치료는 정맥 항생제 및 스테로이드를 투여하였다. 세균배양 된 예가 1례, 애완동물을 기른 예가 1례 있었고 이외에 기생충 관련된 정보는 없었다. 결론: 국내 소아 호산구성 수막염은 기생충 감염보다는 중추신경계의 수술과 관련 있거나 약제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호산구성 수막염의 원인을 잘 고려하여 불필요한 검사나 치료를 줄일 수 있을 것이며, 향후 다기관을 통한 분석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of eosinophilic meningitis in Severance Children's Hospital. Methods: We examined 6,335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years old who had visited the tertiary hospital in Seoul, Korea, and had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국내 소아에서 호산구성 수막염의 증례를 제외한 보고가 없어 이에 저자들은 최근 한 3차 병원에서의 자료를 토대로 소아의 호산구성 수막염의 원인, 치료, 경과 등을 분석 기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감염 요인으로 인한 호산구성 수막염의 증상은? 기생충에 의한 감염이 흔한 국가 외에서는 호산구성 수막염의 보고가 적고, 비감염 요인인 알러지 반응, 호지킨 림프종의 중추신경계 전이 등이 주 원인으로 보고된다. 비감염 요인으로 인한 호산구성 수막염의 증상은 발열, 말초 호산구 증가, 구토, 복통, 피부발진 또는 신경마비, 근육위축, 인지저하와 같은 신경학적 증상 등이 나타난다3).
호산구성 수막염이란? 호산구성 수막염이란 뇌척수액의 호산구가 ≥10/mm3 또는 뇌척수액 백혈구 중 호산구가 10% 이상인 것으로 정의된다1,2). 호산구성 수막염은 동남 아시아와 태평양일대에서 폐기생충인 광동주혈선충(angiostrongylus cantonensis)에 의한 신경계 감염으로 주로 보고된다.
호산구성 수막염의 증상은? 호산구성 수막염은 동남 아시아와 태평양일대에서 폐기생충인 광동주혈선충(angiostrongylus cantonensis)에 의한 신경계 감염으로 주로 보고된다. 중추신경계로의 침범에 의해 발생하며, 감각 이상이나, 고열, 뇌신경 이상을 보이고, 드물게는 정신착란, 사지마비, 사망까지 일으킬 수 있다. 하지만 대개는 두통이나 약간의 뇌막자극 증상만을 보이고, 저절로 호전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liegman RM.Eosinophilic meningitis.In: Stanton BF, Schor NF, editors.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9th ed. Philadelphia: Saunders Elsevier, 2011:2097-8. 

  2. Lo Re V, 3rd, Gluckman SJ. Eosinophilic meningitis. Am J med 2003;114:217-23. 

  3. Kessler LA, Cheek WR. Eosinophilia of the cerebrospinal fluid of noninfectious origin: report of 2 cases. Neurology 1959;9:371-4. 

  4. Lo Re V, 3rd, Gluckman SJ. Eosinophilic meningitis due to Gnathostoma spinigerum. J Infect 2002;45:117-20. 

  5. Noh Y, Hong ST, Yun JY, Park HK, Oh JH, Kim YE, et al. Meningitis by Toxocara canis after ingestion of raw ostrich liver. J Korean Med Sci 2012;27:1105-8. 

  6. Evans RJ, McElwain TJ. Eosinophilic meningitis in Hodgkin's disease. Br J Clin Pract 1969;23:382-4. 

  7. Weingarten JS, O'Sheal SF, Margolis WS. Eosinophilic meningitis and the hypereosinophilic syndrome.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Am J Med 1985;78:674-6. 

  8. Mulligan MJ, Vasu R, Grossi CE, Prasthofer EF, Griffin FM, Jr., Kapila A, et al. Neoplastic meningitis with eosinophilic pleocytosis in Hodgkin's disease: a case with cerebellar dysfunction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Am J Med 1988;296:322-6. 

  9. Quinn JP, Weinstein RA, Caplan LR. Eosinophilic meningitis and ibuprofen therapy. Neurology 1984;34:108-9. 

  10. Rodriguez SC, Olguin AM, Miralles CP, Viladrich PF. Characteristics of meningitis caused by Ibuprofen: report of 2 cases with recurrent episod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Medicine 2006;85:214-20. 

  11. Bell RS, Vo AH, Cooper PB, Schmitt CL, Rosner MK. Eosinophilic meningitis after implantation of a rifampin and minocycline-impregnated ventriculostomy catheter in a child. Case report. J Neurosurg 2006;104:50-4. 

  12. Niggemann B, Bauer A, Jendroska K, Wahn U. Latex allergy as a cause of eosinophilia in cerebrospinal fluid in a child with a ventricular shunt. J Allergy Clin Immunol 1997;100:849-50. 

  13. Kennedy CR, Singer HS. Eosinophilia of the cerebrospinal fluid: late reaction to a silastic shunt. Dev Med Child Neurol 1988;30:386-90. 

  14. Jimenez DF, Keating R, Goodrich JT. Silicone allergy in ventriculoperitoneal shunts. Childs Nerv Syst 1994;10:59-63. 

  15. Pittman T, Williams D, Rathore M, Knutsen AP, Mueller KR. The role of ethylene oxide allergy in sterile shunt malfunctions. Br J Neurosurg 1994;8:41-5. 

  16. Fulkerson DH, Boaz JC. Cerebrospinal fluid eosinophilia in children with ventricular shunts. J Neurosurg Pediatr 2008;1:288-95. 

  17. Tubbs RS, Muhleman M, Loukas M, Cohen-Gadol AA. Ventriculoperitoneal shunt malfunction from cerebrospinal fluid eosinophilia in children: case-based update. Childs Nerv Syst 2012;28:345-8. 

  18. Woods CR, Englund J. Congenital toxoplasmosis presenting with eosinophilic meningitis. Pediatr Infect Dis J 1993;12:347-8. 

  19. Miron D, Snelling LK, Josephson SL, Skurkovich B. Eosinophilic meningitis in a newborn with group B streptococcal infection. Pediatr Infect Dis J 1993;12:966-7. 

  20. Williams JH, Koster LS, Naidoo V, Odendaal L, Van Veenhuysen A, de Wit M, et al. Review of idiopathic eosinophilic meningitis in dogs and cats, with a detailed description of two recent cases in dogs. J S Afr Vet Assoc 2008;79:194-204. 

  21. Slom T, Johnson S. Eosinophilic Meningitis. Curr Infect Dis Rep 2003;5:32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