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기 지적장애인의 고용 유지 결정 요인: 직업훈련 프로그램 참여자의 개인적 요인을 중심으로
Determinant Factors of Maintaining Employment in a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Personal Factors of Participants Employed after Vocational Training Program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4, 2015년, pp.519 - 529  

박은영 (전주대학교 사범대학 중등특수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성인기 준비를 위한 진로 및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신체능력, 작업능력, 정서 행동 영역, 기능적 적응 행동 요인을 중심으로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년기 지적장애인들의 고용 유지 결정 요인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64명의 청년기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프로그램 수료 이후 6개월 시점에의 추적 조사를 통해 고용 유지 여부를 알아보았다.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고용 유지 결정 요인을 알아본 결과, 신체능력 중 양손 기민성(OR = 2.175), 작업 능력 중 소도구 사용 손기민성(OR = 1.123), 정서 행동 영역 중 불안(OR = .733)과 사회화 영역(OR = .429), 기능적 적응행동 영역 중 학습기술(OR = 1.077)과 직업기술 영역(OR = 1.542)이 고용 유지 결정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드러난 고용 유지 결정요인은 선행연구들에서 제시한 고용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 유지에 효과적인 진로 및 직업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해서는 고용 유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terminant factors of maintaining employment in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took part in a vocational training program and was employed. The determinant factors were from four areas, such as physical competence, job-related task per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작업능력 중 청년기 지적장애인의 고용 유지 결정 요인은 무엇인가?
  • 이는 선행연구에서 지적장애인의 고용 유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고된 주요 요인으로 작업능력, 사회성 기술 등 개인적 요인임이 보고되었으며, 직업재활 서비스 제공 등의 외부적인 요인들은 장기간의 교육 훈련을 필요로 하는 개인적 요인에 비해 비교적 단기간에 조정이 가능한 요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신체능력, 작업능력, 정서 행동 영역, 기능적 적응행동 요인을 중심으로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년기 지적장애인들의 고용 유지 결정 요인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성공적인 성인기 준비를 위한 진로 및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전환 교육과 서비스를 위한 의미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고용 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직업의 획득, 유지 및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예측이 필요하다[29].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청년기 지적장애인의 고용 유지에 결정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고용 후 6개월 이후의 추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신체능력, 작업능력, 정서 행동 영역, 기능적 적응행동 요인을 중심으로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년기 지적장애인들의 고용 유지 결정 요인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성공적인 성인기 준비를 위한 진로 및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직업훈련 프로그램 종료 후 취업한 지적장애인이 고용을 유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는 6개월 후에 조사하였다. 평가한 자료들은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의 고용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에서 취한 조치는? 장애인의 고용문제는 법적 장치의 마련을 통해서도 강조하고 있다[1]. 우리나라의 경우 2007년 제정된 「장애인등에대한특수교육법」에서는 진로 및 직업교육의 지원과 전공과의 설치ㆍ운영을 통해 이를 강조하고 있으며, 「장애인고용촉진및직업재활법」의 제정,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설립 및 운영을 통해 장애인의 고용을 촉진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근속기간이란? 지적장애인의 경우 이러한 문제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2011년 장애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지적장애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38개월, 주당 평균 근무시간은 39시간으로 이는 15개 장애유형 중 일곱 번째로 짧은 근속 기간이었다. 근속기간은 고용을 유지하는 기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적장애인이 고용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4].
장애인실태조사에 따른, 지적장애 근로자의 평군 근속기간은 얼마인가? 장애인의 경우 취업률이 낮은 것도 문제이지만 취업 후 직업생활을 유지하지 못하고 직장을 떠나는 사람이 많다는 점이 더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5][6]. 지적장애인의 경우 이러한 문제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2011년 장애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지적장애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38개월, 주당 평균 근무시간은 39시간으로 이는 15개 장애유형 중 일곱 번째로 짧은 근속 기간이었다. 근속기간은 고용을 유지하는 기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적장애인이 고용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E. W. Carter, D. Austin, and A. Trainor, "Predictors of postschool employment outcomes for young adults with severe disabilities," J. of Disability Policy Studies, Vol.23, No.1, pp.50-63, 2012. 

  2.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2013. 

  3. 김호진, 최종철, 양수정, 2013년 장애인 경제활동 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3. 

  4. 김성희, 변용찬, 손창균, 이영희, 이민경, 이송희, 강동욱, 권선진, 오혜경, 윤상용, 이상우, 2011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5. 김승아, 근로장애인의 이직요인 분석과 대처방안,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5. 

  6. 박은영, 정신지체인 고용 준거 개발,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7. 박영근, 조인수, "지적장애학생의 취업 및 고용 유지를 위한 주요기술 관련 특수교사 인식", 재활복지, 제17권, 제4호, pp.245-265, 2013. 

  8. 이윤우, 제조업종이에 종사하는 지적 장애인 직업유지 요인에 대한 동료근로자의 평가,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9. 이채식, 정신지체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취업알선서비스 경험자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10. 정인숙, 박원희, "정신지체 성인의 직장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제39권, 제1호, pp.235-256, 2004. 

  11. 박은영, 신인수, "발달장애 학생의 적응행동에 대한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장애와 고용, 제21권, 제2호, pp.59-78, 2011. 

  12. L. Newman, M. Wagner, R. Cameto, and A. M. Knokey, The post-high school outcomes of youth with disabilities up to 4 years after high school: A Report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Transition Study-2 (NLTS2) (NCSER 2009-3017), SRI International, 2009. 

  13. E. W. Carter, A. A. Trainor, O. Cakiroglu, B. Swedeen, and L. Owens, "Availability of and access to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for transition-age youth with disabilities," Career Development for Exceptional Individuals, Vol.33, pp.13-24, 2010. 

  14. N. J. Certo, R. G. Luecking, S. Murphy, L. Brown, S. Courey, and D. Belanger, "Seamless transition and long-term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earch and Practice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Vol.33, pp.85-95, 2008. 

  15. B. O'Day and D. Stapleton, "Transforming disability policy for youth and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Disability Policy Research Brief, Vol.9, No.1, pp.1-4, 2009. 

  16. D. W. Test, "Seamless transition for all. Research and Practice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Vol.33, pp.98-99, 2008. 

  17. D. W. Test, V. L. Mazzotti, A. L. Mustian, C. H. Fowler, L. Kortering, and P. Kohler, "Evidence-based secondary transition predictors for improving postschool outcom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Career Development for Exceptional Individuals, Vol.32, pp.160-181, 2008. 

  18. R. P. Colarusso and D. D. Hammill,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Academic Therapy Pub, 1972. 

  19. M. K. E. Bouska, E. Kwatny, and Moss Rehabilitation Hospital, Manual for the application of the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to the adult population, Moss Rehabilitation Hospital, 1983. 

  20. C. Y. Su, J. J. Charm, H. M. Chen, C. J. Su, T. H. Chien, and M. H. Huang, "Perceptual differences between stroke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and intracerebral hemorrhag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1, pp.706-714, 2000. 

  21. M. J. Bouska and E. Kwantny, Manual for application of the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to the adult population, Academic Therapy Publication, 1983. 

  22. J. Gallus and V. Mathiowetz,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Purdue Pegboard for persons withmultiple sclerosis," American J. of Occupational Therapy, Vol.57, No.1, pp.108-111, 2003. 

  23. 한국장애인개발원,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손 기능 평가 도구 편, 한국장애인개발원, 2011. 

  24. 박희찬, 이종남, MDS의 구성과 사용법, 서부장애인종합복지관, 1997. 

  25. L. MacCarron and J. Dial, McCarron-Dial evaluation system: A systematic approach to vocational, educational an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2nd ed.), McCarron-Dial System, 1986. 

  26. 데이터솔루션 컨설팅팀, Spss Statistics 회귀분석, 데이터솔류션, 2013. 

  27. 이달엽, 김다혜, 이승옥, "직업훈련 프로그램이 장애인 직업준비도에 미치는 효과", 재활복지, 제8권, 제1호, pp.111-143, 2004. 

  28. 조인수, 전환교육, 대구대학교출판부, 2010. 

  29. R. R. Moran, S. McDermott, and S. Butkus, "Getting a job, sustaining a job, and losing a job for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J.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Vol.16, pp.237-244, 2001. 

  30. S. Greensapn and B. Shoultz, "Why mentally retarded audlts lose their jobs: Social competence as a factor in work adjustment," Applied Research in Mental Retardation, Vol.2, pp.23-38, 1981. 

  31. O. P. Kolstoe, "An examination of some characteristics which discriminate between employed and not employed mentally retarded males," American J. of Mental Deficiency, Vol.66, pp.472-482, 1961. 

  32. E. Howarth, J. R. Mann, H. Zhou, and S. McDermott, "What predicts re-employment after job loss for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J.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Vol.24, No.3, pp.183-189, 2006. 

  33. S. Ju, D. Zhang and J. Pacha, "Empolyability skills valued by employer as important for entry-level employee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Career Development for Exceptional Children, Vol.35, No.1, pp.29-38, 2012. 

  34. J. E. Martin, F. R. Rusch, T. Lagomarcino, and J. Chadsey-Rusch, "Comparison between workers who are nonhandicapped and mentally retarded: Why they lose their jobs," Applied Research in Mental Retardation, Vol.7, pp.467-474, 1986. 

  35. E. Howarth, J. R, Mann, H. Zhou, S. McDermott, and S. Butkus, "What predicts re-employment after job loss for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J.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Vol.24, pp.183-189, 2006. 

  36. P. Wehman, M. Hill, P. Goodall, P. Cleveland, V. Brooke, and J. H. Jr. Pentecoste, "Job placement and follow-up of moderately and severely handicapeped individuals after three years," J. of the Association for the Severely Handicapped, Vol.7, pp.5-16, 1982. 

  37. J. A. Cook and L. A. Razzano,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ersons with schizophrenia: Recent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Schizophrenia Bulletin, Vol.26, No.1, pp.87-103, 2000. 

  38. K. T. Mueser, M. P. Salyers, and P. R. Mueser, "A prospective analysis of work in schizophrenia," Schizophrenia Bulletin, Vol.27, pp.281-296, 2001. 

  39. C. Janis and B. Steve, "Social relationships in the workplace,"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Reviews, Vol.7, No.2, pp.128-133, 2001. 

  40. C. Y. Alverson, J. M. Naranjo, S. Yamamoto, and D. K. Unruh, "Methods for collecting postschool outcomes data on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A literature synthesis," Career Development for Exceptional Individuals, Vol.33, pp.155-164,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