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 모피패션에 나타난 미적특성에 관한 연구 - 1980년대 이후 Vogue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odern Fur Fashion - Focused on Vogue since the 1980s -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17 no.4, 2015년, pp.161 - 172  

황재윤 (부경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김정미 (부경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modern fur fashion were reviewed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shown in fur fash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Aesthetic characteristics shown in fur fashion between 1980s and 2000s are conspicuousness, sensuality, elegance, activity, h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피를 사용한 복식의 과거와 현대의 의미는 어떻게 다른가? 그리고 김영애(2012) 는 2001년부터 2011년까지 펜디 컬렉션을 살펴본 결과, 펜디의 모피패션에서는 엘레강스 이미지의 로맨티시즘・모던한 미니멀리즘・컨트리풍의 내추럴리즘・미래지향적 퓨처리즘이 나타났다고 하였다. 이들의 주장을 종합해보면, 모피를 사용한 복식은 과거 사회적 신분과 권위의 상징이었지만, 현대에 와서는 다양한 이미지를 표출하며 패션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모피패션에 관한 다양한 미적특성을 분석한 연구는 매우 미미한 실정으로 이에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폭스 모피는 어떤 색상이 있는가? 캐나다산이 최상품으로 실키한 감촉을 지녔다. 색상으로 순백색, 청색, 회갈색, 암갈색 등이 있으며(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1997), 털의 길이가 길고 조밀하며 광택이 우수하다(안병기, 2004). 또한 화이트폭스, 레드폭스등 종류가 다양하며 목도리나 코트 등에 주로 사용된다(패션큰사전 편찬위원회, 1999)
강다혜(2007)의 선행 연구에 따르면 현대 모피패션엔 어떤 이미지가 나타나는가? 한편 모피패션과 관련된 선행연구로는 염색 및 소재개발(안보연, 2005; 이오택 외, 2010), 체형 및 의복구성(이원섭, 2012; 김정하 외, 2008; 김지영, 2014), 상품기획 및 소비자 행동(서동민, 2013; 이수영, 2002; 김지영, 2014), 디자인 분석 및 개발에 관한 논문(임주희, 2009; 김영애, 2012; 이유형, 2009; 배미화, 2014; 박주영 외, 2002; 강다혜, 2007)등이 있다. 이 중 본 논문의 주제와 관련 있는 연구결과들을 살펴보면, 강다혜(2007)는 현대 모피패션에서 앤드로지너스 패션이미지・노스탈지아 패션이미지・하이브리드 패션이미지가 나타난다고 밝혔다. 그리고 김영애(2012) 는 2001년부터 2011년까지 펜디 컬렉션을 살펴본 결과, 펜디의 모피패션에서는 엘레강스 이미지의 로맨티시즘・모던한 미니멀리즘・컨트리풍의 내추럴리즘・미래지향적 퓨처리즘이 나타났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강다혜. (2007). 현대 모피 패션 디자인의 이미지 특성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준만. (2013). 교양영어사전2. 서울: 인물과사상사. 

  3. 고현진. (2003). 복식에 표현된 엘레강스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금기숙, 김민자, 김영인, 김윤희, 박명희, 박민여, 배천범, 신혜순, 유혜영, 최해주. (2012). 현대패션 110년. 파주: 교문사. 

  5. 김민자, 최현숙, 김윤희, 하지수, 최수현, 고현진. (2010). 서양패션 멀티콘텐츠. 파주: 교문사. 

  6. 김민자. (2013). 복식미학. 파주: 교문사. 

  7. 김지영. (2014). 밍크 모피 제품의 소모량 산출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2), 177-188. 

  8. 김지영. (2014). 모피의류의 상품화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3), 135-149. 

  9. 박선영. (2010. 8). 2010 F.W Trend Keywords. ALLURE, 자료 검색일 2015. 5. 12, 자료출처 http://www.allurekorea.com/content/view_03.asp?menu_id 

  10. 박선영. (2013). 현대패션에 나타난 그로테스크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변미연, 이인성. (2006). 장 폴 고티에 의상디자인에 나타난 관능미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8(2), 37-45. 

  12. 신상옥. (2006). 서양복식사. 서울: 수학사. 

  13. 안병기. (2004). 피복재료학. 서울: 경춘사. 

  14. 이유형. (2009). 모피 패션을 위한 디자인 개발.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원형. (2015. 8. 7). 램.스포티.블루 3박자 모피 뜬다. 한국섬유신문, 자료 검색일 2015. 5. 12, 자료출처 http://www.ktnews.com/sub/view.php?cd_news95181 

  16. 이정은, 신혜영, 이인성. (2015). 현대패션에 나타난 스포티즘 디자인 특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1(2), 529-541. 

  17. 임주희. (2009). 모피패션 디자인 기획 모형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정세연. (2011). 하이브리드 모피 브랜드 플래닝 : Faux fur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정흥숙. (1997).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20. 최인려, 방혜경, 정은주, 안현숙, 김월숙. (2007). 패션 소재와 봉제. 서울: 교문사. 

  21. 파멜라 댄지거. (2006). 매스티지 마케팅 (최기철 역). 서울: 미래의창. (원저 2005 출판) 

  22. 패션큰사전 편찬위원회. (1999). 패션큰사전. 서울: 교문사. 

  23. 편집부. (1997). FASHION전문 자료사전. 서울: 한국 사전연구사. 

  24. 한국모피제품 공업협동조합. http://www.kfic.kr/main/ 

  25. 한넬로레 에베를레. (2000). 의류과학과 패션 (금기숙 역). 서울: 교문사. 

  26. 한수연(2005). 현대패션에 표현된 글래머 룩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Calasibetta. (2006). 페어차일드 패션 대사전 (박기완 역). 서울: 노라노. (원저 2002 출판) 

  28. James Cochrane. (2011. 11). 이번 시즌 모피 핫 키워드 4. VOGUE GIRL, 자료 검색일 2015. 5. 12, 자료출처 http://www.voguegirl.co.kr/content/view_03 

  29. Mendes, V. & Haye, A. (2009). 20세기 패션 (김정은 역). 서울: 시공아트. (원저 1999 출판)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