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 효소 가수분해물 첨가가 밀가루 반죽과 제빵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zymatic Hydrolysate of Laver Pyropia on the Dough and Bread Making Properties of Wheat Flour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7 no.2 = no.74, 2015년, pp.467 - 475  

유정희 (군산대학교) ,  구재근 (군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김을 첨가한 빵의 제빵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페이스트 상의 김 가수분해물의 첨가가 반죽 및 제빵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김 가수분해물 제조 조건 설정을 위해 김 분말에 5배량의 물을 넣고 0.5% Flavouzyme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첨가하여 $50^{\circ}C$에서 가수분해 시간을 달리하면서 가수분해물을 제조한 후 제빵성을 측정하였다. 효소 가수분해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제빵성이 증가하였으며 가장 제빵성이 우수한 9시간 가수분해한 김 가수분해물은 수분 86.0 %, 단백질 6.5%, 회분 2.6%, 총 식이섬유 3.9%, 아미노산성 질소 0.8%, pH 5.72, 명도 37.88, 점성은 Pas 388.5로서 유동성 반 액체 상태였다. 김 가수분해물 첨가량에 따른 반죽의 발효 특성을 조사한 결과 8% 구운 김 분말 첨가에 상당하는 김 가수분해물을 첨가한 시료의 가스 발생율, 가스 보유율및 반죽 물성이 분말 김 첨가와 대조구보다 우수하였고 제빵 품질이 개선되었다. 또한 반죽의 반죽형성시간은 대조구나 구운 김 첨가 반죽보다 발효시간이 짧아 short time dough 공정이 유효하였으며 glucose oxidase 효소를 첨가하거나 HPMC와 CMC 친수성 검류를 첨가할 경우 제빵성이 더욱 개선되었고 이들을 복합적으로 활용할 경우 더욱 상승효과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replacement of wheat flour with laver, Pyropia yezoensis, on the bread making proper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ere evaluated. The poor baking performance which arose from dried laver addition could be compensated by using exogenous enzymes (Flavouzyme) and baking ai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김을 첨가한 빵의 제빵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페이스트 상의 김 가수분해물의 첨가가 반죽 및 제빵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김 가수분해물 제조 조건 설정을 위해 김 분말에 5배량의 물을 넣고 0.
  • 그러나 국내의 김을 이용한 식품 생산량은 마른 김과 조미 김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다른 가공 식품으로의 활용은 매우 낮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 다소비 식품 중의 하나인 빵에 김을 첨가하여 식이섬유의 함량이 높은 건강 기능성 빵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빵을 제조할 때 밀가루에 식이섬유의 첨가 비율이 높을수록 글루텐이 상대적으로 희석되는 반면 식이섬유 함량이 증가하여 빵 품질이 저하된다.
  • 김 역시 식이섬유 함량이 높아 제빵 가공 적성이 나빠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김의 제빵 가공 적성을 개선하여 김을 첨가한 우수한 품질의 빵을 개발하기 위해서 우선 마른 김을 단백질 분해효소로 처리하여 김 가수 분해물을 제조한 후 김 가수 분해물의 첨가가 반죽 및 제빵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3) The crumb grain of optimally oxidized bread has a large number of elongated cells. In bread that is underoxidized, crumb grain has many small round cell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빵의 부피는 무엇으로 측정하였는가? 빵의 부피는 종자 치환법(AACC, 2000)으로 측정하였으며, 빵의 무게와 비용적(mL/g)율, 굽기손실율(%)은 굽기 전 반죽무게와 구운 후 무게의 중량 차이를 %로 나타내었다. 빵의 물성은 rheometer(Sun rheometer compact 100, Japan)를 사용하여 점착성, 경도, 응집성, 탄력성 등을 측정하였다.
porphyran은 어떤 효능을 갖고 있는가? , 2007). 또한 김의 수용성 식이섬유의 주요 성분인 porphyran은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활성(Lee et al., 2010), 항산화 활성(Zhang et al., 2004) 및 항종양 활성(Noda et al., 1989)이 보고되어 있고, 김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항고혈압 작용(Kim et al., 2005)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김은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도 높다.
빵에 김을 첨가하여 빵을 만드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국민 다소비 식품 중의 하나인 빵에 김을 첨가하여 식이섬유의 함량이 높은 건강 기능성 빵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빵을 제조할 때 밀가루에 식이섬유의 첨가 비율이 높을수록 글루텐이 상대적으로 희석되는 반면 식이섬유 함량이 증가하여 빵 품질이 저하된다. 김 역시 식이섬유 함량이 높아 제빵 가공 적성이 나빠질 것으로 예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OAC.(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16th. Ed. 

  2. AACC(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10th ed. AACC. St. Paul. MN. 

  3. Barcenas, M. E. & Rosell, C. M.(2005). Effect of HPMC addition on microstructure, quality and aging of wheat bread, Food Hydrocolloids 19, 1037-1047. 

  4. Dawczynski, C..Schubert, R. and Jahreis, G.(2007). Amino acids, fatty acids, and dietary fibre in edible seaweed products. Food Chemistry 103, 891-899. 

  5. Gang, Z..Ellis, P. R. and Schofield, J. D.(1995). Gas cell stabilization and gas retention in wheat bread dough, J. of Cereal Sci 21, 215-230. 

  6. Kang, M.Y..Choi, Y. H. and Choi, H. C.(1997). Interrelation betwee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illed rice and retrogadation of rice bread during cold storage. Journal of Korean Soc. Food Sci. Nutri 26(5), 886-891. 

  7. Kim, K. T..Choi, A. R..Lee, K. S..Joung, Y. M. and Lee, K. Y.(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made from domestic Korean wheat containing Cactus Chounnyuncho (Opuntia humifusa)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3(4), 61-468. 

  8. Kyung, J. H. and Lee, M. K.(2003). Trends in technology of bakery, Food Sci. and Industry 36(4), 13-17. 

  9. Katina, K.(2003). High-fibre baking, P 487. in Bread making cauvain S.P. (ed) CRC press. 

  10. Kim, Y. M..Do, J. R..In, J. P. and Park, J. H.(2005). Angiotensio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ion activities of laver (Porphyra tenera) protein hydrolysates. Korean J Food & Nutr 18, 11-18. 

  11. Kim, B. R..Choi, Y. S. and Lee, S. Y.(2000). Study on bread-making quality with mixture of buckwheat-wheat flour. Journal of Korean Soc. Food Sci. Nutri 29(2), 241-247. 

  12.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2013). Retrieved from http://kosis.kr. 

  13. Kohara, T.(1982). Handbook of food analysis. Kenpakusha, Tokyo, 51-55. 

  14. Lee, J. S..Lee, M. H. and Koo, J. G.(2010). Effects of porphyran and insoluble dietary fiber isolated from laver, Porphyra yezoensi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diet. Korean J Food & Nutr 23, 562-569. 

  15. Noda, H..Amano, H..Arashima, K. and Nisizawa, K.(1989). Antitumour activity of polysaccharides and lipids from marine algae. Nippon Suisan Gakkaishi 55, 1265-1271. 

  16. Shin, D. M..An, S. R..In, S. K. and Koo, J. G. (2013). Seasonal variation in dietary fiber, amino acid and Fatty acid contents of Porphyra yezoensis. Kor J Fish Aquat Sci 46(4), 337-342. 

  17. Sosulski, F. and Wu, K.(1998). High fiber breads containing field pea hulls, wheat, corn, and wild oat brans, Cereal Chem 65, 86-191. 

  18. Vonulapalli, V.. Miller, K. A. and Hoseney, R.C. (1998). Glucose oxidase in breadmaking systems, Cereal Chem 75(4) 439-442. 

  19. Wang, J..Rosell, C. M. and Barber, C. B.(2002). Effect of the addition of different fibres on wheat dough performance and bread quality, Food Chemistry 79, 221-226. 

  20. Yi, J..Johnson, J. W. and Kerr, W. L.(2009). Properties of bread made from frozen dough containing waxy wheat flour, J. Cereal Sci 50, 364-369. 

  21. Zhang, Q..Li, N..Liu, X..Zhao, Z..Li, Z. and Xu, Z.(2004). The structure of a sulfated galactan from porphyra haitanensis and its in vivo antioxidant activity. Carbohyd Res 339, 105-1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