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만족도와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appiness and Satisfaction of Social Sustainability in Residential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6 no.2, 2015년, pp.57 - 66  

신화경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조인숙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appiness and satisfaction of social sustainability in residential environment. The data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method from October 29 to November 10, 2013, and the sample consisted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만족도와 주관적 행복감을 평가하여 이들의 관계를 파악하고,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만족도를 증진하여 주관적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행복감과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만족도를 평가하여 주관적 행복감을 높일 수있는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요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만족도와 주관적 행복감을 평가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주관적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만족도와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거주자의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요소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만족도와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 분석을 통해 거주자의 주관적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요소를 파악하였다.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주거환경의 물리적, 사회적, 관계적 측면 등의 다각적인 접근과 거주자의 인구학적 특성 및 주택특성을 고려한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련성 파악에 대한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면철거 재개발 방식은 어떤 문제를 발생시켰나? 1960년대 이후 도시화와 핵가족화로 인한 부족한 주택을 확보하기 위해 공동주택 중심의 전면철거 재개발이 이루어졌다(Hong & Chung, 2004; Yim, 2010). 전면철거 재개발 방식은 기존 커뮤니티의 사회경제적 연계망과 조직을 파괴하였으며, 주민들의 교류 단절 및 커뮤니티 의식의 약화와 심리적 고립감 등 사회적 문제를 발생하였다(Jo & Shin, 2010). 지속가능한 주거환경은 환경, 경제,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이중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개인이나 집단을 지탱해주는 믿음체계로 사회적 변화가 가져오는 충격을 완화하여 다양한 사회적 문제해결의 밑거름이 된다(Kim, 2008; Shin & Jo, 2013).
주거환경에서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어떤 긍정적 영향을 주는가?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다양한 거주자들간 문제를 해결하여 거주자간 바람직한 교류를 통해 커뮤니티 의식을 형성하고 거주자의 삶의 질 및 행복감을 높일 수 있다(Chan & Lee, 2008; Bramley and Power, 2009). 즉, 주거환경에서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주거환경 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 하여 그곳에 살고 있는 거주자들의 주관적 행복감 및 삶의 질 등을 높일 수 있다.
주거환경관련 정책에 따른 주거정책 패러다임의 변화는 어떤 이점을 주고 있는가? 이로 인해 과거 공급자 주도의 주거정책에서 거주자 중심의 주거복지정책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었다. 거주자 중심 주거복지정책의 일환으로 거주자간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그들의 주거환경에 대한 애착심을 높임으로써 사회적 으로 지속가능한 주거환경을 만들기 위해 살고 싶은 도시만들기, 주거공동체 만들기, 마을 만들기 등의 정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정책들은 거주자들간 교류 기회 제공과 커뮤니티 활성화를 지원하여 거주자의 삶의 질 및 행복감을 증진 시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Bramley, G. & Power, S. (2009). Urban form and Social sustainability: the role of density and housing type.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36. 30-48. 

  2. Committee on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2006). Making Livable Urban. Seoul: Jplusad. 

  3. CDI (2012). Policy direction for well-being index in Chungnam's residence (Strategy 2012-01). Gongju: CDI. 

  4. Cha, S. R. (1985). The Effect of Household and Housing Characteristic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Ehwa Univ., Seoul. 

  5. Chan, E. & Lee, G. K. (2008). Critical factors for improving social sustainability of urban renewal projec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85, 243-256. 

  6. Chun et al. (2011). Assessment and support of the apartment communnity. KRIHS. Seoul. 

  7. Dempsey et al. (2011). The social dimension of sustaniable development: defining urban social sustainability. Sustainable Development, 19, 289-300. 

  8. Hong, I. S. & Chung, J. Y. (2004). A study on the formation of Communities by Locality in the Urban Housing Complex. Proceeding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2), 27-30. 

  9. Hwang, S. Y. & Kim, K. B. (2007). A Design Proposal of Four Season Resort Based o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the New Urbanism as a Sustainable Urban Theory. Proceeding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1), 489-494. 

  10. Hyun, K. J. (2004), An Exploratory Study of Sources and Themes of Happiness among Koreans: A Longitudinal Approach. Mental Health & Social Work, 18, 60-140. 

  11. Jang, J. H. & Lee, I. H.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ommunity and Resident Self-Help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4(2), 15-26. 

  12. Jo, I. S. (2014).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ocial Sustainability in Residential Environment. Unpubulished Ph.D. Dissertaion, Sangmyung Univ., Seoul. 

  13. Jo, I. S. & Shin, H. K. (2010). A Stuty of the Evaluating Factors of the Community for the Planning of a Sustainable Housing Complex. Journal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21(1), 161-169. 

  14. Jung, E. U.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Married Women's Happiness: The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uality-Relatedness and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Unpubulished Ph.D. Dissertaion, Jeonnam Univ., Jeonnam. 

  15. Jung, T. S. (2011).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utdoor Advertisements to Reflect the Regional Identity.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Geong-gi Univ., Geonggi. 

  16. KCTI (2013). Fundamental study for Development of Leisure Happiness Index (Basic 2013-04). Seoul: KCTI. 

  17. KIHASA (2012). A study on developing mid and long-term social integration (KIHASA 2012-9). Sejong: KIHASA. 

  18. KRIHS (2000). Community-based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urban area (KRIHS 2000-22). Anyang: KRIHS. 

  19. Kim et al. (2006). An Analysis of Social Role and Happiness of Korean Middle-Aged Women.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6-207. 

  20. Kim, I. S. (2008). A Study on the Project for Improving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Cnsidering Sustainability. Unpubulished Ph.D. Dissertaion, Sangmyung Univ., Seoul. 

  21. Kim, M. G. (2013). A Study on the Influences on the Life Quality of Rental Housing Resideces Caused by the Community Spac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5(5), 127-136. 

  22. Kwon, S. W. (2008). A Study on the Evaluating Sustainable Clause and Indicator in the Redevelopment Promotion Area.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Hanyang Univ., Seoul. 

  23. Kwon, T. H. & Kim, T. Y. (1999). Preserving Historieal Cultural Environment for the Propulsion of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nd Competitiveness of Local Cities.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24(1), 105-126. 

  24. Lee, H. Y. (2012). Survey methodology. Seoul: Chungram. 

  25. Lee, J. E. (2013). The Effect of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y Ecological System Approach on the Adolescent's Happines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Yeungnam Univ., Yeungnam. 

  26. Liberman et al. (2009). Happiness and Memory. Emotion, Vol 9(5), 666-680. 

  27. Lim et al. (2011),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Life Quality of Tenants Living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Journal of the GR,I 13(2), 253-273. 

  28. Louis, W. (1938). Urbanism as a Way of Lif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44(1), 1-24. 

  29. Lyubomirsky, S. & Ross, L. (1997). Hedonic Consequences of Social Comparis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6), 1141-1157. 

  30. Lyubomirsky, S. & Tucker, K. (1998). Implication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Subjective Happiness for Perceiving, Interpreting, and Thinking about Life Events. Motivation and Emotion, 22(2), 155-186. 

  31. Lyubomirsky et al. (2011). The cognitive and hedonic costs of dwelling on achievement-related negative experiences: Implications for enduring happiness and unhappiness. Emotion, 11(5), 1152-1167. 

  32. Oh, Y. H. (2014). We can be happy?. Seoul: Ohmybook. 

  33. Park, S. S. (2011). A Compari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New Town Development Index.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Kangwon Univ., Gyeong-gi. 

  34. Polese, M. & Stren, R. (2000). The Social Sustainability of Cities: Diversity and the Management of Chang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Toronto. 

  35. Putman, R. (2009). Bowling Alone. Seoul: Paperroad. 

  36. Schwartz et al. (2002). Maximizing versus satisficing: Happiness is a matter of choi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3(5), 1178-1197. 

  37. Seo, B. K. (2014). Social Cohesion of Public Rental Housing Residents in Seoul. Journal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25(2), 45-54. 

  38. Seo, J. A. (2013).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and Social Expenditure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Adolescents. Unpubulished Ph.D. Dissertaion, Seoul Univ., Seoul. 

  39. Shin et al. (2011). A Case Study on the Residents' Sense of Community and the Needs and Satisfaction of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9(1), 83-93. 

  40. Shin, H. K. & Jo, I. S. (2013).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Indicator of the Social Sustainability in the Housing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24(2), 11-24. 

  41. SI (2014). Fundamental study for Development of Leisure Happiness Index (2013-OR-57). Seoul: SI. 

  42. Stiglitz et al. (2011). Mismeasuring Our Lives. Paju: Dongnyok. 

  43. Veenhoven, R. (2007). Measure of Gross National Happiness. Presentation at OECD World Forum on Statistics, Knowledge and Policy, 27-30. Turkey. 

  44. Woodcraft, S. (2012). Social Sustainability and New Communities.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68, 29-42. 

  45. Yim, Y. S. (2010). Communal Space Planning in Korean Apartment Complexes for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Unpubulished Ph.D. Dissertaion, Seoul Univ., Seoul. 

  46. Yoon, I. (2011). An evolutionary psychological study for happy spatial culture design. Unpubulished Ph.D. Dissertaion, Hongik Univ.,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