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용업 종사자의 작업환경과 보건·안전 의식 분석
Aanalysis o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health·safety awareness of beauty work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3, 2015년, pp.1725 - 1731  

주명원 (서경대학교 대학원 미용예술학과) ,  김성남 (서경대학교 미용예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용종사자들이 미용작업장 환경에서 접할 수 있는 건강 위해 요인와 미용작업장 내의 사고와 사건을 예방할 수 있는 위험성평가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종사자의 보건 안전 의식을 세부적으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대상자의 약 60%가 피부계, 호흡계, 근육계의 건강 위해 요인에 노출되어 작업을 하고 있었으며, 미용작업장 내에서 위험성 평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나, 이에 대한 실제 경험은 낮게 나타났다. 종사자의 근무 업종과 작업장 내의 위험성평가 실태에 따른 보건안전 의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미용작업장에 오가는 불특정 다수인과 종사자를 위한 보건 안전표준화 관리를 활성화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surveyed the health risk factors and risk assessments status preventing accidents and incidents in beauty workplaces. In addition, the health safety awareness technicality was categorized.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Beauty workers (about 60%) were exposed to health hazards reg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미용작업장 내에서는 생소할 수 있는 위험성평가를 사업주와 근로자가 필요성을 인지하게 된다면 미용 작업장 위험 요인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객뿐만 아니라 미용업 종사자의 건강을 지키면서 작업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위험성평가를 활용을 통해 높은 수준의 보건상태와 안전이 확보된 미용 작업장 환경 문화를 만들어 가는 것에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지금까지 미용작업장 내 보건과 안전을 주제로 한 연구에서는 업무 분야와 작업형태, 보건과 위생 교육의 실태를 분석한 연구가 대부분이다[4],[5],[6]. 본 연구에서는 실제 종사자가 어떠한 보건·안전 의식을 지니고 있는지를 주요적으로 분석하고, 사고와 재해 등을 미연에 방어해 줄 수 있는 위험성평가에 대한 인식 수준을 분석하고자 한다. 미용작업장 내에서는 생소할 수 있는 위험성평가를 사업주와 근로자가 필요성을 인지하게 된다면 미용 작업장 위험 요인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넷째, 연구대상자의 위험성평가에 대한 필요성 인지여부에 따라 보건·안전의식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둘째, 연구대상자의 근무업종에 따라 보건·안전 의식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셋째, 연구대상자의 미용작업장 내 위험성평가 실행여부에 따라 보건·안전의식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첫째, 연구대상자의 보건·안전 의식은 유형화되어 구분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고에서 위험성 평가 실태를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자 미용종사자 중 60%가 노출된 위해 요인은 무엇인가? 또한 종사자의 보건 안전 의식을 세부적으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대상자의 약 60%가 피부계, 호흡계, 근육계의 건강 위해 요인에 노출되어 작업을 하고 있었으며, 미용작업장 내에서 위험성 평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나, 이에 대한 실제 경험은 낮게 나타났다. 종사자의 근무 업종과 작업장 내의 위험성평가 실태에 따른 보건안전 의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미용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갖추어져야 할 것은 무엇이 있는가? 미용업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여 전신 즉, 피부와 모발, 손·발톱 등을 아름답게 유지하고 보호하며 나아가 그 상태를 긍정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피부, 헤어 및 두피, 메이크업, 네일에 관한 적절한 수기관리와 도구와 제품 등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업무를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미용업 종사자의 보건·안전 지식과 올바른 작업장 환경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져야 한다. 
미용업 종사자에게 따라오는 문제점은 무엇이 있는가? 한국노동조합총연맹에서 실시한 ‘뷰티서비스업 종사자의 산업안전보건 실태 조사’에 의하면 뷰티산업은 인적 서비스산업으로 각 업무별 육체적인 노동부하가 매우 크고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유해인자 등 작업 환경으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를 제기하였다[1]. 미용업 종사자는 전문직업인으로 정신적, 심리적 부담과 작업증가로 정신적, 신체적 피로가 누적되며, 반복적인 기구의 사용, 장시간 기립된 상태의 유지, 불균형적인 자세와 복잡한 장비와 도구의 사용으로 인하여 근골격계 자각증상을 호소하고 있다[2]. 따라서 미용업 종사자는 고객의 건강과 위생 부분을 주의하여 작업을 해야하며, 반복된 위해요소의 노출을 인지하여 가능한 위해요소로부터 자신의 몸을 보호하고 표준화 관리를 통하여 고객과 미용업무를 제공하는 근로자의 건강까지 유념하여 작업장 환경을 마련하고 개선하도록 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tus Survey for beauty service workers-It is urgent health protection measures for beauty workers", Statistical Press Release, 2011.12.09. 

  2. D. M. Kang, J. T. Lee, M. S. Kang, S. H. Park, S. H. Urm, S. J. Kim, K. W. Jeong, H. S. Shon, B. J. Park. "Prevalence on dermatologic, respiratory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hairdress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 11, No. 9, pp. 385-392, 1999. 

  3. S. Kim. "The activation of regulation policy measures based on risk analysis", Study report,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4, pp. 9-12, 2007. 

  4. M. J. Son. "Hair designer's sanitary recognition and sanitary behavior", Master's degree Yeungnam University. 2009. 

  5. S. H. Yoo. "Real state of cognition for safety and hygiene in nail salon, and analysis of nail treatment tools contaminated with microorganisms", Master's degree Seokyeong University. 2011. 

  6. E. S. Kwun, K. O. Shin. "A study on needs of estheticians' individual hygie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Vol. 20, No. 6, pp. 377-383, 2014. 

  7. M. A. Kwak, "Attitude study and pilot project performance evaluation of harmful risks self-control(risk assessment)". Study report.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pp.781-797., 2012 

  8. J. H. Kim, A Study on the pain characteristics of the hand parts and the factors related to grip and pinch strength among estheticians, Master's degree Daegu Hanny University. 2013. 

  9. I. A. Kim, C. N Kim, G. H. Hong, J. H. Hwang, S. Y. Choi, D. H. Kim, J. O. Kim, S. H. Yoo, J. M. Lim. "A survey on exposure risks, injury experiences and health problems of beauty industry workers". Study report.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pp.196-205., 2012. 

  10. K. J. Chai. "A Study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prevention in the skin beauty artists", The Korean society for aesthetics and cosmetology, Vol. 7, No. 4. pp. 73-85. 2009. 

  11. W. S. Choi, K. J. Min, "The Impact of Stress and Woking Environment on Occupation Satisfaction of Skin Care Experts"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semiannual part 2, pp.663-666. 2011. 

  12. D. S. Ko, D. I. Lee, T. S. Ko, "Changes in job stress, self-efficacy,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egre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for white-collar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6 pp. 2935-2944,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6.2935 

  13. H. J. Ko, A Study on some hairdressers' exposure to hazard material and their skin symptoms, Master's degree Korean University. 2012. 

  14. M. R. Song, "Air pollutants and personal exposure of beauty shops in kwangju metropolitan city", Master's degree Kwangju women's University. 2004. 

  15. S. Y. Choi, K. K. Hur, D. H. Park, "Level for Beauty Product Safety of Beauty Industry Employe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 14, No 4, pp. 59-69, 2012. 

  16. J. A. Cho, "A Study on the Working Safety Recognition and Chemical Hazard Recognition", J. Kor. Soc. Cosm., Vol. 13, No. 3, pp.1028-1039,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