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아교사와 유아교사 간의 인식 비교를 통한 효율적인 상호작용과 수업역량 강화에 대한 방안 연구
A study on Strategies for enhancement of Effective Children-Teacher Interaction and Teacher's Teaching Capacity through Recognition Comparison between Nursery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3, 2015년, pp.1785 - 1794  

박지영 (서정대학교 유아교육과) ,  한상길 (서정대학교 유아교육과) ,  서의정 (서정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효율적인 상호작용과 수업역량 강화 요소에 대한 영유아교사 간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Y지역에 근무하는 영유아교사 143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고, 차이검증을 위해 ${\chi}^2$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영유아-교사의 효율적인 상호작용에 대해 영유아 교사 모두 경청과 놀이를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영아교사는 스킨십과 칭찬을 강조한 데 비해 유아교사는 발문과 칭찬을 통한 상호작용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교수방법도 영아교사는 놀이를 비중 있게 여겼으나 유아교사는 설명, 협동의 중요성도 인식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평가방법에 대한 인식도 영아교사는 자기평가를 우선시하였고 유아교사는 관찰일지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수업역량 강화 요소에 대해 영아교사는 관찰기록을 흥미나 욕구 파악, 발달 분석에 활용해야 하고, 체계적인 수업 계획 및 평가를 중심으로 교수법이 개선되어야 하며 수업자료 구입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여겼다. 이에 비해 유아교사는 교수 계획, 발달 분석에 활용해야 하고 진학이나 교육관련 모임 참여를 통해 교수법이 개선되어야 하며 장학평가 등을 통한 포상금 지급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nursery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in their perception on key elements of effective interactions and enhanced teaching competence.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143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Y region of Gyeonggi-do. The coll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효율적인 상호작용과 수업역량 강화 요소에 대한 현직교사들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를 관련이론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사의 상호작용과 수업역량에 관한 이론적 준거를 도출하기 위해 문헌[11,14,18,26,27]들을 고찰하였고, 상호작용과 수업역량에 관해 공통적으로 담고 있는 요소들을 추출하여 연구도구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에 의해 설문지를 재구성하였으며 2회에 걸쳐 내용타당도를 유아교육전문가 2인에게 검증받았다.
  • 영아와 유아의 발달은 연속성을 지니고 있으나 세부적인 발달 특징에 기초하여 교사가 환경요인으로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전반적으로 영유아-교사의 효율적인 상호작용과 수업역량 강화 요소로 현장교사들이 어떤 것을 중요하게 여기고 요구하는지 알아보고, 개선점을 찾아가는 데 연구 목적을 두고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효율적인 상호작용에 대한 영아교사와 유아교사 인식은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영유아-교사의 수업역량 강화 요소에 대한 영아교사와 유아교사 인식은 차이를 보이는가?

가설 설정

  • 이에 본 연구는 전반적으로 영유아-교사의 효율적인 상호작용과 수업역량 강화 요소로 현장교사들이 어떤 것을 중요하게 여기고 요구하는지 알아보고, 개선점을 찾아가는 데 연구 목적을 두고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효율적인 상호작용에 대한 영아교사와 유아교사 인식은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영유아-교사의 수업역량 강화 요소에 대한 영아교사와 유아교사 인식은 차이를 보이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유아기의 발달 특징은? 영유아기는 교사를 통해 성격 형성, 전인발달에 영향을 받는다[1]. 교사의 교육신념, 전문성, 교수능력과 같은 변인들은 영유아에게 직접적인 영향요인이 될 수 있으며 성장과 발달의 중요한 지원 요소로 작용한다.
영유아 교사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는 배경은? 이를 위해 영유아 교사의 역할은 연령과 그에 따른 발달의 차이를 이해해야 하며, 발달에 적합한 실제를 고려하는 융통성이 필요하다. 특히, 맞벌이 증가와 부모 양육 책임이 유아 교육기관으로 이완되는 등 사회적 변화에 따라 영유아와 교사 간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때문에 교사는 물리적 환경이나 영유아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영유아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은? 교사의 교육신념, 전문성, 교수능력과 같은 변인들은 영유아에게 직접적인 영향요인이 될 수 있으며 성장과 발달의 중요한 지원 요소로 작용한다. 이를 위해 영유아 교사의 역할은 연령과 그에 따른 발달의 차이를 이해해야 하며, 발달에 적합한 실제를 고려하는 융통성이 필요하다. 특히, 맞벌이 증가와 부모 양육 책임이 유아 교육기관으로 이완되는 등 사회적 변화에 따라 영유아와 교사 간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때문에 교사는 물리적 환경이나 영유아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Yang, B. K. Study on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youngahban. The Graduate school of Kukmin National University. 2006. 

  2. Beosen, C. K. Teacher stress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s predictor of teacher,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Virginia, Charlottesville. 1998. 

  3. Scottish, O. Early education and childcare plans 2001-2001. HMS: Edinburgh. 2001. 

  4. Min, S. L. Game room behavior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type of child care teacher language.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1994. 

  5. Choi, M. S. A study on young children's play behavior. The Graduate school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992. 

  6. Choi, S. H. Relationship between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and maladjustment behaviors.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Kyonggi University. 2008. 

  7. Gil, H. J. & Kim, S. Y. Influences of teachers' acceptance and response, and verbal interactions with children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3(2), 39-52. 2014. 

  8. Kwon, H. W. A study on needs analysis of to develop job competency of newly employ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4(2), 115-134. 2011. 

  9. So, K. H. Competency' in the Context of Schooling : It's Meaning and Curricular Implication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5(3), 1-21. 2007. DOI: http://dx.doi.org/10.15708/kscs.25.3.200709.001 

  10. Chappel, M., & Nye, S. Nevada' core knowledge areas and core competencies for early care and education professionals. Reno, NV: The Nevada Registry. 2007. 

  11. Park, E. H., Kim, S. Y., Kim, H. J., Kim, H. T., Park, J. S., Lee, D. G., Lee, H. G., Cho, B. G., Cho, H. S., Hwang, H. I., Kim, M. S., Kim, E. Y. Infrastructure Project Advancement Childhood Education 5. Kindergarten teacher training and recruitment system improvements. Seoul: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0. 

  12. Shin, E. S., Park, E. H., Cho, W. J., Lee, K. M., You, Y. E., Lee, J. W., & Lee, B. H. The Development of Korean Kindergarten Teacher Core Competencies -An Explorative Study. The Journal of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5), 203-226. 2011. 

  13. Sung, B. C., Boo, J. Y., Han, K. I., & Lee, K. H. Perception of Education Community about Teacher's Competency.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1(1), 78-95. 2009. 

  14. Cho, W. J., Choi, I. S., & Kim, E. Y. A Portfolio Model and Assessment Criteria for Kindergarten Teachers. The Journa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 28(1), 37-63. 2011. 

  15. Machado, J. M., & Meyer, H. C. Early childhood practicum guide. Albany, NY: Delmar Publishers Inc. 1997. 

  16. Kang, S. C. Class professional development model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2008 Class expertise in process improvement job training materials. Seoul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2008. 

  17. Cho, K. J., Kim. D. K., & Kim, M. S. An Perspective study on the Conditions of Good Teaching -Based on the 5Good Requisite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4(4), 325-350. 2011. 

  18. Hang, J. H. & Lee, J. H. Recognition for good teaching elements preliminary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ppeared to mock classe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9(4), 47-67. 2012. 

  19. Murphy, K., Lee Ann M. & Edwards. M. The Good Teacher and Good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72(2), 69-92. 2004. DOI: http://dx.doi.org/10.3200/JEXE.72.2.69-92 

  20. Lee, Y. Y. The professionalism of preschool teachers based on Katz's teacher developmental stages.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2001. 

  21. Lee, K. M. & Eom, E. N.Kindergarten Teachers' Expectations and Self-Assessmen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Qualities - Focusing 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grade kindergarten teachers' qualification training. The Journal of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9(4), 133-152. 2005. 

  22. Sim, Y. H. & Sung, S. Y. The Differences of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About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Role-Performance.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22(2), 121-138. 2013. 

  23. O, S. Y. & Kang, B. J.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perception and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levels of the educational belief of children-centered.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6(2), 69-93. 2001. 

  24. Cho, S. Y.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14(1), 69-79. 2005. 

  25. Min, H. Y. & Yoon, M. J.According to the Age a Study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Childcare Teacher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8(3), 147-168. 2011. 

  26. Park, H. K.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for core competency.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6(6), 189-211. 2012. 

  27. Lee, H. K. & Kim, S. S. Developing Early - Childhood Teachers' Role Q - set. 4(10), 27-54. 2000. 

  28. Park, E. H. Young Children Teacher theory. Seoul: Changjisa. 2009. 

  29. Seo, G. S. A Study on Meaning of Two-year-ol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During the Interaction with Their Teacher. The Journal of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67(-), 93-118. 2011. 

  30. Ha J. Y. & Seo, S. J.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on Infants' Interactions with Child Care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6(2), 109-140. 2011. 

  31. Heritage, M., & Heritage, J. Teacher questioning: The epicenter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Applied Measurement in Education, 26, 176-190. 2013. DOI: http://dx.doi.org/10.1080/08957347.2013.793190 

  32. Kim, J. H. & Lee, J. H. Toddlers' Block Play, its Characteristics and Values based on Play Contents and Social Interaction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 97-124. 2013. 

  33. Yoo, Y. O. A Study of Teachers'' Verbal Interactions and Infant's Play in Play Activities. The Journal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11(1), 45-65. 2012. 

  34. Lee, S. H. & Lee, S. Y. An Analysis of Infant-Teacher Interactions and Teachers' Sensitivity During Free Play Time in One-year-old Classrooms. The Journa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 28(1), 163-189. 2011. 

  35. Bae, I. J. An analysis of children's engagement behavior and teachers' linguistic behavior by type of group activity in program of 5 years' class.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5(2), 91-112. 2009. 

  36. Yoo, S. K., Lee, Y. S. & Shon, Y. J. The Research on Kindergarten Teachers' Classroom Discourse Strategy for Maintaining their Class during The Large Group Discussi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2), 249-272. 2007. 

  37. Jingxia, L. Teacher questioning strategies. Modern English Teacher, 18(2), 60-63. 2009. 

  38. Cho, H. J. & Kim, N. S. The relationships between toddlers' social-cognitive play behaviors and the environmental variables of play materials and teachers' interactio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7(1), 199-219. 2007. 

  39. Hur, M. 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thinking disposition of preschool teachers and their questioning.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2(2), 233-257. 2008. 

  40. Song, J. A. & Jang, J. S. A Study of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Role Conflicts on their Role Performance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2(3), 229-249. 2008. 

  41. Jeong, S. M. The performance of professional role of infant care teachers.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Kyonggi University. 2009. 

  42. Kim, H. S. A study on the teacher's cognition of infant/toddler program in day care center. The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2002. 

  43. Kim, H. J. & Cho, B. H. The Study on Constructing Child Care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Enhancing Infant-Teacher Interaction and Analyzing Its Effects.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18(6), 1221-1235. 2009. 

  44. Ma, H. J. & Lee, J. W. The development of a model in-service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infant and toddler teacher's emotional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4(3), 111-133.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