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저널리즘의 추천기사가 뉴스 이용자의 뉴스기사 선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Recommendation Story in Online Journalism on the User's News Selec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3, 2015년, pp.1795 - 1805  

박광순 (청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안종묵 (청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온라인 저널리즘의 추천기사가 대학생들의 뉴스기사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두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하나는 추천기사이고, 다른 하나는 이들 뉴스기사의 배치순위와 이용지수이다. 분석결과 11개의 추천기사 유형 중 7개 유형은 뉴스기사 선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4개 유형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기사 선택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추천기사 유형의 대부분은 댓글이나 SNS의 트윗과 관련된 것들이다. 또한 뉴스기사 및 검색어 배치순위는 뉴스기사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용지수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뉴스기사 이용시간과 추천기사 유형 간 그리고 추천기사 유형 간 상관관계는 대부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뉴스기사 게재위치와 온라인 저널리즘의 추천기사와 같은 형식적 요인은 뉴스기사 헤드라인과 검색어 등의 내용과 더불어 뉴스 이용자들의 뉴스기사 선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nalyzed the recommendation stories in the online journalism on the user's news choice by college students in two ways. One way is recommendation stories, and the other one is their arrangement and the index of use.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7 out of 11 types of recommendation s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온라인 저널리즘의 추천기사 유형은 다양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유형에서 제시되고 있는 뉴스기사에는 순위 또는 이용지수가 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추천기사 유형과 이들 뉴스기사에 표기된 순위 및 이용지수 등은 뉴스기사 이용자들의 뉴스기사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터넷의 중요한 정보나 뉴스기사의 중요성은 전세계의 이용자들에게 동일하지 않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대부분의 포털이 뉴스기사를 서비스하는 방식과 특징은 무엇인가? 국내 대부분의 포털도 언론사닷컴의 뉴스기사를 서비스하고 있으며, 서비스 방식은두 가지로 구분된다. 다음과 네이트는 뉴스캐스트 방식이며, 네이버는 뉴스스탠드 방식이다. 뉴스캐스트 방식은 여러 언론사들의 뉴스기사를 포털사이트 자체에 의해 선택된 뉴스기사를 개별기사 단위로 제공하는 방식이며, 뉴스스탠드 방식은 포털사이트에 제공되는 언론사닷컴의 뉴스기사를 해당언론사 사이트로 이동하여 언론사 단위로 이용하는 방식이다.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인터넷은 어떠한 물리적 장벽에 제한을 받지 않는 개방적 네트워크[1]로서 가장 일반적인 서비스 중 하나는 시사사건에 관한 뉴스와 정보를 공급하는 것이다[2]. 또한 인터넷은 전세계의 다양한 소스(source)들로부터 나오는 실시간 정보에 대하여 빠른 접근을 가능케 하기 때문에 온라인 뉴스기사에 호감을 갖는 것은 유망한 연구 방향이 되었으며, 구글과 야후 뉴스 등에서의 뉴스기사 추천은 주요 콘텐츠 제공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가 되고 있다[3].
인터넷의 특징은 무엇인가? 인터넷은 어떠한 물리적 장벽에 제한을 받지 않는 개방적 네트워크[1]로서 가장 일반적인 서비스 중 하나는 시사사건에 관한 뉴스와 정보를 공급하는 것이다[2]. 또한 인터넷은 전세계의 다양한 소스(source)들로부터 나오는 실시간 정보에 대하여 빠른 접근을 가능케 하기 때문에 온라인 뉴스기사에 호감을 갖는 것은 유망한 연구 방향이 되었으며, 구글과 야후 뉴스 등에서의 뉴스기사 추천은 주요 콘텐츠 제공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가 되고 있다[3]. 국내 대부분의 포털도 언론사닷컴의 뉴스기사를 서비스하고 있으며, 서비스 방식은두 가지로 구분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T. K. Chang, I. Himelboim, and D. Dong, "Open Global networks, Closed International Flows: World System and political Economy of Hyperlinks in Cyberspac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Gazette, Vol.71, No.3, pp. 137-159. DOI: http://dx.doi.org/10.1177/1748048508100910 

  2. F. Moore, "Telling it Like it is: news websites and newspaper", Global Network, 2(2), pp. 171-177, 2002. DOI: http://dx.doi.org/10.1111/1471-0374.00034 

  3. L. Zheng, L. Li, W. Hong, T. Li, "PENETRATE: Personalized news recommendation using ensemble hierarchical clustering", Expert System with Application, 40, pp .2127-2136, 2013. 

  4. http://www.kaa.or.kr/k/mag/2014/01_02/kaa0102_09.pdf 

  5. K. Wise, P. D. Bolls, and S. R. Schaefer, "Choosing and Reading Online News: How Available Choice Affects Cognitive Processing",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52, No.1, pp. 69-85, 2008. DOI: http://dx.doi.org/10.1080/08838150701820858 

  6. T. S. Auh, H. D. Kang, C. H. Choe, J. H. Ahn, New Media in the Information Society, p.128, Seoul, 2009. 

  7. S. Knobloch-Westerwick, N. Aharma, D. L. Hansen, and S. Alter, "Impact of Popularity Indications on Reagers' Selective Exposure to Online New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9(3), pp. 296-313, 2005. DOI: http://dx.doi.org/10.1207/s15506878jobem4903_3 

  8. M. J. Choi, W. G. Kim, "A Study of the Agenda Setting Function of News Service at the Web Portal Site", "Korea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0(4), pp. 437-463, 2006. 

  9. J. Y. Oh, S. G. Park, "The Effects of Search Engine Credibility and Information Ranking on Search Behavior", "Korea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3(6), pp. 26-49, 2009. 

  10. J. A. Yang, "News Story Salience and Users' Selective Exposure - Effects of Popularity on Online News Exposure, Korea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5(2), pp. 77-117, 2011. 

  11. C. Y. Wei, M. B. Evans, M. Eliot, J. Barrick, B. Maust, and J. H. Spyridakis, "Influencing web-browsing behavior with intriguing and information hyperlink wording",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1(5), pp. 433-445, 2005. DOI: http://dx.doi.org/10.1177/0165551505055703 

  12. F. L. Gall, "Exponential Separation of Quantum and Classical Online Space Complexity", Theory Comput Syst, 45, pp. 188-202, 2009. DOI: http://dx.doi.org/10.1007/s00224-007-9097-3 

  13. K. W. Park, "The Change of Newspaper since the Mid 1980s in korea : Focusing upon Chosun Ilbo and Dong-A Ilbo(1984-2006)", "Korea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2(4), pp. 278-298, 2008. 

  14. M. O. Kwon, "News Value Difference Between Internet Newspaper and Newspaper",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2), pp. 14-34, 2003. 

  15. N. J. Choi, "A Study on the Structure of Qeb Design and Types of Information Transmission in the korea Internet Newspaper", Korea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4(1), pp. 441-467, 1999. 

  16. H. S. Yu, "Effects of Headline and Exemplars on Newsworthiness and Readers' Issue Perception", Korea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3(5), pp. 176-198, 2009. 

  17. K. S. Park,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he Editorial Elements of Portal News Section on the News User's Choice of Article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5), pp. 2087-2095,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5.2087 

  18. S. S. Joe, "The Effects of Headline & Leadline in the Online Newspaper", Korea of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9(2), pp. 5-32, 2005. 

  19. P. J. Boczkowski, E. Mitchelstein and M. Walter, "Convergence Across Divergence: Understanding the Gap in the Online News Choices of Journalists and Consumers in Western Europe and Latin America", Communication Research, 38(3), pp. 376-396, 2010. DOI: http://dx.doi.org/10.1177/0093650210384989 

  20. S. L. Sargent, "Image effects on selective exposure to computer-mediated news stories", Computer in Human Behavior, 23, pp. 705-726, 2007. DOI: http://dx.doi.org/10.1016/j.chb.2004.11.005 

  21. D. Zillmann, L. Chen, S. Knobloch-Westerwick, and C. Callison, "Effects of Lead Framing on Selective Exposure to Internet News Reports", Communication Research, 31(1), pp. 55-81, 2004. DOI: http://dx.doi.org/10.1177/0093650203260201 

  22. S. Knobloch-Westerwick, F. D. Carpentier, and D. Zillmann, "Effects of Salience Dimensions of Informational Utility on Selective Exposure to Online News",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80(1), pp. 91-108, 2003. DOI: http://dx.doi.org/10.1177/107769900308000107 

  23. S. Knobloch-Westerwick, F. D. Carpentier, A. Blumhoff and N. Nickel, "Selective Exposure Effects for Positive and Negative News: Testing the Robustness of the Information Utility Model", Journalism & Communication Quarterly, 82(1), pp. 181-195, 2005. DOI: http://dx.doi.org/10.1177/107769900508200112 

  24. S. Knobloch-Westerwick, S. Alter, "The Gender News Use Divide: Americans' Sex-Typed Selective Exposure to Online News Topics", Journal of Communication, 57, pp. 739-758. 2007. DOI: http://dx.doi.org/10.1111/j.1460-2466.2007.00366.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