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home environment of fathers and creative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3, 2015년, pp.1844 - 1852  

김형재 (구미대학교 유아교육과) ,  구성수 (구미대학교 유아교육과) ,  이경철 (서정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의 관계에서 그들의 정서지능매개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에 위치한 6곳의 어린이집에 재학 중인 유아들로, 4세 85명(남아 45명, 여아 40명), 5세 140명(남아 69명, 여아 71명), 전체 225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유아의 정서지능은 창의적 인성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에서 그들의 정서지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으며, 간접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유아의 창의적 인성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유아기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이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며, 이때 유아의 정서지능은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의 영향력을 완화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t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5 young children from daycare center in Busa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넷째, 본 연구는 창의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에 대해 전체 점수만을 양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이에 후속연구에서는 각 변인의 하위요인이 어떠한지를 구조방식을 통해 구체적으로 분석하거나 이러한 경로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 따라서 유아기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정서지능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이상의 논의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4,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개인적 측면으로 최근 창의적 인성과 함께 유아기에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정서지능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유아기에 있어 중요한 창의적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아버지의 창의적 환경을 포함하여 유아기 정서지능에 대한 중요성을 증명할 수 있으며, 유아를 위한 창의적 인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시 정서지능을 활용하는 등 근거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유아기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선행연구[50]가 제시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들이 제안한 인과관계 분석모델은 매개변수가 실제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 첫째, 본 연구는 부산시 4, 5세 유아만을 대상으로 창의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횡단연구이다. 따라서 이를 일반화시키기 위해서는 모집단을 전국적으로 확대시키고 종단연구로 창의적 가정환경과 개인의 심리내적 변인인 정서지능과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의적 가정환경 검사도구의 종류와 특징은 무엇인가? 첫째, ‘아동 존중’은 자녀의 의견을 듣고 가족 내에서 규칙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자녀에게 발언권을 주고, 가족의 결정과 규칙을 자녀에게 설명해주는 것이다[25]. 창의적인 자녀와 부모사이는 적대적이거나 소홀한 관계가 아닌 자유, 독립, 존중의 관계로 특징지어진다[26]. 즉, 창의적인 유아의 부모는 자녀를 개별적인 존재로서 존중하고 자녀의 능력과 독특함을 믿어주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부모의 자녀는 위험을 감수하며 독특한 존재가 되는 것에 대한 자신감을 발달시키게 된다. ‘풍부한 학습 환경’은 놀이를 가치 있게 생각하고, 유아에게 다양하고 풍부한 경험을 가지도록 기회를 제공하며, 부모가 창의적이고 융통성 있는 역할모델을 보여줌으로써 풍부한 학습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28,29]. 즉, 창의적인 가정에서는 흥미롭고 적극적이며 유능한 성인과 자주 접할 수 있도록 자녀의 창의성을 자극시키는 경향이 있다[27]. 셋째, ‘독립심 자극’은 유아가 탐구하며 실험하고 어떤 것을 결정하는데 자율성과 심리적 안정을 제공하며[25,30], 감정을 표현하게 하고, 그들로 하여금 새롭고 익숙하지 않은 생각에 대한 위험을 감수하게 함으로써[31], 독립심을 자극한다. 창의적인 유아의 가족은 자녀가 실수를 극복하고 고쳐나가는 것을 학습할 수 있도록 자유와 융통성을 통해서 확실한 이해를 가지고 그들 자녀의 실수를 받아들이며 독립심을 갖도록 격려하고 새롭고 익숙하지 않은 아이디어들에 대한 위험을 감수하도록 허락 하는 경향이 있으며, 성인의 이와 같은 경향성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을 촉진시킨다[19]. 넷째, ‘가족의 압력’은 “온실(hot housing)가족”에서 나온 개념으로, 그는 부모가 자녀에게 조기에 발달적으로 적합하지 못한 학문적 기술을 지도하는 것으로 압력을 줄 때 온실을 만든다[32].
유아교육학계에서는 창의성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최근 유아교육학계에서는 창의성을 개인의 성격, 동기, 정서와 같은 정의적 요인을 중시하는 창의적 인성을 통해 살펴보아야 한다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유아기는 위험을 기꺼이 감수하고 내적인 동기가 크며 호기심이 많은 등 창의적 인성 특성을 발달시키는 최적의 시기[1]라는 점에서 여러 연구자들은 창의성을 연구하데있어서 중요한 시기가 유아기임을 동의하고 있다[2].
유아기는 어떤 시기인가? 최근 유아교육학계에서는 창의성을 개인의 성격, 동기, 정서와 같은 정의적 요인을 중시하는 창의적 인성을 통해 살펴보아야 한다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유아기는 위험을 기꺼이 감수하고 내적인 동기가 크며 호기심이 많은 등 창의적 인성 특성을 발달시키는 최적의 시기[1]라는 점에서 여러 연구자들은 창의성을 연구하데있어서 중요한 시기가 유아기임을 동의하고 있다[2]. 특히 유아기 창의성은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3], 유아의 창의적 사고에 국한하여 측정할 것이 아니라 창의적 인성이나 동기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J. W. Choi & Y. S. Lee.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ity.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0(4), 139-172. 2003. 

  2. D. P. MacKinnon, J. L. Krull & C. M. Lockwood. Equivalence of the mediation, confounding and suppression effects. Prevention Science, Vol 1, pp. 173-181. 2000. DOI: http://dx.doi.org/10.1023/A:1026595011371 

  3. J. H. Mun & M J. D. Ha. Another Education, Creativity, Seoul: Hakjisa. 1999. DOI: http://dx.doi.org/10.11628/ksppe.2013.16.5.327 

  4. J. H. Yang.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ociodrama program for school life adjust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and it's effect. Hongik University In Press. 2005. DOI: http://dx.doi.org/10.16881/jss.2014.07.25.3.459 

  5. G. J. Feist.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on artistic and scientific creativity. In R. J. Sternberg(Ed.), Handbook of creativity. 273-296.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DOI: http://dx.doi.org/10.1017/cbo9780511807916.016 

  6. J. H. Hah.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ersonality scal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4(2), 187-210. 2000. DOI: http://dx.doi.org/10.15753/aje.2011.12.4.010 

  7. I. S. Song & H. S. Kim. An Exploratory Study of the Establishment of Concept on Creativi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3(3), 93-117. 1999. 

  8. M. Csikszentmihalyi. The creative personality. Psychology Today, 29(4), 36-40. 1996. DOI: http://dx.doi.org/10.1037/h0031106 

  9. M. Csikszentmihalyi. Implications of a system perspectives for the study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Ed.), Handbook of Creativity, 313-335.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0. H. Gardner. Multiple intelligences: The theory in practice. New York: Basic Books. 1993. 

  11. S. Y. Kim. A structur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creativity and mother's parenting variables. Yonsei University in Press. 2003. 

  12. Y. S. Jang & J. H. Cho (2010). The effects of parents'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home environment o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Culture Study, 16(2), 309-336. 

  13.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1). An investment theory of creativity and it's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49(3), 607-627. 

  14. K. H. Lew & S. M. Kang (2013).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Variables on Preschooler's Creative Environment, Self-Esteem and Peer Competence.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 

  15. M. H. Oh. & B. G. Choi. Causal Effects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Emotional and Cognitive Variables on Children's Creativity. Korean J. of Child Studies. 28(2). 55-70. 2007. 

  16. W. J. Roeper. Feedback in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Programmed Learning and Educational Technology, 14, 43-49. 1977. 

  17. C. Wright, & S. Wright. A conceptual framework for examining the family's influence on creativity. Family Perspective, 20, 127-136. 1986. 

  18. M. Michel. & S. Dudek.. Mother-child relationships and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4(3), 281-286. 1991. DOI: http://dx.doi.org/10.1080/10400419109534400 

  19. M. H. Oh & B. G. Choi. Development of a creative home environment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 44. No. 1. pp. 1-10. 2006. 

  20. Issacs (1987). How to help your child's talent grow. The Creative Child and Adult Quarterly, 6(4), 210-224. 

  21. T. M. Amabile. Creativity in context. Boulder, CO: Westiew. 1996. 

  22. D. W. Tegano, D. J. Moran, & J. K. Sawyers. Creativity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Washington, D.C: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1991.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51.6.1173 

  23. Kemple, K. M. & Nissenberg, S. A.(2000). Nurturing creativ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amilies are part of it.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8(1), 67-71. DOI: http://dx.doi.org/10.1023/A:1009555805909 

  24. M. H. Oh & B. G. Choi. Development of a creative home environment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 44. No. 1. pp. 1-10. 2006. 

  25. D. W. MacKinnon. The nature and nurture of creative potential. American Psychologist, 17, 484-495. 1961. DOI: http://dx.doi.org/10.1037/h0046541 

  26. K. Dewing & H. Taft. Some characteristics of the parents of creative twelve-year-olds. Journal of Personality, 41, 71-85. 1973. DOI: http://dx.doi.org/10.1111/j.1467-6494.1973.tb00661.x 

  27. K. W. Jeon. Why is the angular stone tablets right? Sedol: ChangJiSa. 1998. 

  28. H. Walberg, S. Rasher & J. Parkerson. Childhood and eminenc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3, 225-231. 1979. DOI: http://dx.doi.org/10.1002/j.2162-6057.1979.tb00211.x 

  29. C. Wright. Nurturing creative potential: An interactive model for home and school. Creative Child and Adult Quarterly, 12(1), 31-38. 1987. 

  30. D. M. Harrington, J. H. Block & J. Block. Predicting creativity in preadolescence from divergent thinking in early childhood. Journal of Personality, 43, 434-454. 1987. DOI: http://dx.doi.org/10.1111/j.1467-6494.1975.tb00715.x 

  31. J. Freeman. The early years: Preparation for creative thinking. Gifted Education International, 3(2), 100-104. 1985. DOI: http://dx.doi.org/10.1177/026142948500300205 

  32. T. W. Hills. Children in the fast lane: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policy and practic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ly, Vol 2. No. 3, pp. 265-273. 1987. DOI: http://dx.doi.org/10.1016/0885-2006(87)90035-4 

  33. M. C. Hyson, K. Hirsh-Pasek. L. Rescorla. J. Cone. & L. Martell-Boinske. Ingredients of parental "ressure" in early childhood.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2, 347-65. 1991. DOI: http://dx.doi.org/10.1016/0193-3973(91)90005-O 

  34. M. S. Kim, D. R. Chung, & J. H. Lee. Creative Thinking, Personality, Environment, and Performance in Science: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Gifted and General Students. Korean J. of Child Studies. 24(3), 1-13. 2003. 

  35. S. H. Park. A study of the relations between home environment, cognitive style and creativity. Sook Myung Women's University in Press. 1991. 

  36. E. H. Sung. Relationships between the mothers'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daughters' and sons' creative personality.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7(3), 79-93. 2004. 

  37. C. Saarni. Emotional competence : How emotions and relationship become integrated. In R. A. Thompson (Ed.), Socioemotional development (pp.115-182). Licoln :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0. 

  38. D. Goleman.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ntam Books. 1995. 

  39. J. D. Mayer & P. Salovey.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Salivey & D. Sluyter (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educators (pp. 3-31). New York: Basic Books. 1997. 

  40. Y. J. Lee, J. S. Lee. & E. S. Shi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rogram to Increas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9(2), 157-186. 1999. 

  41. P. Saloveym & J. D. Mayer.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Vol. 9. No. 3. pp. 185-211. 1990 DOI: http://dx.doi.org/10.2190/DUGG-P24E-52WK-6CDG 

  42. J. D. Mayer & P. Salovey.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identification of emotion, Intelligence. (pp. 245-267). 1996. 

  43. H. S. Youn.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ity. Chung Nam University in Press. 1997. 

  44. G. H. Lee, J. O. Park. & E. J. Kim. A study on emotional intelligence in science gifted.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7(1), 1-29. 1997. 

  45. K. M. Lee. Intellige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explanatory variables. Sung Kyun Kwan University in Press. 2002. 

  46. R. S. Nickerson. Enhancing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392-430).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47. H. F. O'Neil. Motivation: Theory and Research. Psychology Press. 1994. 

  48. E. H.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 and the child's creative person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Sung Shin Women's University in Press. 2011. 

  49. R. M. Baron &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61. No. 6. pp. 1173-1182.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