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안정 지지면에서의 동적 안정화 운동이 허리근육의 두께 및 밀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ynamic stabilization exercise on unstable surface on thickness, density of back muscl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3, 2015년, pp.1957 - 1963  

한종만 (대구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박재철 (전남과학대학교 물리치료과) ,  김금숙 (혜전대학교 작업치료과) ,  김현애 (포항대학교 물리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정 지지면에서의 동적 안정화 운동이 배가로근과 뭇갈래근의 두께와 밀도 및 백색영역지수(white area index, WAI)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20대 성인 27명이며 세 그룹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면에서 동적 안정화 운동을 6주 동안 실시하여 실험 전 후에 배가로근과 뭇갈래근의 두께와 근육 밀도, 백색영역지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세 그룹 간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5).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ANOVA) 결과, 배가로근과 뭇갈래근의 두께가 시기별 차이에서 그룹 간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p<.05), 뭇갈래근의 근육 밀도와 백색영역지수의 그룹 간 비교결과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적으로 불안정 지지면에서 허리부 안정화 운동의 효과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고 이 같은 결과는 허리안정화 운동에 대한 추후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dynamic stabilization exercise on unstable surface on thickness, muscle density and white area index (WAI) of transverse abdominis muscle and multifidus muscle. The subjects were 20s healthy adults and 27 people were measured for muscle thickne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허리부 안정화 운동의 긍정적인 효과가 많이 보고되어 있지만, 불안정면에서 사각형을 동적으로 그리거나 체간의 움직임변화를 통해 깊은 안정근의 구조적 변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허리부 근육 중 허리 통증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갖는 배가로근과 뭇갈래근의 근두께, 밀도, 백색영역지수를 불안정면과 안정면에서의 동적안정화 운동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려고 하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상분석 방법을 통해 불안정면에서의 동적 안정화 운동에 따른 근육의 구조적 변화에 대한 기초자료 활용과 임상에서의 재활프로그램 동적 허리부 안정화 운동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허리부의 안정성에 관여하는 허리부근의 특징은 무엇인가? 사람이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관절에서의 크고 작은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안정화(stabilization)라 정의한다[1]. 허리부의 안정성에 관여하는 허리부근은 신체 정렬을 유지하면서 척추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신체 기능을 수행하는 데 있어 필수 요소[2]이기 때문에 허리부의 안정성은 복잡한 운동수행에서 효율성과 손상예방에 도움을 주고 신체 전반의 기능적인 활동에 도움을 준다[3].
안정화란 무엇인가? 사람이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관절에서의 크고 작은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안정화(stabilization)라 정의한다[1]. 허리부의 안정성에 관여하는 허리부근은 신체 정렬을 유지하면서 척추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신체 기능을 수행하는 데 있어 필수 요소[2]이기 때문에 허리부의 안정성은 복잡한 운동수행에서 효율성과 손상예방에 도움을 주고 신체 전반의 기능적인 활동에 도움을 준다[3].
허리부의 안정성이 무너질 경우 나타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또한, 허리부의 안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척추 주위 근육들의 근력과 지구력 약화로 몸통 연부 조직 손상이 발생하여 허리뼈의 불안정성으로 이어지며[4], 허리뼈의 불안정성은 신경 전도를 지연시켜 체간 유지근들의근력 감소로 이어져 허리뼈의 불안정성과 동통을 유발할 수 있으며, 동통으로 인한 신체활동에 제약은 척추 주변 근육의 단면적 감소와 근위축이 발생하여 이차적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agee D. Instability and stabilization. Theory and treatment. 2nd, Seminar Workbook. 1999. 

  2. J. R. Oh, J. S. Kim. "The effects of trunk muscle strength training on sitting balance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J Kor Soc Phys Ther. Vol. 16 No. 1, pp. 87-102, 2004. 

  3. Peate, W. F., Bates, G., Lunda, K., Francis, S.,Bellamy, K. "Core strength : A new model for injury prediction and prevention",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and Toxicology. Vol. 2 No. 3, pp. 1-9, 2007. DOI: http://dx.doi.org/10.1186/1745-6673-2-3 

  4. H. O. Lee. "Activation of Trunk Muscles during Stabilization Exercises in Four-point Kneeling", J Korean Soc Phys Ther. Vol. 22 No. 5, pp. 33-8, 2010. 

  5. Deyo, R., Walsh, N., Martin, D., Schoenfeld, L. S., Ramamurthy, S. "A Controlled Trial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and Exercise for Chronic Low Back Pain", N Engl J Med. Vol. 322 No. 23, pp. 1627-1634, 1990. DOI: http://dx.doi.org/10.1056/NEJM199006073222303 

  6. McGill, S. M "Low back stability", From formal description to issues for performance and rehabilitation. Exercise and Sport Sciences Review. Vol. 29 No. 1, pp. 26-31, 2001. DOI: http://dx.doi.org/10.1097/00003677-200101000-00006 

  7. Akuthot, V., Nadler, S. "Core Strengthening", Arch Phys Med Rehabil. Vol. 85 No. 3, pp. S86-S92, 2004. DOI: http://dx.doi.org/10.1053/j.apmr.2003.12.005 

  8. Panjabi, M. "The stabilizing system of spine : Part 1. Function dysfunction, adaptation, and enhancement", J Spinal Disord. Vol. 5 No. 4, pp. 383-389, 1992. DOI: http://dx.doi.org/10.1097/00002517-199212000-00001 

  9. Hodges, P., Richardson, C. "Inefficient muscular stabilization of the lumbar spine associated with low-back pain a motor evaluation of transversus abdominis", Spine. Vol. 21 No. 22, pp. 2640-2650, 1996. DOI: http://dx.doi.org/10.1097/00007632-199611150-00014 

  10. Behm, D., Anderson, K., Curnew, R. S. "Muscle force and activation under stable and unstable condition", Journal of Strenght and Conditioning Rese arch. Vol. 16 No. 3, pp. 416-422, 2002. 

  11. Keller, J. I., Brox, R., Gunderson, I., Holm, A., Frils, A. O,. Reikeras, O. "Trunk muscle strength, cross-sectional area, and density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randomized to lumbar fusion or cognitive intervention and exercises",. Spine. Vol. 29 No. 1, pp. 3-8. 2004. DOI: http://dx.doi.org/10.1097/01.BRS.0000103946.26548.EB 

  12. Vezina, M., Hubley-Kozey, C. L. "Muscle activation in therapeutic exercises to improve trunk stability", Arch Phys Med Rehabil. Vol. 81 No. 10, pp. 1379-1379, 2000. DOI: http://dx.doi.org/10.1053/apmr.2000.16349 

  13. J. H. Kim., Y. H. Lee., J, G. Lee. "Effects of multifidus muscle volume in patient of lumbar pain according to lumbar exercise methods",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17 No. 2, pp. 1003-1014, 2008. 

  14. J. S. Oh., J. S. Park., S. Y. Kim., O. Y. Kwon.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During a Push-up on a Suspension Sling and a Fixed Support", Physical Therapy Korea. Vol. 10 No. 3, pp. 29-31, 2003. 

  15. Smith, C. E., Nyland, J., Caudill, P., Brosky, J., Caborn, D. N. "Dynamic trunk stabiliztion a conceptual back in jury prevention program for vollryball athletes", Journal Orthop Sports Phys Ther. Vol. 38 No. 11, pp. 703-20, 2008. DOI: http://dx.doi.org/10.2519/jospt.2008.2814 

  16. McGill, S. M., Karpowicz, A. "Exercise for Spine stabilization motion/motor patterns, stability progression, and clinical technique",. Arch phys med Rehabil. Vol. 90 No. 1, pp. 118-126, 2009. DOI: http://dx.doi.org/10.1016/j.apmr.2008.06.026 

  17. Maurits, N. M., Bollen, A. E., Windhausen, A., De Jager, A. E., Van Der Hoeven. "Muscle ultrasound analysis normal values and differ-entiation between myopathies and neuropathies". Ultrasound Med Biol. Vol. 29 No. 2, pp. 215-225, 2003. DOI: http://dx.doi.org/10.1016/S0301-5629(02)00758-5 

  18. Maurits, N. M., Beenakker, E. A., van Schaik, D.E., Fock, J. M., Van Der Hoeven, J. H. "Muscle ultrasound in children: Normal values and application to neuromuscular disorders", Ultrasound Med Biol. Vol. 30 No. 8, pp. 1017-1027, 2004. DOI: http://dx.doi.org/10.1016/j.ultrasmedbio.2004.05.013 

  19. D. S. Ko., G. Y. Kim., C. G. Lee. K. I. Lee., C. K. Kim., D. I. Jeong. "Changes in balance ability and muscle thickness of the transverse abdominis and multifidus of elderly females after eight weeks of th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Korea Journal of Biomechanics. Vol. 19 No. 4, pp. 689-896, 2009. DOI: http://dx.doi.org/10.5103/KJSB.2009.19.4.689 

  20. D. H. Jung., E. K. Go., S. J. Kim, O. Y. Kwon. "Comparison of abdominal muscles thickness during single leg holding exercise on stable surface and on a foam roller using ultrasound imaging", Korea Journal of Sports Biomechanics. Vol. 20 No. 4, pp. 415-420, 2010. DOI: http://dx.doi.org/10.5103/KJSB.2010.20.4.415 

  21. H. Y. Lee. "Activation of trunk muscles during stabilization exercises in four-point kneeling", J Kor Soc Phys Ther. Vol. 22 No. 5, pp. 33-38, 2010. 

  22. Kisner C, Colby L.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3rd ed. Philadelphia : F. A. Davis Company. 1996. 

  23. J. G. Jung., T. Y. Kim., Y. N. Kim., T. Y. Hwang., J. W. Lee. "Analysis of sEMG median frequency and ultrasound image echo density of normal skeletal muscle", J Kor Soc Phys Ther. Vol. 18 No. 1, pp. 83-94, 2006. 

  24. Nielsen. P. K., Jensen, B. R., Darvann, T., Jorqensen. K., Bakke. M. "Quantitative ultrasound image analysis of the supraspinatus muscle". Clinical Biomechanics. 15:Suppl pp. S13-6, 2000. DOI: http://dx.doi.org/10.1016/S0268-0033(00)00053-X 

  25. S. Y. Yeun., T. Y. Hwang., Y. N. Kim. "Analysis of Peripheral Nerve Function and Echogenicity of Skeletal Muscle in Type II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y of Clinical Electrophysiology. Vol. 4 No. 1, pp. 13-25, 2006. 

  26. J. Y. Lee. "The effect of neural adaptation and change of skeletal muscle architecture by electrical stimulation",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Rehabilitation Science, Dongsin University.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