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4세 유아의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 연구
Research on the Ecological System Variables Predicting Korean 4-year-olds' Cognitive Development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2, 2015년, pp.87 - 108  

김지현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  김정민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만4세 유아의 인지발달이 생태체계변인에 따라 다른지를 살펴보고, 이 변인들이 유아의 인지발달을 유의하게 예측하는지,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라 상이한 예측을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5차년도 자료인 만4세 유아 998명이었고, 어머니 및 교사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만4세 유아의 인지발달은 유아성별, 모학력, 부학력, 모취업여부, 가정환경의 질, 자녀기관생활관심정도에 따라 달랐다. 자녀기관생활관심정도가 가장 큰 영향력을 가졌고, 유아성별, 가정환경의 질, 모취업여부의 순으로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쳤다.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라서는 다른 양상이 나타났는데, 자녀기관생활관심정도와 성별이 공통적으로 영향력을 미쳤지만 취업모 가정에서 자녀기관생활관심정도의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고, 가정환경의 질은 취업모 자녀의 인지발달에 대해서만 영향력을 미쳤다. 이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라 유아기 자녀의 인지발달을 도모하는 정책적 접근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Korean 4-year-olds' cognitive development depending on variables concerning ecological system variables, predictive influences among these variables, and different predictive patterns between working mothers and non-working mothers.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 나아가 이 연구는 만4세 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생태체계변인들의 영향력을 취업모 가정과 비취업모 가정에 대해 각각 분석해 보고자 한다. 현재 한국의 기혼여성의 취업률은 49%에 달하고(여성가족부, 2014), 취업모는 자신의 시간 부족의 제1의 원인을 자녀양육과 집안일로 꼽았다(차성란, 2006).
  • 따라서 이 연구는 유아의 인지발달이 다양한 변인들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유아를 둘러싼 생태학적 환경체계의 수준에 따라 살펴보며, 이러한 생태체계변인들이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여기에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라 다른 양상이 나타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유아의 인지발달에 대한 광범위한 변인들의 복합적인 작용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유아의 인지발달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들을 알려줌으로써 생애 초기 결정적 시기인 영유아기의 인지발달을 조기에 중재할 수 있는 전략을 세울 수 있게 도와줄 것이다.
  • 어머니의 취업여부는 가정환경의 질과 자녀기관생활관심정도 변인과 함께 고려했을 때에도 영향력을 발휘한다. 또한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라 유아의 인지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차별적인 정책적 접근이 필요한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라 변인들의 영향력을 구분하여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취업모 가정이나 비취업모 가정 모두에게 어머니의 자녀기관생활관심정도가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 미시체계변인인 가정환경 중 과정환경에 대해서는 가정환경 자극을 다루는 가정환경의 질 변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의 지위환경에서 더 나아가 다방면의 가정환경 자극이 작용하는 과정환경의 측면을 측정하기 위해 Bradley와 Caldwell(1979)은 HOME 척도를 개발하였다.
  • 미시체계변인인 가정환경 중 지위환경에 대해서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학력, 어머니의 취업여부, 소득을 살펴보고자 한다.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유아의 인지발달이 높게 나타났으며(김정미, 곽금주, 2007b; 성현란, 2009; 최지현, 2013; 최지현, 성현란, 2010),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유아의 인지발달이 높게 나타났다(성현란, 2009; 최지현, 성현란, 2010).
  • 본 연구는 만4세 유아의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이 무엇인지, 그 영향력이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해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의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유아변인, 미시체계변인(지위환경, 과정환경), 중간체계변인, 외체계변인, 거시체계변인을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 그러나 유아의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 등 환경적 요인들은 매우 광범위하다. 본 연구는 유아의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인들을 Bronfenbrenner(1979)의 생태체계 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그의 주장처럼, 발달 중인 유아는 여러 환경체계의 중심에 놓여 있고, 여러 수준에 걸친 환경체계는 서로 연결되고 영향을 주며 유아의 발달을 이루어낸다.
  • 연구문제 2번에서 가정환경의 지위환경 중 모취업여부의 영향력이 유아의 인지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에 주목하여, 모취업여부에 따른 인지발달에 대한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비취업모 가정과 취업모 가정에 속한 만4세 유아의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성별, 모학력, 부학력, 가정환경의 질, 자녀기관생활관심정도의 영향력을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 이 연구는 만4세 시기의 유아의 인지발달을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적 차원의 변인들을 선정해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제한된 자원으로 유아의 조기 인지발달을 도모하고자 하는 정책적 전략 확립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대부분의 한국 유아가 보육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시대적 상황을 감안할 때 한국 부모의 육아가치관 및 한국 정부의 육아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된다.
  • 이 연구는 만4세 유아의 인지발달을 생태체계이론에 근거하여 환경체계의 수준별로 여러 개의 생태체계변인들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유아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미시체계인 가정과 보육교육기관 간의 연계, 즉 중간체계가 만4세 유아의 인지발달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 따라서 이 연구는 유아의 인지발달이 다양한 변인들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유아를 둘러싼 생태학적 환경체계의 수준에 따라 살펴보며, 이러한 생태체계변인들이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여기에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라 다른 양상이 나타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유아의 인지발달에 대한 광범위한 변인들의 복합적인 작용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유아의 인지발달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들을 알려줌으로써 생애 초기 결정적 시기인 영유아기의 인지발달을 조기에 중재할 수 있는 전략을 세울 수 있게 도와줄 것이다. 또한 유아의 인지발달을 도모하기 위해 취업모 가정과 비취업모 가정에서 어떠한 노력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정책적 접근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유아의 학습관련기술에 미치는 유아 및 어머니의 특성, 어머니의 부모역할구성과 부모효능감, 부모-교사 관계의 영향력 중 부모-교사 관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김정미, 2014)는 연구는 여러 생태체계변인들 중에서도 중간체계변인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을 제안한다. 이 연구에서는 부모가 자녀의 기관생활에 관심을 가지는 것만으로도 만4세 유아의 인지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는 첫째가 둘째 등 아래 출생순위보다 지능이 높다는 연구(최지현, 성현란, 2010)와 둘째가 첫째보다 문제해결력이 높다는 연구(임현주, 2013)가 상반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 외 유아 자신이 가진 선천적인 변인을 포함한 개인 내적 변인(예: 유아 자신의 여러 발달 변인)은 포함하지 않는데, 이는 유아가 속한 환경에서 받는 여러 생태체계변인들이 유아의 인지발달을 고유하게 설명하는 부분을 분석하기 위해서이다.
  • 또한 미시체계만으로 보았을 때에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같은 지위환경과 가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밀접한 상호작용을 담아내는 과정환경이 함께 포함되어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유아의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유아변인, 미시체계변인(지위환경, 과정환경), 중간체계변인, 외체계변인, 거시체계변인으로 나누어 분석해보고자 한다.
  • 중간체계변인으로는 유아의 부모가 자녀의 기관생활에 관심을 가지는 정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육아기관에서 발생하는 아동학대 문제에 국민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가설 설정

  • 기존의 지위환경에서 더 나아가 다방면의 가정환경 자극이 작용하는 과정환경의 측면을 측정하기 위해 Bradley와 Caldwell(1979)은 HOME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EC-HOME 척도로 측정된 점수를 가정환경의 질로 정의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가정환경의 질은 가정환경 자체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의 과정적인 것으로 다방면의 가정환경 자극(부모가 제공하는 양육태도의 질, 지적이고 언어적 자극이 풍부한 어머니의 상호작용, 발달을 촉진하는 적절한 놀잇감의 구비 상태 등)을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환경이 매우 복잡한 체계인 이유는 무엇입니까? 가정환경은 단순히 ‘가정이라는 환경’이라고 정의내리기에 매우 복잡한 체계이다. 생태체계이론에서 가정은 유아의 발달에 즉각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미시체계이지만, 유아가 다니고 있는 기관과 연계를 이루어내는 중요한 중간체계의 요소이기도 하고, 가정이 속한 지역사회인 외체계에 영향을 받으며, 부모에 의해 이루어지는 양육 문화는 거시체계인 한국 문화의 영향력을 벗어날 수 있다. 또한 미시체계만으로 보았을 때에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같은 지위환경과 가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밀접한 상호작용을 담아내는 과정환경이 함께 포함되어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유아의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유아변인, 미시체계변인(지위환경, 과정환경), 중간체계변인, 외체계변인, 거시체계변인으로 나누어 분석해보고자 한다.
유아의 인지발달은 어떻게 이루어집니까? 유아의 인지발달은 유아 자신으로부터 비롯되는 선천적인 요인과 유아가 속한 환경에 기인하는 후천적인 요인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특히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인지발달의 경우 영유아기, 즉 생의 초기에 접하게 되는 가정환경이 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인지란 무엇입니까? 인지는 지식을 습득하고 문제해결 과정에서 이를 사용하는 정신적 과정으로, 인지발달은 연령에 따라 나타나는 주의, 지각, 학습, 사고, 기억과 같은 정신적 활동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뜻한다(Shaffer, 2002). 이 연구에서는 인지발달을 만4세 유아가 지각, 기억, 상징적 사고/표상, 논리적 추론, 문제해결, 공간개념, 분류, 정보수집 및 조작, 서열화, 수리적 책략 사용, 패턴 만들기를 하는 행동과 언어(이종숙 등, 2008)로 정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5)

  1. 강한나, 박혜원 (2013). 저소득가정 영유아의 발달과 부모의 양육특성 및 하루 일과시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51(6), 613-622. 

  2. 곽금주, 김정미, 유제민 (2007). 만 3세 아동에 대한 빈곤, 부모변인, 가정환경 및 아동발달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3), 83-98. 

  3. 국가통계포털 (2014). KOSIS 100대 지표. 출력일 2014년 12월 15일, http://kosis.kr/. 

  4. 권기석, 정부경, 양민철 (2015. 1. 26). [이슈분석] "0-5세 육아 국가가 책임" $\rightarrow$ "2세까진 엄마가 키워야...". 국민일보. 출력일 2015년 1월 26일,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2934147&code11131300&cpdu. 

  5. 김명순, 김창복, 이미화 (2002). 저소득층 아동의 발달과 놀이에 대한 연구. 아동학회지, 23(1), 87-104. 

  6. 김석우, 최용석 (2001). 인과모형의 이해와 응용. 서울: 학지사. 

  7. 김영춘, 박영선 (2001). 취업 모가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시 지역을 중심으로. 상업교육연구, 2, 363-390. 

  8. 김정미, 곽금주 (2007a). 3-6세 유아를 위한 가정환경자극 척도(EC-HOME)의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8(1), 115-128. 

  9. 김정미, 곽금주 (2007b). 취학 전 빈곤아동에 대한 부모, 가정환경 자극, 사회적 지원의 영향력 탐색. 아동학회지, 28(4), 305-317. 

  10. 김정미 (2014). 유아의 교육 참여에 대한 어머니의 동기적 신념과 부모-교사 관계가 유아의 학습 관련 기술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정민, 김지현, 정현심 (2011). 보육교사를 위한 영아용 가정환경 척도 개발 연구. 아동학회지, 32(3), 1-17. 

  12. 김지현, 정현심, 김정민, 이순형 (2012). 유아용 가정환경 척도 개발 연구. 아동교육, 21(1), 77-92. 

  13. 도현심, 박보경, 김수진, 조숙인 (2009). 아동의 연령, 가정의 경제사회적 수준 및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른 유아기 및 학령기 아동 대상 사교육의 실태. 한국아동학회지, 30(4), 135-154. 

  14. 박새롬, 박혜준 (2010). 만 5세 유아의 인지과정 특성 분석: 성별, 월령, 과잉행동성향에 따른 CAS 수행 결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4), 139-157. 

  15. 박혜원, 윤여홍 (1999). 영재 아동의 K-WPPSI 수행 특성 분석. 인간발달연구, 6(2), 33-47. 

  16. 백지희 (2008). 교사 및 어머니의 DAP 신념 수준과 유아 인지 발달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1-18. 

  17. 서문희, 양미선 (2013). 유아 사교육비 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189-207. 

  18. 성현란 (2008). 영아기에서 유아기 동안의 지능 안정성: 4년 종단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4), 75-87. 

  19. 손세란 (2008). 보육시설 만 1, 2, 3세 학급에서의 어머니-교사 관계에 대한 상호인식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양병화 (2002).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학지사. 

  21. 여성가족부 (2014). 여성 인력 관련 주요 통계 (2014년1분기). 출력일 2014년 12월 15일, http://www.mogef.go.kr/index.jsp. 

  22. 우남희, 김영심, 이은정, 김현신 (2009). 저 출산 시대의 자녀 양육과 교육에 대한 한국 어머니들의 인식 및 실태 조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3), 297-325. 

  23. 윤은영 (2007). 인지적 가정환경과 유아 쓰기능력과의 관계. 아동복지연구, 5(2), 49-66. 

  24. 이기숙, 정영희, 정미라, 홍용희 (2002). 유치원에서의 특별활동 실시 현황 및 교사의 인식. 아동학회지, 23(4), 137-152. 

  25. 이병래 (2010). 보육교사가 인지한 자녀의 어린이집 생활에 대한 부모의 관심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5(6), 103-120. 

  26. 이용숙, 김영화, 최상근 (1988). 어머니의 취업과 학교교육 및 자녀의 성취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27. 이종숙, 신은수, 박은혜, 김영태, 곽영숙, 유영의 등 (2008) 영유아의 언어 인지 사회.정서 발달 평가 도구 교사 지침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교육과학기술부. 

  28. 이춘재 (2013. 3. 3). 지역별 학력격차 여전 ... 수준차 해소 정책 실패. 출력일 2014년 12월 15일, 한겨례. 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407993.html. 

  29. 임우영, 안선희 (2011). 유아교사-부모 협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4), 323-350. 

  30. 임현주 (2013). 월소득과 자녀의 출생순위별 부모와 자녀 및 지역사회변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4), 257-282. 

  31. 저출산 한국 탄력근무, 출산 선진국의 7분의 1수준 (2014. 4 .3). 연합뉴스. 출력일 2014년 12월 15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1&aid0006842518. 

  32. 전중환 (2012). 현대사회의 저출산에 대한 진화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8(1), 97-110. 

  33. 정미라, 권정윤, 박수경 (2011). 12개월 영아의 발달과 가정환경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1(5), 371-389. 

  34. 정옥분 (2003). 아동발달의 이론. 서울: 학지사. 

  35. 정옥분 (2010). 아동연구와 통계방법. 서울: 학지사. 

  36. 정유연 (2008). 어머니의 성취 압력과 유아의 수학 사교육 경험이 유아의 수학적 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정태인, 유홍준 (2002). 주부의 취업이 청소년자녀의 인성, 학업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13(1), 269-297. 

  38. 조선기 (2015. 1. 22). "꽃으로도 아이를 때리지 않도록...". 굿모닝 서울. 출력일 2015년 1월 26일, http://mediahub.seoul.go.kr/archives/837418. 

  39. 조증열, 배성봉, 박혜원, 박순길 (2012). 도시와 농촌 아동의 인지 언어적 기술과 문식성.수학 능력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2(3), 357-381. 

  40. 차성란 (2006).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인지하는 시간부족 및 피곤함에 대한 연구. 자연 과학(대전대학교), 16(1), 145-159. 

  41. 최지현 (2013). 유아, 어머니, 교사 특성이 어머니-교사 협력관계 및 인지 발달에 미치는 영향: 횡단 및 종단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2. 최지현, 성현란 (2010). 아동 및 부모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영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1), 69-89. 

  43. 최혜진, 이혜은 (2005). 학습자 변인과 가정환경변인에 따른 유아수학능력 발달의 차이. 유아교육연구, 25(2), 27-48. 

  44. 한유미, 권희경 (2006).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자녀의 성취 및 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 아동권리연구, 10(4), 751-769. 

  45. 황의영 (2014. 7. 28). [아파트 시황] 방학 학군수요 겹쳐 서울.수도권 전셋값 강세. 중앙일보. 출력일 2014년 12월 15일,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5373040&clocolink/article/default. 

  46. Birch, S., & Ladd, G. W. (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1), 61-79. 

  47. Bradley, R. H., & Caldwell, B. M. (1979). 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 A revision of the preschool scale.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84(3), 235-244. 

  48. Bradley, R. H., Caldwell, B. M., Rock, S. L., Ramey, C. T., Barnard, K. E., Gray, C. et al. (1989). Home environment and cognitive development in the first three years of life: A collaborative study involving six sites and three ethnic groups in North America. Developmental Psychology, 25(2), 217-235. 

  49. Bradley, R., Corwyn, R. F., McAdoo, H. P., & Coll, C. S. (2001). The home environments of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part I: Variations by age, ethnicity and poverty status. Child Development, 72(6), 1844-1867. 

  50.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51. Brooks-Gunn, J., & Duncan, G. (1997). The effects of poverty on children and youth. The Future of Children, 7, 55-71. 

  52. Caldwell, B. M., & Bradley, R. H. (2003). HOME inventary administration manual: Comprehensive edition. University of Arkansas at Little Rock. 

  53. Carlisle, E., Stanley, L., & Kemple, K. M. (2006). Opening doors: Understanding school and family Iinfluences on family involvem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3(3), 155-162. 

  54. Davis-Kean, P. E. (2005). The influence of parent education and family income on child achievement: The indirect role of parental expectations and the home environment.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9, 294-4304. 

  55. Deary, I. J., Whalley, L. J., Lemmon, M., Crawford, J. R., & Starr, J. M. (2000). The stability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mental ability form childhood to old age: Follow-up of the 1932 Scottish mental Survey. Intelligence, 28(1), 49-55. 

  56. Duncan, G. J., Brooks-Gunn, J., & Klebanov, P. (1994). Economic deprivation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65(2), 296-318. 

  57. Englund, M. M., Luckner, A. E., Whaley, G. J. L., & Egeland, B. (2004). Children's achievement in early elementary school: Longitudinal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expectations, and quality of assist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6(4), 723-730. 

  58. Fagan, F. F., Holland, C. R., & Wheeler, K. (2007). The prediction from infancy of adult IQ and achievement. Intelligence, 35(3), 225-231. 

  59. Galindo, C., & Sheldon, S. (2012). School and home connections and children's kindergarten achievement gains: The mediating role of family involvemen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7(1), 90-103. 

  60. Halpern, D. F. (1997). Critical thinking across the curriculum: A brief edition of thought and knowledg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1. Hanson, A. R. (1975). Consistency and stability of home environmental measures related to IQ. Child Development, 46(2), 470-480. 

  62. Howlin, P., & Rutter, M. (1987). The consequences of language delay for other aspects of development. In W. Yule & M. Rutter (Eds.), Language development and disorders (pp. 271-294). Oxford, England: MacKeith. 

  63. Hughes, P., & MacNaughton, G. (2001). Building equitable staff-parent communication in early childhood setting: An Australian case study. Early Childhood Research and Practice, 3(2), 출력일 2014년 8월 4일, http://ecrp.uiuc.edu/v3n2/hughes.html. 

  64. Knudsen, E. I. (2004). Sensitive periods in the development of the brain and behavior.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16(8), 1412-1425. 

  65. Lopez, G. R., Scribner, J. D., & Mahiivanichcha, K. (2001). Redefining parental involvement: Lesson's from high-performing migrant-impacted school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8(2), 253-288. 

  66. Lugo-Gil, J., & Tamis-LeMonda, C. S. (2008). Family resources and parenting quality: Links to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across the first 3 years. Child Development, 79(4), 1065-1085. 

  67. Luster, T., Bates, L., Fitzgerald, H., Vandenbelt, M., & Key, J. P. (2000). Factors related to successful outcomes among preschool children born to low-income adolescent mother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1), 133-146. 

  68. Najman, J. M., Aird, R. L., Bor, W., O'Callaghan, M. J., Williams, G. M., & Shuttlewood, G. J. (2004). The generational transmission of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child cognitive development and emotional health. Social Science Medicine, 58(6), 1147-1158. 

  69. Owen, M., Ware, A., & Barfoot, B. (2000). Caregiver-mother partnership behavior and the quality of caregiver-child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5(3), 413-428. 

  70. Powell, D. R. (2001). Visions and realities of achieving partnership: Parent-school relationships at the turn of the century. In A. Goncu & E. L. Klein (Eds.), Children in play, story, and school (pp. 333-357). New York, Guilford Publications. 

  71. Raviv, T., Kessenich, M., & Morrison, F. J. (2004). A mediational model of the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three-year old language abilities: The role of parenting facto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9(4), 528-547. 

  72. Rentzou, K. (2011). Patent-caregiver relationship dyad in Greek day care cent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19(2), 163-177. 

  73. Shaffer, D. (2002). Developmental psychology: Childhood and adolescence (6th Ed.). Belmont, CA: Wadsworth. 

  74. Shonkoff, J. P., & Phillips, D. A. (2000). From neurons to neighborhoods: The science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75. Swick, K. J. (1997). A family-school approach for nurturing caring in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5(2), 151-1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