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사의 개인특성과 유아교육기관 특성이 유아교육기관의 질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건
Effects of Personal Background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on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The Condi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Classroom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2, 2015년, pp.201 - 220  

박창현 (육아정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을 그동안 유아교사의 학력과 자격에 중점을 두어왔던 전통적인 패러다임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건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교사의 학력과 경력, 기관유형과 학급규모, 교육과정 편성유형을 독립변수로 하고, 유아교실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유아교실의 질은 유아교육기관 운영의 질, 유아교육과정의 질, 상호작용의 질로 구성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조사를 통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교실의 질에는 유아교사의 개인특성변수인 경력이나 학력보다는 기관유형이나 학급규모와 같은 기관특성변수의 영향력이 보다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사립보다 국공립으로 갈수록 유아교육기관의 질이 높았다. 유아교실의 질을 구성하는 유아교육기관 운영의 질, 유아교육과정의 질, 상호작용의 질의 변수에서 공통적으로 기관유형변수의 설명력이 보다 높은 것으로 일관되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정책적 시사점과 추후 연구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s of teachers'personal background (academic, education career)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 factors(founded facility type, class size, and curriculum organization type) on the quality of the classroo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ECEC) f...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질이 높으면 어떤 장점이 있는가?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다. 양질의 유아교육과 보육서비스를 경험하는 유아들은 언어 및 사회성 발달이 좋아지고, 학습의지가 높아져, 성공적인 학교생활을 할 가능성이 높다(Burchinal, Cryer, Clifford, & Howes, 2002; Vandell, 2004). 그동안 양질의 교육과 보육 시스템을 구축하는 문제는 영유아교육기관의 공교육화 및 공공성의 역사와 함께 논의되어 왔다(김희연, 2013; 나정, 1997; 나정, 김효겸, 박재윤, 장영희, 정미라, 1997; 나정, 신동주, 김재웅, 1996; 백선희, 2011).
교사 변인이 중요한 이유는?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 변인이 중요하다. 교사는 현장에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유아를 돌보고 가르치는 직접적인 교육활동을 실행하는 주체이기 때문이다(박창현 2012; 박창현, 박찬옥, 2012; 염지숙, 2012). 이런 이유로 유아교사의 교육 수준이 높아지면, 교실의 질도 높아진다는 연구들이 꾸준히 보고되었다.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 변인이 중요하다. 교사는 현장에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유아를 돌보고 가르치는 직접적인 교육활동을 실행하는 주체이기 때문이다(박창현 2012; 박창현, 박찬옥, 2012; 염지숙,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경기도 교육청 (2012). 2012 혁신유치원 운영기본 계획(2012. 6) 경기도 교육청 교수학습지원과. 

  2. 김은설 (2014). 유치원, 어린이집 운영 실태 비교 및 요구분석. 연구보고 2014-17. 육아정책연구소. 

  3. 김은설, 유해미, 엄지원 (2012). '5세 누리과정' 운영 현황 및 개선방안. 육아정책연구소. 

  4. 김희연 (2013). 영유아보육, 교육에서의 공공성의 의미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12(4), 215-243. 

  5. 나정 (1997). 유아교육의 교육체제 확립 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교육개혁정책연구 보고서 97-1. 교육개혁위원회. 

  6. 나정, 김효겸, 박재윤, 장영희, 정미라 (1997). 유아교육의 공교육 체제 확립 방안 연구. 수탁연구 CR 97-62, 한국교육개발원. 

  7. 나정, 신동주, 김재웅 (1996). 유치원 교육 공교육화. 서울: 양서원. 

  8. 나정, 천세영, 장명림, 이영미 (1996) 유치원 교육 공교육화를 위한 단계적 발전 방안 연구. 수탁연구 CR96-19. 한국교육개발원. 

  9. 당정, 보육교사 자격취득 국가고시 전환 추진 (2015. 1. 27). 한겨레, 출력일 2015년 1월 29일,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75428.html 

  10. 박창현 (2012). 유아교육과정 실행과 영향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박창현, 나정 (2012). 유아교육기관, 교사 및 유아 집단 특성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99-125. 

  12. 박창현, 박찬옥 (2012). 유아교육기관장의 운영능력, 유아교사의 역량, 교육과정 실행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6(3), 245-247. 

  13. 백선희 (2011). 보육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정책 방안. 연구보고서 2011-37-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4. 서문희, 최윤경, 김문정 (2011). 2011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연구보고 2011-21. 육아정책연구소. 

  15. 염지숙 (2011).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의 유치원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유아교육학논집, 15(6), 295-310. 

  16. 이기숙, 홍용희, 박은혜, 김희진 (2002). 유아교육기관 인정제 모형. 교육과학연구소 2002-03. 이화교육총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17. 이미화 (2014). 영아보육질 제고를 위한 평가도구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보고 2014-16 육아정책연구소. 

  18. 이숙자, 공병호, 성영화 (2011). 교사-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교사 변인 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1(1). 1-18. 

  19. 이윤경 (2002). 교사의 상호작용 유형과 영유아발달과의 관계. 서원대학교 교육연구소, 21(1), 199-2145. 

  20. 이은해, 이기숙 (1996).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 서울: 창지사. 

  21. 이정훈 (2003). 학습공동체로서의 작은 학교 운동에 관한 연구 분석. 초등교육연구, 16(1), 23-43. 

  22. 조형숙, 이경민 (2004). 영유아교사 양성체제의 정비. 2004년도 중앙유아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10-36. 

  23. 최은영, 김정숙, 송신영 (2013). 2013 유아교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연구보고 2013-29. 육아정책연구소. 

  24. 최은영, 장혜진 (2014). 누리과정 운영시간에 관한 쟁점 및 과제. 인문학논총 제36집, 459-484. 

  25. 황규호 (2013). 국가 교육과정 개정과 학교 교육의 질. 교육과정연구, 31(3), 27-52. 

  26. Barnett, W. S. (2004). Better teachers, better preschools: Student achievement linked to teacher qualifications. New Brunswick, NJ: National Institute for Early Educational Research. 

  27. Barnett, W. S., Tarr, J., Lamy, C., & Frede, E. (1999). Children's educational needs and community capacity in the Abbott Districts. New Brunswick, NJ: Center for Early Education, Rutgers University. 

  28. Barnett, W. S., Tarr, J., Lamy, C., & Frede, E. (2001). Fragile lives, shattered dreams: A report on implementation of preschool education in New Jersey's Abbott districts. New Brunswick, NJ: National Institute for Early Education Research, Rutgers University. 

  29. Blau, D. (2000). The production of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Another look. Applied Development Science, 4(3), 136-148. 

  30. Bowman, B. T., Donovan, M. S., & Burns, M. S. (2001). Eager to learn: Educating our preschooler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31. Burchinal, M., Cryer, D., Clifford, R., & Howes, C. (2002). Caregiver training and classroom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6(1), 2-11. 

  32. Burchinal, M., Hyson, M., & Zaslow, M. (2011). Competencies and credentials for early childhood educators: What do we know and what do we need to know. In E. Zigler., W. S. Gilliam, & W. S. Barnett (Eds.) The pre-k debates: Current controversies & issues (pp.73-77). Baltimore, MD: Brookes Publishing. 

  33. Clark, P. A., & Kirk, E. W. (2000). All-day kindergarten. Childhood Education 76(4), 228-231. 

  34. Cryan, J. R., Sheehan, R., Wiechel, J., & Bandy-Hedden, I. G. (1992). Success outcomes of full day kindergarten: More positive behavior and increased achievement in the years after.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7(2), 187-203. 

  35. D. M., Bryant, D., Pianta, D., Clifford, F., Burchinal, M., Ritchie, S., et al. (2006). Are teachers' education, major, and credentials related to classroom quality and children's academic gains in pre-kindergarten classroom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5(4), 177-193. 

  36. Fukkink, R. G., & Lont, A. (2007). Does training matter? A meta-analysis and review of caregiver training studi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2(3), 294-311. 

  37. Glauzvini, Alisa S., Readdick, & Christine A. (1994). Parent-caregiver communication and quality of care in diverse child care setting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9(2), 207-222. 

  38. Hayes, C. D., Palmer, J. L., & Zaslow, M. J. (Eds.). (1990). Who cares for America's children? Child care policy for the 1990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39. Howes, C., James, J., & Ritchie, S. (2003). Pathways to effective teaching.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8(1), 104-120. 

  40. Howes, C. Phillips, D.A., & Whitebook, M. (1992). Teacher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 teaching in child care: Findings from the National Child Care Staffing Study. Child & Youth Care Forum, 21(6), 399-414. 

  41. Ishimine, K., Talyer, C., & Bennett, J. (2010). Qualit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 policy initiative for the 21st century.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4(2), 67-80. 

  42. Litjens, I., & M. Taguma (2010). Revised literature overview for the 7th meeting of the network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ris: OECD. 

  43. Love, J. M., Ryer, P., & Faddis, B. (1992). Caring Environments: Program quality in California's publicly funded child development programs. Portsmouth, NH:RMC Research. 

  44. OECD (2011). Starting Strong: Curricula and pedagog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Five curriculum outlines. Paris: Directorate for Education. 

  45. OECD (2012). Starting Strong III: A quali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ris: OECD. 

  46. Phillips, D., Mekos, D., Scarr, S., McCartney, K., & Abbott-Shim, M. (2000). Within and beyond the classroom door: Assessing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5(4), 475-496. 

  47. Phillipsen, L. C., Burchinal, M. R., Howes, C., & Cryer, D. (1997). The prediction of process quality from structural features of child car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3), 281-303. 

  48. Pianta, R., La Paro, K. M., & Hamre, B. K. (2008). Classroom Assessment Scoring System (CLASS). Baltimore, MD: Brookes, Inc. 

  49. Sabol,T. J., Soliday Hong, S. L, Pianta, R. C., & Burchinal, M. R. (2013). Can rating pre-K programs predict children's learning?. Science, 341(6148), 845-846. 

  50. Scarr, S., Eisenberg, M., & Deater-Deckard, K. (1994). Measurement of quality in childcare cent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9(2), 131-151. 

  51. Shonkoff, J. P., & Phillips, D. A. eds. (2000). From neurons to neighborhoods: The science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52. Tout, T. M., & Berry, D. (2006). Quality and qualifications: links betwee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quality in early care and education settings In M., Zaslow, & I., Martinez-Beck (Eds.), Critical issues in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development (pp. 77-110). Baltimore: Brookes Publishing. 

  53. Tout, K. M., Zaslow, M, & Berry, D. (2005). Quality and qualifications: Links betwee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quality in early care and education setting. In M. Zaslow & I. Martinez-Beck (Eds.), Critical issues in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development(pp. 77-110). Baltimore: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54. Vandell, D. (2004). Early child care: The known and the unknown. Merrill-Palmer Quarterly, 50(3), 387-414. 

  55. Viadero, D. (2002). Study: Full-day kindergarten boosts academic performance. Education Weekly, 21(31), p. 14. 

  56. Wesley, P. W., & Buysse, V. (2010). The quest for quality: Promising innovations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Eds.). Baltimore: Brooke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