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에 대한 인식이 보육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ursing teacher's infant right perception on infant care servi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1, 2017년, pp.332 - 339  

이희경 (호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이정원 (서남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에 대한 인식이 보육서비스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영유아 권리의 측정은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 제시한 4대 권리를 중심으로 총 40문항으로 측정하였고 보육서비스는 하루일과 존중, 자율성 존중, 의견 존중, 개성 존중, 그리고 정보제공으로 구분하여 역시 40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489명이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보육교사의 영아권리에 대한 인식은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그리고 참여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영아권리에 대한 인식과 여러 유형의 보육서비스 관련성을 살펴보면 보육서비스에서 발달권과 참여권의 인식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생존권의 인식은 의미 있는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보호권은 보육서비스의 유형 중 자율성, 개별성, 그리고 정보제공에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역할에 해당하는 아동의 생존과 관련된 보호를 아동권리에서 중요하게 인식하면서도 보육서비스는 주로 아동의 교육적인 측면의 권리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아권리유형별 인식차이가 보육서비스의 다양한 유형에서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rsing teachers' perception of infant rights and infant care service. The scale for infant rights consisted of 40 items based on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infant care service was measured with 40 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아동들은 아직 미성숙하여 스스로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기 힘들다. 사회적으로 당연히 보장받아야 할 그들의 권리가 무시당하고 있지는 않는가?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인권 또는 아동들이 당연히 누려야 하는 아동권리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수준이 아동보육 서비스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아동인권과 아동 보육 서비스는 각각 4가지와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이들 요인간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육교사의 전문성이란 무엇인가? 보육교사는 영유아와 많은 시간을 상호작용하고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영유아 보육에서 보육교사의 전문성은 매우 중요시 된다. 보육교사의 전문성은 오랜 기간의 교육 및 수련 과정을 거쳐 습득한 고도의 지적 능력과 기술을 의미한다[1].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자질이 영유아의 인지적, 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영유아의 권리를 존중하는 보육은 어떠한 느낌을 포함하는가? 어린이집에서 영유아 권리존중은 영유아가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돕고 그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의견이 실현될 수 있도록 보육교사가 영유아의 수준에서 보조를 맞추는 활동을 말한다[5]. 영유아의 권리를 존중하는 보육은 영유아가 보육교사로 하여금 안전하게 보호받고 있다는 느낌, 보육교사가 자신을 좋아하고 있다는 느낌, 자신의 욕구에 보육교사가 즉각적으로 반응해주는 것, 자신의 의견이 수용된다는 느낌 등을 포함한다[19]. 실질적으로 어린이집에서 영유아 권리의 내용에는 무엇이 있을 수 있는지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아동권리 협약의 기본원칙은 무엇에 기반하였는가? 실질적으로 어린이집에서 영유아 권리의 내용에는 무엇이 있을 수 있는지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는 아동권리를 발달권, 생존권, 보호권, 참여권의 관점에서 제시하고 있다[6]. 이것에 기반한 아동권리 협약의 기본원칙은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째는 모든 아동은 부모의 인종, 종교, 언어, 재산, 장애 유무와 상관없이 모두 동등한 권리를 누려야 한다는 무차별의 원칙, 둘째는 아동에게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것을 결정할 때는 아동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아동 최선의 이익, 셋째는 아동은 특별히 생존과 발달을 위해 다양한 보호와 지원을 받아야 하는 생존과 발달의 권리, 그리고 네 번째는 아동이 자신의 능력에 맞게 적절한 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갖고 자신의 생활에 영향을 주는 일에 의견을 말할 수 있어야 하며 그 의견을 존중해야 할 아동의 의견 존중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M. S. Choi,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fficacy or 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Teacher-Parent Communication Attitude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 40, no. 3, pp. 1-19, 2005. 

  2. J. B. Park, J. H. Kim, E. S. Kim,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and Infant Care Teachers' Needs of Teaching Consulting",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 73, pp. 473-496, 2012. 

  3. J. S. Kim, K. A. Song, "An Analysis of Guidance Contents of Cooperating Teachers in Child Care Practicum",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vol. 10, no. 1, pp. 91-107, 2010. 

  4. Y. H. Moon, "Considera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Realization of the Child's Rights", Korean Journal of human right welfare, vol. 6, pp. 71-93, 2010. 

  5. J. A. Song, J. S. J, "Research about Relation of Human Rights Sensibility and Children's Rights Perspectives - Focused on Preliminary Child Care Center Teacher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omen's Culture, vol. 20, pp. 23-53, 2011. 

  6. J. E. Suh,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human righ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Graduate of School of Sookmuyung Woman's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0. 

  7. Y. S. Suh, H. J. Suh, J. S. Kim, "Care-giving Teachers' Recognition of Children's Rights and Demand for Teacher Education on Respecting Children's Rights in Early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te Administration, vol. 13, no. 3, pp. 215-232, 2009. 

  8. S. J. Ryu, "A survey study of children's rights and practice of safeguard for children's right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Graduate of School of Kyungsu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2. 

  9. K. H. Kim, S. Y. Ann, J. S. Han, "A Study on Children'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 Experience in Childhood Education Center",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vol. 17, no. 6, pp. 175-204, 2013. 

  10. J. H. Yun, "A model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actice of teacher and parents of children for children's right at education institution of children", Graduate of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6. 

  11. E. S. Kim, S. Y. Park,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Reasoning and Ethical Practice of Teachers in Childcare Centers",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vol. 15, no. 3, pp. 207-226, 2011. 

  12. J. H. Shin, "A Study on the Parents' Perception of the Rights of the Child for Their children", Graduate of School of Sookmuyung Woman's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4. 

  13. P. Leach, "Infant Care from Infants's Viewpoint: The Views of Some Professionals",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vol. 6, no. 2, pp. 47-58, 1997. DOI: https://doi.org/10.1002/(SICI)1099-0917 

  14. Y. I. Suh,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educare teacher about the right of infant and baby: focusing on the cities of Bucheon, Gwangmyoung and Siheung", Graduate of School of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7. 

  15. H. S. Jang,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nd parents toward children's rights education program: Knowledge and necessity", Graduate of School of Sejo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9. 

  16. S. Y. Kim, "An influence of discussion-based rule-adjusting activities on children's compliance and teacher's behavior", Graduate of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9. 

  17. M. S. Lee, "Research on Children's Rights and the awareness and current situation of pre-school teachers and parents", Graduate of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2. 

  18. O. S. Yang, "Early Childhood Curriculum Inquiry in a Reconceptualist Perspective",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 22, pp. 139-790, 2000. 

  19. J. C. Schipper, L. C. Travecchio, M. V. IJzendoom, M. Linting, "The relation of flexible child care to quality of center day care and children's socio-emotional functioning: A survey and observational study",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vol. 26, no. 3, pp. 300-325, 2003. DOI: https://doi.org/10.1016/S0163-6383(03)00033-X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