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 여성 대상의 지역사회 참여형 비만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Community Based Participatory Obesity Intervention Program in Middle-Aged Women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9 no.1, 2015년, pp.79 - 89  

김현 (대전발전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community based participatory program in obese middle-aged women. Methods: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35 middle-aged women. Data were collected at public health centers in Chungcheongnam-Do from Marc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C 지역의 G 보건소를 이용하는 주민 중 체질량지수(BMI)가 25kg/m 이상에 해당하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참여형 비만 프로그램을 적용 후 그 효과를 파악하여 지역사회참여에 기반을 둔 효과적인 건강증진사업을 추진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비만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참여형 비만 프로그램의 효과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3개월 동안 12회의 지역사회 기반의 참여형 비만 프로그램 중재 후에 중재 전에 비해 체질량지수(BMI), 체지방량(BFM), 골격근량(SMM), 내장지방면적(VFA)에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
  • , 2011)등의 연구가 이루어졌고, 최근 비만 소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Flores, Manzo, & De la Torre, 2013; Maitlen, Bockstahler, & Belcher, 2012)가 이루어진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비만 문제를 가진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참여형 비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년 여성의 체중조절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여성의 경우 특히 40세 이후에는 비만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KCDCP, 2014), 폐경에 따라 여성호르몬이 감소되면서 복부 지방의 축적으로 복부 비만이 생기는 등 건강문제가 유발된다. 이러한 생애 주기적 특징으로 인하여 지역사회 중년 여성의 체중조절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지속적인 실천이 가능한 비만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Kim, 2010).
여성의 경우 체질량 지수가 25 kg/m2 이상이면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몇%가 증가하는가? 이러한 비만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문제로 등장하면서 국가 보건정책의 중요한 이슈로 자리 잡았다. 실제로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보건소의 중점 사업 중 하나가 대사중후군 예방 및 관리 사업인데, 여성의 경우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BMI]) 25 kg/m2 이상인 경우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12.5%가 높아진다고 보고되었다(Kwon, 2014). 또한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과 낮은 정도의 염증반응을 유발하는 병리적 소견으로(Gu, 2010), 방치할 경우 당뇨 및 만성질환의 위험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국민건강통계에 의하면 2013년 19세 이상의 비만 유병률은 어떠한가? 국민건강통계에 의하면 19세 이상의 비만 유병률은 2013년 32.5%에 이르고 있으며, 전체 성인의 고도비만 유병률은 4.8%에 이르고 있다(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KCDCP],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B.C.& Jeong, H.J. (2005). Socioeconomic cost of obesit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8(9), 786-792. 

  2. Andrews, J.O., Tingen, M.S., Jarrie, S.C., CAleb, M., Simmons, A., Brunson, J., Mueller, M., Ahluwalia, J.S., Newman, S. D., Cox, M.J., Magwood, G., & Hurman, C. (2012). Application of a CBPR Framework to Inform a multi-level tobacco cessation intervention in public housing neighborhood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50(1-2), 129-140. 

  3. Cho, B.H. (2010). The past and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ty-based health promo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4), 1-6. 

  4. Cho, K.O.& Jeong, S.Y. (2007). The effects of regular dietary habits on obesity indices and nutrition intakes in adult males. Journal of the Korean Kietetic Association, 13(2), 114-122. 

  5. Choi, E.J., Yoo, J.S., Kim, H.S., Oh, E.G., Kim, S., Bae, S.H., & Chu, S.H.(2007). Utilization and needs assess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middle-aged women in public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1(2), 193-205. 

  6. DeHaven, M.J., Ramos-Roman, M.A., Gimpel, N., Carson, J., DeLemos, J., Pickens, S., Simmons, C., Powell-Wiley, T., Banks-Richard, F., Shuval, K., Duval, J., Tong, L., Hsieh, N., & Lee, J.J.(2011). The goodNEWS (Genes, Nutrition, Exercise, Wellness, and Spiritual Growth) trial: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trial with African -American church congregations for reducing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recruitment, measurement, and randomization. Comtemporary Clinical Trials, 32(5), 630-640. 

  7. Deheeger, M., Rolland-Cachere, M.F., & Fontvitielle, A.M.(1997). Physical activity and body composition in 10 year old French children: Linkages with nutritional intake.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Metabolic Disorder, 21, 372-379. 

  8. Faul, F., Erdfelder, E., Lang, A.G., & Buchner, A.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 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9. Flores, Y.G., Manzo, R.D., & De la Torre, A. (2013). Engaging control group low-income Mexican origin families in a federally funded USDA NIFA study of childhood overweight and obesity: CBPR methodology and lessons learned.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ur, 45(4), 81-85. 

  10. Gu, S.H. (2010). Metabolic disorders i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nd diabetes with a focus on the latest research study. Journal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30(4), 29-35. 

  11. Holmes, J.C., Gibson, A.L., Desautels, R.L., & Nuudi, L. (2007). Ability of InBody 720, InBody 320, and skinflds to estimate FFM From Underwater weighing for adult athletes.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39(5), 370s. 

  12. Hyoung, H.K.& Kim, H.S. (2009). The effect of brisk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blood glucose and blood lipid for middle-aged woman with obesity. Th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0(1), 62-68. 

  13. Israel, B.A., Eng, E., Schulz, A.J., & Parker, E.A. (2005). Methods in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for health.methods in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for health. SanFrancisco, CA: Jossey-Bass. 

  14. Kim, E.J.& Hwang, H.J. (2010).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of overweight or obese female adults on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9(1), 78-84. 

  15. Kim, H.& Lee, S.G. (2012). Effects of an individual health counseling program for community.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9(2), 13-21. 

  16. Kim, K.D., Song, Y.O., & Back, Y.H. (2011). Effects of belly dancing and nutritional education on body composition and serum lipids profiles of obese women in a study, obesity clinic projects at community health center.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0(10), 1417-1422. 

  17. Kim, K.W. (2010). Obesity prevalence and weight control programs for middle-aged women. Journal of Women's Studies, 25, 153-166. 

  1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6th-1year (2013).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19.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0).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Treatment. Seou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 Kwon, H.J., Kim, K.A., & Kang, J.H. (2005). The development of a web-based weight reduction program for public health car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14(4), 242-267. 

  21. Kwon, Y.S. (2014).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of a web-based obesity management program to prevent metabolic syndrome of the worker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vergence Technology, 5(4), 121-127. 

  22. Maitlen, L.A., Bockstahler, A.M., & Belcher, A.E. (2012). Using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in parish nursing: A win-win situation: university graduate students partnered with a large urban hospital parish nurse program for a CBPR project that helped everyone win. Journal of Christian Nursing, 29(4), 222-227. 

  23. Meloche, J. (2003). Cooking with class: participation soars with hands-on learning and take-away.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Behavior, 35(2), 107-108. 

  24. Merzel, C.& D'Afflitti, J. (2003). Reconsidering community-based health promotion: promise,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3(4), 557-574.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Handbook of health promotion.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5). Revised Health Plan 2010.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7. Minkler, M. (2005). Community-based research partnership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Journal of Urban Health, 82(2suppl2), ii3-ii12. 

  28. Oh, S.W. (2009). Effects of alcohol o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18(1).1-7. 

  29. Sim, J.H., Go, G.Y., & Yoo, J. (2007). The effect of an obesity control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 level among middle-aged obese women in a health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2), 201-210. 

  30. Yoo, H.J. (2002). Effects of triglyceride response to a high fat meal and visceral fat accumulation on the postprandial lipemia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healthy 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usei University, Seoul. 

  31. Yoo, S.H. (2009). Using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CBPR) for health promo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1), 141-15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