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제주 외도천 유역의 통합 물수지 분석
An Integrated Water Budget Analysis of Oedocheon Watershed in Jeju Island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4 no.4, 2015년, pp.471 - 480  

김남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  정일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  나한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drologic compon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ater budget characteristics the Oedocheon watershed, Jeju Island. For this purpose, integrated SWAT-MODFLOW model was applied to this watershed for continuous surface water-groundwater modeling. Pasture and forest-deciduous are the major l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유출특성이 내륙과는 매우 상이한 제주지역의 맞춤형 수문해석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다양한 문제점 분석을 통해 모형을 개선하고 필요한 자료를 구축함으로써 제주도의 특수한 수문학적 현상을 규명하는데 그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존의 수자원관리는 NRCS-CN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CurveNumber) 방법을 이용한 직접유출량과 Penman-Monteith 기법을 이용한 증발산량의 개별적인 산정을 이용하여 수문총량으로부터 이 두 가지 수문량을 뺀 나머지 값을 지하수 함양량으로 산정하였다.

가설 설정

  • 제주도는 화산분출에 의해 형성된 화산섬으로 클링커와 같은 고투수성 층과 저투수성 현무암과 같은 수문지질 요소가 교대되는 다층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나, 각 층 구조를 MODFLOW에 반영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1개의 자유면대수층으로 가정하였다. 모델영역은 8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 지역 수자원의 특징은 무엇인가? 제주특별자치도 수자원관리종합계획에 의하면 제주 지역의 유출률은 강수대비 22%로 내륙에 비해 매우 낮은 특성을 보이며 지하수 함양량은 강수대비 44%로서 역시 내륙과는 상이하게 높은 지하수 함양률을 나타내고 있다(Jeju-Do, 2013). 이와 같이 제주 지역 수자원은 강수로부터 하천으로 유출되기 보다는 지하공극을 통해 대수층으로 유입되는 양이 커서 전체 수자원관리에 있어서 지하수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Moon 등, 2005).
본 연구에서 물수지 분석을 수행함에 있어 기존의 SWAT 모형을 개선하여 기반으로 한 모형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이와 같은 기본 전제하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SWAT 모형(Arnold 등, 1993)을 개선한 SWAT-K 모형(Kim 등, 2009)을 기반으로 지표수-지하수 통합 수문 분석을 수행한 후 제주의 유출특성과 해안지하수 유출성분을 고려한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기상자료는 무엇인가? 2). 자료구축은 관측소별 강우량을 비롯하여 최저·최고 기온, 풍속, 일사랑, 상대습도 등 이다. 제주관측소는 최근 9년간(2002년~2010년)의 연평균 일사량이 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rnold, J. G., Allen, P. M., Bernhardt G., 1993, A comprehensive surface-groundwater flow model, J. Hydrol., 142, 47-69. 

  2. Chung, I. M., Kim, N. W., Lee, J., Sophocleous, M. A., 2010, Assessing distributed groundwater recharge rate by using integrated surface-groundwater modeling: Application to Mihocheon watershed, Korea, Hydrogeol. J., 18(5), 1253-1264. 

  3. Chung, I. M., Lee, J., Kim, J. T., Na, H., Kim, N. W., 2011, Development of threshold runoff simulation method for runoff analysis of Jeju Island, J. Environ. Sci., 20(10), 1347-1355. 

  4. Ha, K. C., Moon, D. C., Koh, G. W., Park, K. H., 2008, Runoff characteristics of the Oedocheon watershed in Jeju Island, J. Soil Groundwater Environ., 13(5), 20-32. 

  5. Hwang, D., Lee, Y., Kim, G., 2005. Large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and benthic eutrophication in Bangdu Bay on volcanic Jeju Island, Korea. Limnology and Oceanography 50 (5), 1393-1403. 

  6. Jeju development institute, 2009, The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nalysis for the streamwater application in Jeju island, 2009-11, p.98. 

  7. Jeju Do, 2013, Comprehensive Water Resources Plan in Jeju Island. p.366 

  8. Jung, W., Yang, S. K., 2008, Simulation of runoff of rivers in Jeju Island using SWAT model, J. Environ. Sci., 17(9), 1039-1052. 

  9. Kim, N. W., Chung, I. M., Won, Y. S., and Arnold, J. G.,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integrated SWAT-MODFLOW model, J. of Hydrology, Vol. 356, pp. 1-16 

  10. Kim, N. W., Chung, I. M., Kim, C., Lee, J., Lee, J. E., 2009,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SWAT-K (Korea). In: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Global Applications (Eds. J. Arnold et. al.), Special Publication No. 4, World Association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Bangkok, Thailand. 

  11. Kim, N.W., Nah, H., Lee, J.,Lee, J.E., 2014. Complemetary relationship based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model suitable for the Hancheon and Kangjeongcheon watersheds in Jeju Island, J. of Korea Water Resour. Assoc.,47(12) 1155-1163 

  12. Leavesley, G. H., Lichty, R. W., Troutman, B. M., Saindon, L. G., 1983. Precipitation-runoff modeling system: user's manual, US Geological Survey, Water-Resour. Invest. Rep., 83-4238(207). 

  13. McDonald, M. G. and A. W. Harbaugh., 1988. "A Modular Three-Dimensional Finite-Difference Ground-water Flow Model", U.S. Geological Survey Techniques in Water Resources Investigations Report Book 6, Chapter A1, p. 528. 

  14. Moon, D. C., Yang, S. K., Koh, G. W., Park, W. B., 2005, Estimation of baseflow discharge through several streams in Jeju Island, Korea, J. Environ. Sci., 14(4), 405-4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