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지역 노인요양기관 종사자의 구강건강 인식정도와 구강건강관리 제공 실태 조사
The oral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care provided by workers in long-term elderly care facilitie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5 no.2, 2015년, pp.245 - 251  

박정란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  홍민희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  최유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생체재료공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oral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care provided by workers in the long-term elderly care facilitie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13 workers in long-term elderly care faciliti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노인요양기관 종사자들의 구강건강 인식 정도와 요양보호대상자들에 대한 구강건강관리 제공 실태를 파악함으로서 노인요양기관에 입소해 있는 노인들의 구강건강 증진과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 요양기관 종사자는 누구보다 요양노인과 접촉이 많고, 이들의 신체활동을 직접적으로 도와주는 역할을 담당하므로 대상자들의 구강건강관리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인력을 대상으로 구강건강행동, 구강건강인식도와 구강건강관리실태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양보호서비스 중 구강관리의 범위는 어떠한가?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요양보호사 표준교재(2014)7)에의하면 우리나라 장기요양 보험서비스 내에서 제공하는 요양보호서비스 중 구강관리는 신체활동지원서비스의 한 부분에 속한다. 구체적인 서비스 범위는 구강청결, 입안 닦아내기, 입안 헹구기, 칫솔질하기, 의치 손질, 필요 물품 준비 및 사용 물품의 정리를 원칙으로 한다. 요양기관 종사자는 누구보다 요양노인과 접촉이 많고, 이들의 신체활동을 직접적으로 도와주는 역할을 담당하므로 대상자들의 구강건강관리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실시된 후 달라진 점은 무엇인가? 또한 핵가족화,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 등이 증가 되면서 노인들의 부양 문제 또한 대두됨에 따라 노인들에게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부는 2008년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실시하여 고령화로 인한 노인들에 대한 문제를 더 이상 개인이나 가계 부담 문제로만 생각하지 않고 국가적으로 그 책무를 다하고자 제도를 실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노인요양기관의 확대로 인해 노인요양기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수요의 확대와 더불어 노인요양기관 종사자들의 숫자 또한 매우 괄목할 만한 확대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노인들의 부양 문제가 대두된 이유는 무엇인가? 4%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의 15%(약 79만명)는 장기요양보호가 필요하고 더불어 노인요양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어르신들도 12-13만명 정도가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3). 또한 핵가족화,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 등이 증가 되면서 노인들의 부양 문제 또한 대두됨에 따라 노인들에게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부는 2008년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실시하여 고령화로 인한 노인들에 대한 문제를 더 이상 개인이나 가계 부담 문제로만 생각하지 않고 국가적으로 그 책무를 다하고자 제도를 실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노인요양기관의 확대로 인해 노인요양기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수요의 확대와 더불어 노인요양기관 종사자들의 숫자 또한 매우 괄목할 만한 확대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tatistics Korea.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KOSIS), Statistics DB, Population Projections[Internet]. [cited 2011 Dec 1].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2. WHO. Global health observatory(GHO), World health statistic 2012[Internet]. World health organization[cited 2012 June 13. Available from: http://www.who.int/gho/publications 

  3.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News and information, Statistics, Statistics data, The list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Internet]. [cited 2014 Sep 30].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 

  4. Kwon SH, Park JR, Lee YK. A study on the elder care facility workers' attitude towards senior citizens and on the perception towards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senior citizens. J Korean Soc Dent Hyg 2010; 10(5): 905-15. 

  5. Park SY, Cho NI, Jeong JH, Lee SH, Oh HW, Lee HS. Oral health care provided by nursing home employees to elderly residents.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3; 37(4): 200-7. http://dx.doi.org/10.11149/jkaoh.2013.37.4.200. 

  6. Shin RH, Bae EK, Choi SH, Park II, Ohyama T, Chung MK. Analysis of current nursing homes in korea and to assess the role and prospect of dentists in comparison to japanese long term care insurance system.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8; 46(1): 83-91.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list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2nd ed..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4: 297-302. 

  8. Moon YM. Oral health behavior fators related to cargivers of elderly care facility [Master's thesis]. Seosan: Univ. of Han-Seo, 2012. 

  9. Cho NI, Park SY, Lee HS, Oh HW.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among nursing home employees in seoul, Korea.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3 Mar; 37(1): 16-24. http://dx.doi.org/10.11149/jkaoh.2013.37.1.16. 

  10. Park SS, Park SH. A Study on recognition of dental health care in care giver. J Society Occup Thera Age Demea 2010; 4(1): 1-9. 

  11. Park MS. Educational needs in the provision of oral care by nursing staff in long-term care facility for elderly people. J Korean Gerontol Nurs 2010; 12(1): 72-80. 

  12. Kim CW, Hwang JM, Park YD.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awareness of dental service suppliers in the capital area o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senior citizen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10; 34(1): 58-64. 

  13. Hwang JM, Park YD. Dental hygienists' awareness and needs regarding the current long-term senior care insurance system.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9; 33(3): 422-31. 

  14. Woon JH. Oral health perception, knowledge, and behavior among visiting health care providers[Master's thesis]. Seoul: Univ. of Hanyang, 2008. 

  15. Jung JG. Survey on the recognition and demand on oral health education of workers in k university hospital taejeon city[Master's thesis]. Daejeon: Univ. of Konyang, 2007. 

  16. Mo HS, Choi KB, Kim JS. Knowledge of oral health and its predictors in nursing staff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8; 15(4): 428-37. 

  17. Nicol R, Petrina SM, Mchugh S, Bagg J. Effectiveness of health care worker training on the oral health of elderly residents of nursing home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5; 33(2): 115-24. http://dx.doi.org/10.1111/j.1600-0528.2004.00212.x. 

  18. Isaksson R, Paulsson G, Fridlund B, Nederfors T. Evaluation of an oral health educatqion program for nursing personnel in special hous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Part II: Clinical aspects. Spec Care Dentist 2000; 20(3):109-13. http://dx.doi.org/10.1111/j.1754-4505.2000.tb00012.x. 

  19. Kim KW, Yoon HJ, Kim MR, Lee HK, Lee KS. Effects of oral hygiene improvement of the elderly patients by caregiver's in rural long-term care hospital. J Agri Med Community Health 2010; 35(1): 13-20. http://dx.doi.org/10.5393/JAMCH.2010.35.1.013. 

  20. Kim SH, Kim CH, Son GY, Yang SY, Cho MS, Oh SH. The perpeption of dlderly oral health care in the care workers in nursing homes. J Korean Soc Dent Hyg 2014; 14(5): 715-21. http://dx.doi.org/10.13065/jksdh.2014.14.05.7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