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재료 연소생성물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의 위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sk of Particulate Materials Included in the Combustion Products of Building Material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0 no.1, 2016년, pp.43 - 48  

김남균 (인천대학교 대학원) ,  조남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이동호 (인천대학교 소방방재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입자상 물질의 유해성을 포함하는 연소생성물 독성평가 기법의 개발을 위한 선행 연구로써, 입자상 물질의 위험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동일 시료의 가스유해성 시험을 통하여 교반상자와 피검상자 사이 Membrane 필터 설치 유무에 따른 평균행동정지시간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연소생성물 중 입자상 물질을 필터링하여 노출시킨 경우와 입자상 물질을 포함한 연소생성물을 노출시킨 경우의 시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시험결과 필터 장착 시 실험용 쥐의 평균행동 정지시간이 목재 시료의 경우 최대 264% 증가하였으며, 우레탄 시료의 경우 최대 179%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입자상 물질의 유해성 및 이에 대한 정량적 독성평가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experiment to confirm the risks of particulate material was carried out as a precedent study for developing the toxicity evaluation method of combustion products including the toxicity of particulate material. In the experiment, the test result of filtering and exposing particul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입자상 물질의 유해성을 포함하는 연소생성물 독성평가 기법 개발의 기초연구로, 입자상 물질이 쥐의 평균행동정지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연소생성물 중 입자상 물질의 유해성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4종의 시료에 대한 가스유해성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발생한 연소생성물 중 입자상 물질의 필터링 여부에 따른 결과 비교분석을 통해 입자상 물질의 위험도에 대해 고찰하였다. 우레탄시료의 연소생성물에 의한 무력화는 입자상 물질의 영향이 약 40% 이하로 나타남으로써 가스상 물질에 의한 독성이 지배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재 시 발생하는 연소생성물이 가진 위험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가스유해성 시험기법은 가스상 물질과 입자상 물질의 혼합 상태인 연소생성물을 실험용 쥐에 직접 노출시킴으로써 연소생성물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할 수 있다. 화재 시 발생하는 연소생성물은 유독 화학종과 낮은 산소농도, 입자상 물질 등에 의한 위험 등이 혼합되어 있으며, 주된 위험요인은 연소 물질에 따라 다르다.그러나 현재의 가스유해성 시험 기법은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연소생성물을 단일 시험기법으로 평가함으로써 유독 화학종에 의한 중독, 산소 농도 저하에 의한 질식, 입자상 물질의 영향 등 주요 무력화 유발 요인을 식별할 수 없다.
KS F 2271에 따른 가스유해성 시험은 무엇인가? 각국의 건축법과 코드는 건축물의 용도 및 규모에 따라 마감재료의 난연 성능을 정하고 있으며, 한국은 연소생성물의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KS F 2271에 따른 가스유해성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KS F 2271에 따른 가스유해성 시험은 시료를 로 내에서 점화시켜 발생한 연소생성물의 독성을 평가하는 기법으로, 총 15분의 노출 실험 중 실험용 쥐의 평균행동정지시간이 9분 이하로 측정된 경우 부적합으로 판정한다. 가스유해성 시험기법은 가스상 물질과 입자상 물질의 혼합 상태인 연소생성물을 실험용 쥐에 직접 노출시킴으로써 연소생성물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할 수 있다.
평균행동정지시간을 측정하는 이유와 그 한계는? 가열 시험을 시작할 때 피검상자 내의 온도는 30 oC로 하고, 시험용쥐(실험용 쥐의 계열: DD계 또는 ICR계, 암컷 5주령, 18~22 g)가 회전 바구니에 들어가 있는 피검상자 내에 연소가스를 유입시켜 8마리의 평균행동정지시간을 측정한다. 본시험방법은 기존의 동물 실험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독성을 추정하는 독성 평가와 달리 연소가스가 실제로 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일 요인에 의한 독성뿐만 아니라 모든 연소생성물에 의한 피해를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실험동물의 평균행동정지시간이라는 단순화된 결과를 도출하기 때문에 평가가 용이하다. 하지만 행동이 정지한 이유가 가스상 물질에 의한 질식 혹은 마비, 입자상 물질의 영향, 산소농도의 저하등의 요인 중 어떠한 요인에 기인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갖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S F 2271 : 2006, "Fire Retardant Testing Method of Interior Finishes and Structures" (2006). 

  2. H. R. Kim, Y. T. Kim, Y. J. Park and H. P. Lee, "A Study on the Toxicity of Wall Papers", Proceedings of 2009 Autumn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pp. 492-497 (2009). 

  3. Y. K. Park, D. I. Kim and S. H. Hyun, "The Combustion Gases Toxicity Evaluation of Plastics Material by Colorimetric Gas Detector Tube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16, No. 4, pp. 77-84 (2002). 

  4. Y. K. Park, "A Study on Combustible Gases Toxicity Evaluation of Polymeric Material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15, No. 3, pp. 7-13 (2001). 

  5. N. W. Cho, J. C. Lee, B. J. Lee, J. B. Choi and D. H. Rie, "A Comparative Study on Toxic Gas Index by BS6853 and Gas Hazardous Test", Proceedings of 2010 Spring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pp. 155-159 (2011). 

  6. S. S. Kim, N. W. Cho and D. H. Rie, "A Research for Assesment Fire Toxic Gas of Construction Material Using FT-IR and FED",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5, No. 6, pp. 27-31 (2011). 

  7. S. S. Kim, N. W. Cho and D. H. Rie, "A Research of Risk Assesment for Urethane Fire Based on Fire Toxicity",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9, No. 2, pp. 73-78 (2015). 

  8. D. H. Lee and Y. K. Kong, "A Study on Combustion Gas Toxicity of Polymeric Materials Using FTIR Gas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5, No. 4, pp. 79-84 (2005). 

  9. N. W. Cho, J. C. Lee and D. H. Rie, "A Comparative Study on Toxic Gas Index and Stop Time of Mouse Activity",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5, No. 4, pp. 35-41 (2011). 

  10.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ct 2011-39, "Fire Retardant Performance Standard of Interior Finishes" (2011). 

  11. ISO 19702 : 2006, "Toxicity Testing of Fire Effluents - Guidance for Analysis of Gases and Vapours in Fire Effluents Using FT-IR Gas Analysis" (2006). 

  12. ISO TR 13344 : 2004, "Estimation of the Lethal Toxic Potency of Fire Effluents" (2004). 

  13. G. E. Hartzell, D. N. Priest and W. G. Switzer, "Modeling of Toxicological Effects of Fire Gases: Ii. Mathematical Modeling of Intoxication of Rats by Carbon Monoxide and Hydrogen Cyanide", Journal of Fire Sciences, Vol. 3, No. 2, pp. 115-128 (1985). 

  14. US army medical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defense, "Proceedings of the Annual Chemical Defense Bioscience Review (4th) Held at Aberdeen Proving Ground", Maryland, US (19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